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三魁堂 申從濩 漢詩의 風流的 면모 -艶情詩를 중심으로- (A Study on elegant Aspects of Chinese poetry by Samgoedang Shin, Jong-ho -With focus on Love Poem-)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4.08
29P 미리보기
三魁堂 申從濩 漢詩의 風流的 면모 -艶情詩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9권 / 119 ~ 147페이지
    · 저자명 : 이재숙

    초록

    본고는 15세기 관료문인인 삼괴당 신종호의 염정시를 대상으로 작품 창작 동기를 살펴보고 관능적 여성의 형상화에 나타나는 통속성과 문예미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정통 한시에서 빗겨있거나 가치 폄하된 통속적 염정시의 미적 특질과 한계성을 정리해보고자 하였다.
    신종호의 염정시는 15세기 관료문인의 자유분방하고 탄력적인, 또 雅俗의 경계를 넘나드는 다양성이 주목된다. 사대부들에게 있어 사랑의 감정과 여성 육체에 대한 탐닉, 性의 표현은 일반적으로 자유롭지 못했으나, 신종호의 문집에는 다수의 애정시가 남아있다.
    첫째, 신종호의 염정시는 함께 격의 없이 지냈던 벗들과 일탈적 유흥을 배경으로 장난기 가득한 戱作的 경향이 두드러진다. 이에 연정의 풍류를 즐기며 아름다움을 찾는 면면의 애착이 염정시 창작으로 이어지고, 관인으로서의 형식적인 문학 활동과 구별되는 문예미를 추구한 흔적이 엿보인다.
    둘째, 신종호의 염정시는 관능적 여성의 아름다움을 머리 모양과 머리 장식을 통해 섬세한 문예미를 함축하고 있다. 이들은 여성의 정조와 관련해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지니는데, 이를 바라보는 남성 시인의 시선은 본능적 욕망과 함께 은유적으로 표현된다. 또한 사랑의 공간과 침실에 배치된 다양한 여성들의 소품을 섬세하게 묘사함으로써 관능적 여성의 俗趣를 함축적으로 전달한다. 염정시를 통해 표현된 화려하고 고운 것들에 대한 섬세한 문예미는 그와 반대되는 작자의 심경을 역설적으로 돌이켜보게 한다.
    일반적으로 염정시는 시어의 운용과 선택에 있어 규방의 소품과 여성의 장신구 등이 빈번하게 등장하는 전형적인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소재들은 기본적으로 남성이 여성에 대한 속물적 연정과 탐닉의 俗性을 내포하고 있다. 염정시에 사용된 시어와 故事는 정통 한시의 다양한 양상과 표현기법에 비해 상투적인 언어와 기법을 주축으로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희성과 해학성에 의해 일상의 긴장과 엄정성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인간의 감정을 허심탄회하게 펼쳐 풍부한 美感을 함축하고 있다. 또 사대부로서 사랑의 감정과 여성에 대한 표현은 주로 ‘꽃’을 매개로 이중적 함의를 갖고 있다. 이러한 유희성과 이중적 함의가 가져다주는 모호성은 속물적 남성의 염정을 문학적으로, 심미적 시세계로 한 단계 끌어올리는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iece of writing looked into the motive of creative writing targeting Yeomjungsi (Love Poem) by Samgoedang Shin, Jong-ho who was an official-literary person in the 15th century, considered the popular nature and beauty of literary art that are exposed in the embodiment of a voluptuous woman. Through this, this writing is intending to organize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a popular love poem which was deviant from a legitimate Chinese poem or whose value was denigrated.
    It has been brought to this author’s attention that the love poem written by Shin, Jong-ho represents the 15th century official-literary writers’ carefree, flexible traits and diversity which crossed the borderline between something lofty and something vulgar.
    To the Literati Society, a feeling of love, indulgence in a woman’s body and sex expression weren’t free in general, but there still remain a large number of love poems in Shin, Jong-ho’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First, Shin, Jong-ho’s love poems stand out as writing-for-amusement-based tendency full of mischief against a backdrop of deviant amusement with his friends, to whom Shin, Jong-ho was free and open. Hereupon, every single aspect of attachment of seeking beauty while enjoying the taste for burning love was linked to creative work of love poems, and seen are the vestiges of pursuing the beauty of literary art distinct from formal literary activities as an official.
    Second, Shin, Jong-ho’s love poems connotes delicate beauty of literary art by describing a sensual woman’s beauty through hairstyle and tire. They have an important symbolic meaning in relation to a woman’s chastity, and a male poet’s eyes are expressed metaphorically together with his instinctual drive. In addition, Shin, Jong-ho renders a voluptuous woman’s vulgar taste connotatively by describing a women’s various small articles placed in the love space and bedroom. The subtle beauty of literary art of gorgeous and lovely things expressed through love poems makes us paradoxically look back on the writer’s feelings which are opposite to it.
    Generally, a love poem shows a typical aspect where small articles in women’s quarters and a woman’s accessories frequently appear in the application and choice of poetic words.
    Basically, such materials connote a man’s snobbish affection and attribute of indulgence for a woman. The poetic words and ancient events used in love poems are formed around stereotyped languages and techniques in comparison with diverse aspects and expression techniques of orthodox Chinese poems. Nevertheless, they connote a rich aesthetic feeling by spreading out a free human’s feelings open-mindedly away from tension and exactness of a daily routine by virtue of pleasure and a vein of humor.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romance and a woman as the gentry(Sadaebu) has the dual implication mostly by a medium of ‘flower.’Ambiguity brought by such pleasure and dual implication could be judged as an important part that takes a snobbish man’s love to one step higher level of the aesthetic poetic world in a literary sen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