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밀양 밀성박씨 인당공파의 종계 운영과 문중 활동 (Operations of the Clan Fund and Activities of Individuals–The Milseong Park House’s Indang-gong line of the Milyang area,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Jose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1.06
30P 미리보기
조선후기 밀양 밀성박씨 인당공파의 종계 운영과 문중 활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97호 / 201 ~ 230페이지
    · 저자명 : 심재우

    초록

    이 글은 경상남도 밀양의 초동면 신호리 일대에 세거하던 밀성박씨 忍堂公派 朴守堅 후손가를 사례로 하여, 이들의 조선후기 지역사회 내에서의 위상과 후손들의 문중 활동에 대해 검토하였다.
    인당공파의 入鄕, 지역 내 동향과 관련한 특징으로 첫째, 인당공파 박수견 후손가는 派祖 朴昭의 부친 朴翊이 고려 왕조에 충절을 보였다는 점, 박수견이 시묘살이를 통해 효를 실천했다는 점은 밀양 내 이들의 위상과 발언권이 지속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인당공파에서는 일찍부터 墓祭 봉행을 위한 宗契가 조직되어 후손들의 결집을 도모하고 있었다. 종계는 선산의 위치에 따라 여럿 마련되었으며, 계원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확대로 19세기까지 이어졌다는 것도 특징이다.
    셋째, 박수견이 선대 분묘를 수호하기 위해 지은 초막인 慕先亭은 후손들에게 혈연의식을 공유하고 연대와 결속을 다지기 위한 중요한 구심점으로 작용하였다. 또 19세기 초 문중서원으로 출범한 德南書院 또한 여러 문중 활동의 기반이 되었다.
    넷째, 인당공파가 다른 박씨 제파와 참여한 爲先 활동으로는 밀성박씨 대동보 편찬에의 참여, 문중서원의 건립, 齋室 정비, 문집 간행과 선조 박익에 대한 현창사업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은 후손들의 혈연적 결집을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밀양에서의 인당공파 문중의 사회적 위상을 제고시키는 데도 기여했다.
    끝으로 이 집안 사례 외에도 조선후기 문중의 범위와 문중의 조직화 배경을 규명하기 위해서 친족간 宗契, 族契에 대한 종합적 분석이 후속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영어초록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descendants of Park Su-gyeon(朴守堅), of the Indang-gong Line(忍堂公派) of the Milseong Park House, people who lived for generations in the Chodong-myeon Shinho-ri area of the Gyeongsang Nam-do province’s Milyang region. They represent an example of a local house that established itself in the history of the Yeongnam region during the Joseon dynasty’s latter half.
    The characteristics that we can find from the Indang-gong line’s entry into the region(“Ibhyang, 入鄕”), and their activities in the area, are as follow.
    First, Park Ik(朴翊), father of Park Soh(朴昭) who was also the founder of the Indang-gong line, was an individual who remained loyal to the late Goryeo dynasty. And one of his descendants, Park Su-gyeon practiced himself filial piety by establishing a hut near his parents’ graves and staying there to mourn their deaths.
    Second, the Indang-gong line ran a clan fund(Jong’gye, 宗契), which had been organized fairly early on and had contributed to the solidarity of the descendant community for a long time. The primary objective for establishing this clan fund was to facilitate services at grave sites, namely the Myoje(墓祭) ceremonies.
    Third, there was a pavilion named Moseon-jeong(慕先亭), a thatched cottage erected by Park Su-gyeon with the intention to have it exist as a center from where the graves of the clan’s ancestors could be overseen and protected. This cottage/pavilion was also built to reinforce the clan descendants’ conscious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clan’s internal bond and strengthen the unity amongst clan members, and the cottage continued to serve as symbol of the clan’s resolve to firmly maintain itself. Another symbol for the Indang-gong line was the Deoknam Seoweon(德南書院). Together, both Moseon-jeong and Deoknam Seoweon served as a platform for the clan members’ activities.
    Fourth, members of the Indang-gong line also joined larger ceremonial occasions with other Park lines for the ancestors of the greater Milseong Park House, such as participating in the publication project for the Daedong-bo Genealogy of the Milseong Park clan, foundation of Clan Seoweon schools, renovation of the Jaeshil(齋室) chamber where tablets for the ancestors were enshrined, compilation of personal anthologies for house ancestors, and commemoration of Park Ik, who was founder of the Park clan (in the Milseong area) it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