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唐代 災異現像에 대한 새로운 인식 -<<舊唐書>> 「五行志」 역주- (A Study on Theory of Calamity as a Warning Signal(災異論) during the Medieval Period of Chinese History: An Annotated Translation of the Jiutangshu(舊唐書) Wuxingzhi(五行志))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0.12
42P 미리보기
唐代 災異現像에 대한 새로운 인식 -&lt;&lt;舊唐書&gt;&gt; 「五行志」 역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사연구 / 129호 / 109 ~ 150페이지
    · 저자명 : 김한신

    초록

    본 논문은 『舊唐書』 「五行志」의 일부 내용을 역주함으로써 중국 중세인들의 災異觀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시도한 연구이다. 漢代 董仲舒가 기존의 음양오행론에 기반 하여 災異현상과 人間事의 상관관계를 설명한 이래, 재이현상을 바라보는 중국인들의 사고는 唐代에 이르기까지 별다른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그러나 거대하고 개방적인 세계제국을 건설하였던 당대 중국인들은 점차 자연현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지니게 되었고, 이와 같이 변화된 우주관은 기존의 상관적 사유 새롭게 바라보게 만들었다. 특히 圖式的으로 설명하였던 동중서의 재이론에 비해서 당대인들은 재이현상과 인간사의 상관관계를 긍정하면서도 보다 탄력적이고 합리적으로 설명하고자 노력하였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高宗에 대한 于志寧의 諫言이나 太宗에 대한 岑文本의 諫言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만약 군주가 정사를 올바르게 돌보고 있다면 운석이 떨어지거나 홍수가 발생하는 것과 같은 재이현상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조금도 두려워할 필요 없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러한 재이현상은 음양오행에 따른 자연현상으로서 인간사와 직접적 관련이 없다고 설명한다. 반면에 같은 당대 전반기에 발생한 자연재해에 대한 俞文俊과 宋務光의 인식은 과거 漢代人들의 인식과 상당히 유사한 측면을 살펴볼 수 있다. 즉 그들의 인식에 의하면 무측천 시기의 山崩이나 중종시기의 水災현상은 음의 기운에 해당하는 여성들(무측천과 韋后)이 정치를 담당하였기 때문에 발생하였던 것이었다. 그러나 俞文俊과 宋務光의 경우에도 재이현상을 단순한 도식적인 상관관계로만 설명하기 보다는 현실정치에 대한 비판을 위한 수단으로서 활용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즉 그들 역시 天譴의 엄중함과 두려움 보다는 현실의 정치적 목적에 보다 초점을 맞춰 설명하고 있었던 것이다. 요컨대 당조정의 지식인 관료들은 도식적인 음양오행 이론에 대한 교조주의적인 추종보다는 자신들의 정치적 지향에 따라서 재이현상을 다양하게 해석하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었다.
    비록 북송대에 편찬되었던 『新唐書』 「五行志」에 비해 『舊唐書』의 경우에는 고전적인 상관적 사유가 여전히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唐代人들이 보여주고 있는 재이현상에 대한 다양한 해석은 같은 시기에 상관적 사유에 일정한 균열의 조짐이 발생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결국 당대 중국인들의 災異觀은 고전적인 상관적 사유에서 점차 벗어나 새로운 상관적 사유 즉 『新唐書』 「五行志」에서 드러나고 있는 ‘氣’의 작용을 매개로 하는 천인관계로의 전환을 보여주고 있었던 것이다. 달리 말하자면, 『舊唐書』 「五行志」의 내용은 우리들에게 당대 중국인들이 점차 고전적인 우주관에서 벗어나 자연과 인간세계를 새로운 관점에서 조망하기 시작하고 있었음을 알려주고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mainly examines the theory of calamity as a warning signal during the medieval period of Chinese history. Through carrying out the annotated translation of the Jiutangshu(舊唐書) Wuxingzhi(五行志), in particular, this research shows us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perspectives on the conventional correlative cosmology. The Chinese people of the Tang Dynasty, who built up the great cosmopolitan empire, had come to interpret the phenomena of nature like the natural disasters from a new angle. Since the Dong Zhongshu(董仲舒) of the Han Dynasty compiled all the different ideas about the ancient correlative cosmologies like the theory of Yin and Yang and theory of the Five Elements(五行) into a systematic and powerful theory, there had been no noticeable change in the Chinese perspective on nature until the Tang Chinese came to have different view on it.
    The opinions of the Tang court officials like Yu Zhining(于志寧) and Cen Wenben(岑文本) on the natural disasters which had occurred during the early period of Tang Dynasty, in particular, exemplified their new and changed view on nature. They argued that natural disasters did not necessarily result from the sovereign’s failures in his rule, which were distinctly different from the Dong Zhongshu’s ideas. On the other hand, other court officials of roughly the same period like Yu Wenjun(俞文俊) and Song Wuguang(宋務光) suggested significantly different comments on the natural disasters. From their perspectives, the natural calamities like the flooding happened because the sovereignty of the Empress Dowager Wu (武則天) and the Empress Dowager Wei (韋后) lacked the legitimacy. Even though their ideas had similar aspects with the Dong Zhongshu’s, their opinion also had considerable differences from the schematic model of correlative cosmology. They just tried to oppose the rule of the female sovereigns. To sum up, the early Tang elites were relatively free from the ancient theory of calamity as a warning signal(災異論) and suggested diverse approaches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natural disorders.
    Consequently, the annotated translation of the Jiutangshu(舊唐書) Wuxingzhi(五行志) shows us that the Tang Chinese began to depart from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the universe and take quite different views of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