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隋· 唐 초기 中國的 世界秩序의 변화과정과 삼국의 대응 (The change of the Chinese World Order in Sui and early Tang Chinas and respond of the three Korean dynasties)

5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08.04
53P 미리보기
隋· 唐 초기 中國的 世界秩序의 변화과정과 삼국의 대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12호 / 85 ~ 137페이지
    · 저자명 : 정선용

    초록

    이 연구는 김춘추가 대고구려청병외교를 시도한 배경으로 당시 중국 중심의 세계질서와 관련된 동북아시아의 동향에 주목한 글이다. 영류왕을 정2품의 上柱國으로 진평왕을 종2품의 柱國으로 책봉한 당고조의 정책을 이어 받은 당태종은 643년에 보장왕에게 상주국을 계승케 하는 한편, 무왕에게
    주국을 책봉했다가 641년에 다시 光祿大夫를 추증하고 의자왕에게 주국을 계승케 하였다. 그러면서도 당태종은 신라왕의 책봉에 대해 소극적인 입장을 보이면서 삼국의 서열관계를 분명히 하였다. 이것은 그가 동북아시아의 독자적인 ‘세계’를 주도해 온 고구려의 실체를 인정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모습은 중국 중심의 일원적인 세계질서에 고구려를 편입시키는 입장에 대해 후퇴한 것이었다. 이에 앞서 수의 문제가 책봉을 통해 삼국에서 고구려의 주도권을 부정하고, 수양제 역시 고구려왕의 직접적인 ‘來朝’를 요구한 바 있기 때문이다. 수는 이 과정에서 백제·신라를 동원하여 고구려를
    견제하는 이이제이책을 구사하기도 하였다. 그래서 고구려는 수와 화친을 모색하다가 침략에 대비하고, 백제·신라의 변경을 공격하였다. 이에 대해, 백제는 수와의 교섭을 통해 고구려를 견제하던 태도에서 벗어나 고구려와 화친을 맺으면서 양단책을 구사하였다. 반면, 신라는 양제의 친정에 협력하
    면서 고구려 땅을 빼앗기까지 하였다.
    수와 삼국의 이러한 관계가 당대에 이르러 변한 것은 수양제의 계속된 고구려친정 실패와 뒤이은 수의 멸망 때문이었다. 그래서 당고조와 고구려 영류왕은 서로 관계개선에 주력하였다. 그러면서도 고구려는 백제·신라의 朝貢을 방해하였는데, 그것은 수대에 위축되었던 동북아시아의 독자적인 ‘세
    계’에 대한 주도권을 회복하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당의 태종은, 백제·신라의 호소에도 불구하고, 朱子奢를 삼국에 파견하여 서로 和親을 종용할 뿐이었다. 그는 東突厥을 정복한 다음해인 631년에 고구려로 사신을 보내어 수나라 전사자들의 제사를 지내고 京觀을 허물면서 비로소 이러한 태도에 변
    화를 보이지만, 그 이후에도 고구려에 대한 그의 신중한 태도가 바뀐 것은 아니었다. 심지어 그의 이러한 태도는 640년 高昌國을 정복하고 나서 고구려에 대한 침략을 구체적으로 거론한 뒤에도 계속되었다. 그는 이 과정에서 백제와 신라의 오래된 갈등을 해소하는데 관심을 보였으나, 백제를 우대하
    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한편 고구려는 조공방해와 관련하여 당태종에게 표를 올려 사죄하고 나아가 630년에 封域圖까지 바쳤지만, 동돌궐 정복 이후 압력을 강화하는 당태종에 대해 조공을 중단하고 천리장성을 쌓는 등 반발하였다. 그러면서도 고구려의 영류왕은, 고창국의 정복을 계기로 한층 압력을 강화하는 당과의 관계개선을 위해, 世子 桓權을 입조시켰다. 이에 대한 고구려 내부의 불만이 연개소문의 정변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당과 고구려의 이러한 관계변화가 백제·신라에도 영향을 주었음은 물론이다. 그래서 신라와의 대립을 그치지 않던 백제는 당태종의 환대를 받기도 하였지만, 의자왕대에 이르러 결국 고구려와 밀약을 맺으면서 다시 양단책을 취하였다. 반면, 당과 한때 소원한 관계를 보였던 신라는 고구려와의 관계개선을 필요로 하였는데, 김춘추의 대고구려청병외교는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신라의 이러한 시도는 백제가 취해온 양단책을 모방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deals with the background of diplomatic mission of asking military assistance from Goguryeo(高句麗) by Kim, Chunchu(金春秋), focusing on the political movement in northeast Asia under the Chinese World order. Gaozu(高祖), founder of Tang(唐) China, investitured king Yeongryu(榮留王) of Goguryeo as Sangjuguk(上柱國), the appointment title of the senior
    second rank, and king Jinpyeong(眞平王) of Silla as Juguk(柱國), the appointment title of the junior second rank.
    Following his father's foreign policy, the next emperor Taizong(太宗) allowed the next Goguryeo king Bojang(寶藏王) to succeed the title Sangjuguk in 643 A.D. Meantime the emperor investitured king Mu(武王) of Baekje(百濟) as Juguk, and confered Gwangrokdaebu(光祿大夫) posthumously on the king in 641, and then allowed the next king Uija(義慈王) to succeed Juguk. On the Silla side, however, Taizong took a less positive attitude. That
    clearly showed Tang's understanding of the hierarchy in northeast Asia, in which Goguryeo had established its own world order.
    Tang's foreign policy toward northeast Asia differed from the previous Sui(隋)'s aggressive policy which was to strengthen the China-oriented uni-polar world order. Unifying China, the Sui emperor Wen Ti(文帝) wouldn't let Goguryeo enjoy the key role in that region, and Yang Ti(煬帝), the next Sui emperor, even insisted that Goguryeo kings come personally to the imperial
    court. Furthermore, Sui played off Silla and Baekje against Goguryeo. So preparing for a possible attack of Sui, Goguryeo carried out pre-emptive strikes on the borders of Baekje and Silla. In this situation, Baekje turned about its pro Sui policy and became reconciled with Goguryeo. On the other hand, Silla assisted Yang Ti's war on Goguryeo and took some land of it. But the continuous failed Goguryeo campaigns by Yang Ti and afterwards the fall of Sui itself made the next Tang dynasty change its policy. In an attempt to break the ice, Gaozu proposed the prisoners of war exchange to Goguryeo in 622. Acceding to the proposal, king Yeongryu of Goguryeo returned more than 10,000 captives to China, and send envoys to Tang every year during the Wude(武德) reign(618~626). Meanwhile, Goguryeo tried to prevent Baekje and Silla from paying tribute to China in an effort to take back influence on northeast Asia, which weakened in the Sui period. And against the two countries's appeals for engaging in Goguryeo, Taizong sent envoy Zhu, Zishe(朱子奢) to Baekje to insist on the three dynasties making peace with each other.
    In 631, the emperor sent envoys to Goguryeo and had them hold a memorial service for the chinese war dead and level Gyeonggwan(京觀), a mass grave of the killed chinese soldiers. Nevertheless, the emperor took a cautious attitude towards Goguryeo. Although the emperor discussed a campaign in Goguryeo after the conquest of Gochangguk(高昌國) in 640, but he continued to take the attitude towards Goguryeo. Meantime, the emperor tried to solve a long-standing feud between Baekje and Silla, but he often treated the former more warmly.
    Keeping a close eye on Tang's policy, king Yeongryu presented a report to Taizong to apologize for the interruptions of the two countries's tribute, and even sent a map of its territory. Against Goguryeo's hope, Tang intensified its expansionist policy of conquest after taking eastern Turks. While Goguryeo strengthened its defenses by constructing a wall a thousand li(里) in length along its northwestern border, at the same time king Yeongryu dispatched crown prince Hwangwon(桓權) to the emperor court to ease the tension with Tang. But a series of these events resulted in Yeon, Gaesomun(淵蓋蘇文)'s coup in Goguryeo itself.
    Naturally the changing relations between Tang and Goguryeo affected foreign policies of Baekje and Silla. Baekje, in an endless feud with Silla, ended up making a secret promise with Goguryeo in the king Uija reign in spite of emperor Taizong's hospitality. On the other hand, Silla, distant with Tang at one time, wanted to become reconciled with Goguryeo. This was the
    background on which Kim, Chunchu undertook the hazardous mission of asking military help from Goguryeo. And such policy by Silla is thought to follow Baekje's balancing diploma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