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삶과 앎의 문제로 본 이사주당-인물 재구성을 통한 여성사상사 서술의 시론- (Yi Sajudang(李師朱堂)’s Life and Knowledge: A Preliminary Study on the Intellectual History of Women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One Person’s Life)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7.06
22P 미리보기
삶과 앎의 문제로 본 이사주당-인물 재구성을 통한 여성사상사 서술의 시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과 역사 / 26호 / 223 ~ 244페이지
    · 저자명 : 이숙인

    초록

    본 논문은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 80여 생을 산 이사주당을 삶과 앎의 주제로 재구성한 것이다. 삶과 앎의 문제를 통한 인물의 재구성은 두 영역을 범주화하고 개념화할 필요가 있다. 먼저 삶을 이루는가장 중요한 범주는 혼인을 통한 가족의 구성이기에 25세의 나이로 사취부인이 된 사주당의 혼인관계를 살폈다. 양반 남성은 자신의 혼인 횟수와 무관하게 4, 50대의 나이에도 초혼의 여성과 혼인하는 것이 당연시되었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진주류씨세보』를 참고했다. 이이서 가족 관계를 만들어 간 사주당의 노력과 성과를 구체적 자료를 통해 살피고, 그녀의 살림과 나눔의 정신이 깃든 경제생활에 주목했다. 사주당 부부는 일상을 나누고 학문을 토론하는 동반자적 관계였다. 아들에게는 출세보다는 자신을 위한 학문을 하도록 이끌었고, 딸들에게는 문자생활을 통한 자기표현의 길을 열어주었다. 다음으로 사주당이 추구한 앎의 성격으로 ‘위기(爲己)’와 ‘실용(實用)’에 주목했는데, 그녀의 저술 『태교신기』는 경험의 지식화라는 측면에서 조명했다. 마지막으로 앎과 삶을 일치시키고자 한 사주당의 노력이 주변 여성들에게 끼친 영향을 살펴보았고, ‘여중유현(女中儒賢)’으로 기억되고 서술된이사주당의 여성 사상사적 의미를 논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constructs the life of Yi-Sajudang(李師朱堂1739-1821) focusing upon her life and knowledge. Yi Sajudang was the mother of Yu Hui(柳僖, 1773∼1837) who wrote Eonmunji(諺文志) and a vast amount of Muntong(文通). It is necessary to categorize and conceptualize the two spheres, living and knowing, in order to reconstruct Yi-Sajudang’s life holistically. The most important category of her life was family-making based upon marriage. The convention was that a Yangban man, even if he be poor, should always marry a virgin. In other words, men's marriage had nothing to do with their age or their past sexual and marital experience. In this contex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eatures and meaning of the marital relationship between Yi-Sajudang and her husband, arguing that Yi-Sajudang’s domestic life is based upon the spirit of sharing. Yi-Sajudang guided her son through his professional career path, leading her to express herself through texts. As an author she defined her knowledge system as Learning For One's Own Improvement(爲己之學) and Pragmatic Learning(實用之學), estimating the value of her book, A New Writing for Prenatal Education(Taegyo-Shin'gi), in terms of the intellectualization of experience. Sajudang also based her discussions of prenatal care upon Yeol’nyeo-jeon, yet her arguments were quite different from what had been discussed in the past. Yi-Sajudang’s efforts to integrate knowledge and life gave influenced her female neighbours. Finally the paper explores the meaning of life as described by Yi Sajudang and her memorialisation as a sage in Choson women's intellectual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