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三國史記』 屋舍條에 보이는 唐瓦의 실체 - 문헌적 접근 - (The True Identity of Dangwa as stated in 『Samguksagi』 Oksajo - By literature approach-)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3.12
22P 미리보기
『三國史記』 屋舍條에 보이는 唐瓦의 실체 - 문헌적 접근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64호 / 85 ~ 106페이지
    · 저자명 : 이동주

    초록

    『三國史記』 屋舍條의 주된 골자는 사치의 규제이다. 그런데 규제 품목 중 唐瓦가 보인다. 이 기와는 신라의 최고위 귀족인 진골조차도 사용하지 못하는 것이어서 그 실체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였다. 지금까지 축적된 당와의 실체에 대한 견해는 막새기와설, 암막새설, 녹유기와설 등이 제기된 상태이다. 최근 이와 관련하여 당와의 실체에 대해 상당부분 근접한 견해가 제기되었다. 본고는 여기에 덧붙여 그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중국과 한국의 문헌에 散見되는 당와를 정리해 보았다. 宋의 宋敏求가 찬한『長安志』에는 元의 李好文이 보강한『長安志圖』가 입전되어 있다. 그런데 이 문헌에서 당와라는 용례가 확인되어 주목된다. 여기에는 당와가 묘사되어 있는데, 그 내용이 현재 학계에서 통용되고 있는 녹유기와와 흡사하다. 녹유기와는 일반기와와는 달리 저화도의 유약을 기와에 발라 재벌구이를 통해 생산된다. 표면이 유리질이므로 건물의 지붕에 올려졌을 때 햇빛에 반사되어 건물의 경관이 한층 더 아름다워진다. 그러나 이 기와는 만들기가 번잡하고, 공력이 일반 기와보다 많이 들기 때문에 사치스런 건축부재로 인식되고 있었다.
    그러한 흐름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도 확인된다. 특히 조선시대의 문헌인 『朝鮮王朝實錄』에는 사치풍조를 일소하는 차원에서 당와의 제작을 만류하는 기사가 보인다. 이 때도 당와가 사치와 관련된 건축부재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러한 인식의 흐름은 『삼국사기』 옥사조의 규제조항과 맥락을 같이한다. 이 밖에도 『承政院日記』, 『萬機要覽』 등의 문헌에서도 그 명칭이 확인된다. 문헌의 여러 정황을 조합하면 당와의 실체는 녹유기와가 분명해 보인다. 다만 녹유기와란 명칭은 통일신라시대에는 사용되지 않아 그대로 사용하기에 위화감이 없지 않으나, 학계의 소통 차원에서 그대로 존중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major flow of 『Samguksagi(三國史記)』 Oksajo(屋舍條) is the regulation of architecture. And ‘Dangwa’(唐瓦) is in there. Till now, various opinions were suggested on the true identity of dangwa such as ‘maksaegiwa’, ‘ammaksae’ and ‘nokyoogiwa’. Recently, an opinion, which is quite close to the true identity of dangwa, has been suggested.
    This paper adds the statements on dangwa as seen in various literature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ill now. 『Janganjido(長安志圖)』 was authored by Yi Hao-wen(李好文) of Yuan(元) by complementing the 『Jananji(長安志)』 authored by Sung Min-qiu(宋敏求) of Sung(宋). It was possible to find a mention on dangwa in 『Janganjido』. The explanation on dangwa in this literature is ‘nokyoogiwa’. Nokyoogiwa is different from general roof tiles by having a function of decorating the outlook of a building by applying low-firing temperature glaze on roof tile. It was acknowledged as a representative luxurious building material because it requires lot of complicated effort to make. Such trend is also found in Joseon period. There is an article in 『Joseonwangjosillok(朝鮮王朝實錄,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dissuading the manufacturing of dangwa to restrict luxurious trends. It implies that dangwa has close relation with luxury. It is in the same context of regulating article in 『Samguksagi』Oksajo. Mentions on dangwa are also found in other literatures such as 『Seungjeongwon Ilgi(承政院日記)』 and 『Mangiyoram(萬機要覽)』. When all these situations in the literatures would be combined, it is clear that the true identity of dangwa is ‘nokyoowa’. Though it is a bit difficult to use the name ‘nokyoowa’ retroactively to ancient period, the name will continue to be used for the sake of communication within academic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