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현대시기 용산 둔지미와 둔지미 부군당의 추이 (Development of Yongsan Dunjimi and Dunjimi Bugundang in Modern Time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5.12
28P 미리보기
근현대시기 용산 둔지미와 둔지미 부군당의 추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민속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민속학연구 / 37호 / 43 ~ 70페이지
    · 저자명 : 오문선

    초록

    1904년 한일의정서 제 4조에 의해 용산에는 1906년부터 일본군의 기지가 건설되었다. 용산기지에 수용된 마을 가운데 둔지미는 1908년에 현재의 용산가족공원 일대로 강제 이전(移轉)되었다. 1916년 일제가 일본군 20사단을 편성하면서 둔지미는 또 다시 수용되었으며, 1917년에 경기도 고양군 한지면 보광리(오늘날 용산구 보광동)에 집단이주하였다. 둔지미 사람들은 강제 이주 2년 뒤인 1919년 10월에 둔지미에 있던 무후묘와 부군당을 새롭게 정착한 마을에 이전하여 합사(合祀)하였다.
    일제강점기 둔지미가 두 차례나 이주당하는 과정에서 1919년 둔지미 부군당과 무후묘가 이전(移轉)되고 새롭게 정착한 마을에서 1964년 중수(重修)되었던 사실은 근현대시기 마을의 구심점으로서의 부군당과 이에 대한 둔지미 사람들의 인식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둔지미 부군당에는 둔지미 부군당의 연혁과 중수의 진행과정에 대한 기록자료들이 드물게 잘 남아 있어서, 둔지미와 둔지미 부군당의 연혁과 부군당 중수의 전체적인 진행과정, 그 과정에서 전개된 여러 상황들을 구체적으로 살펴 볼 수 있다.
    1964년 부군당의 중수과정에서는 부군당을 중수하기 위해 조직의 구성과 역할분담, 중수 경비의 마련 등이 주목된다. 그 밖에 이순신 장군과 둔지미 출신의 전몰장병 등을 추가로 봉안하고자 하는 여론과 이에 대한 의견의 수렴과정 등이 나타났다.
    부군당의 중수를 위한 조직구성은 기존의 제의조직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구체적인 역할의 분담이 이루어졌다, 중수를 위한 조직의 확대와 역할 분담은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중수에 필요한 경비를 마련하기 위한 전략적 측면도 내포하고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는 압축 성장 시기의 용산구 보광동 일대의 도시화가 반영되었는데, 원주민 외에 보광동에 정착한 외지인들 또한 부군당의 중수와 부군당제에 참여하게 됨으로써 전승의 기반이 둔지미 원주민 중심에서 지역민으로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64년의 부군당 중수 과정에는 미등기 상태의 무허가 건물이었던 부군당을 합법적인 건물로 만들기 위한 대외적인 노력도 상당히 전개되었다. 둔지미 부군당의 중수과정에서 이루어진 대외적인 활동은 개인의 인지도나 역량에 상당히 의존하였다.
    둔지미 부군당의 중수 과정에서는 이순신 장군과 둔지미 출신의 전몰장병을 추가로 봉안하고자 했던 여론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여론의 발생은 국가적 차원의 애국적 담론과 이에 부응하는 개인적 차원의 자발성에 의한 것으로, 전통이 재창조되는 계기로서 주목된다. 이를 통해서 전통이 재창조되는 계기가 몇몇의 여론을 선도하는 역할에 의해 추동될 수 있음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the article 4 of Korea-Japan Treaty of 1904, Japanese military base was built in Yongsan. Dunjimi was forcibly relocated to the area of existing Yongsan Family Park in 1916. It was expropriated again as the Japanese empire organized the 20th division of their army in 1916 and then, it was relocated in group to Bogwang-ri, Hanji-myeon, Goyang-gun, Gyeonggido (Bogwang-dong, Yongsan-gu at present). In October, 1919, 2 years after forced migration, Dunjimi people moved Muhumyo and Bugundang which were situated in Dunjimi to the newly settled village for enshrining together.
    The fact that Dunjimi Bugundang and Muhumyo were moved in 1919 in the course of immigration twic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and were rebuilt in the newly settled village in 1964 clearly shows recognition of Dunjimi people on Bugundang as a pivot of the village in modern period.
    Dunjimi Bugundang still keeps relatively sufficient records and one can specifically investigate history of Dunjimi and Dunjimi Bugundang, overall process of Bugundang rebuilding, and various situations thereof.
    In the rebuilding process of Bugundang in 1964, attention is drawn to formation of organization, role sharing, and preparation of rebuilding expenses. Besides that, there appeared public opinion and process of collecting the opinion of additional enshrining of admiral Yi Sun-shin as well as the fallen soldiers from Dunjimi.
    Formation of organization to rebuild Bugundang was made in a way to expand existing ritual ceremony and specific role sharing was made. Expansion of organization for rebuilding and role sharing also included strategic aspect to operate the organization efficiently and to prepare expenses necessary for the rebuilding . In the process, urbanization of Bogwang-dong area in Yongsan-gu during the compressed growth was reflected, and it is known that basis of victory was expanded from Dunjimi natives to local residents from the fact that people from other regions also participated in the rebuilding of Bugundang and Bugundang-je.
    During the process of Bugundang rebuildingin 1964, external efforts were considerably made in order for Bugundang, an unlicensed and unregistered building, to become a licensed building. External activities done the in the process of Bugundang rebuilding were much relied upon individual recognition or competence.
    During the process of Dunjimi Bugundang rebuilding, there appeared public opinion of additional enshrining of admiral Yi Sun-shin and the fallen soldiers from Dunjimi. Such opinion was made from patriotic discourse in the national level and personal spontaneity in the individual level, which attracts our attention as recreation of tradition. Through this, we can see reinventing momentum of tradition is promoted by role of leading public opin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8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