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48년 진찬의궤의 당화준(唐畫樽) 사용의 의의 (Chinese Vase (Danghwajun) in the Royal Banquet of Joseon Dynasty, 1848: The Significance of Its Use in the Analysis of the Royal Protocols (Uigwe))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1.06
52P 미리보기
1848년 진찬의궤의 당화준(唐畫樽) 사용의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화연구 / 40권 / 81 ~ 132페이지
    · 저자명 : 송인희

    초록

    19세기 전반 조선의 왕실 연향에는 이전 시기와 구분되는 새로운 현상이 나타났다. 19세기 초부터 이루어진 왕권 강화의 노력이 새로운 정재(呈才)로 가시화된 한편, 연향의 상차림 규모와 기물 사용에도 변화가 있었다. 그 중에서도 기물의 변화는 사용자의 신분에 따라 재질과 조형이 구별된다는 점에서 정치적 목적과 결부되거나, 중국산 자기로 추정되는 당기(唐器)의 사용 규모와 범위가 확대된다는 점에서 중국자기의 애호와 사치 풍조가 확산된 시대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19세기 전반 왕실 연향에서의 중국 자기류 사용 증가와 관련해 주목되어 온 것은 1828년부터 새로운 정재 일부에서 꽃을 담는 용기로 쓰이다가, 1848년에 이르러 연회의 중심 영역인 전각 앞을 장식하는 기물로도 등장했다는 점이다. 1848년 이래 ‘당화준(唐畫樽)’의 사용은 이제까지 의궤 도식의 분석을 위주로 연회의 성대함을 보이는 화려한 기물 정도로 파악되어 왔지만, 조선시대 내내 권위의 상징으로 왕실 연회에 자리했던 용준(龍樽)을 대신한 만큼 그 사용에 관해서는 여러 관점에서 좀 더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1848년 진찬에 당화준이 중심적인 장식물로 나타나게 된 맥락을 파악하고 그 의의를 이해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해당 의궤 뿐 아니라 19세기 전반 연향 관련 의궤를 재점검했고, 전반적인 기물의 사용상 내에서 당화준의 성격을 살펴보았다. 또한 도식(圖式)에 보이는 문양의 특징을 동시기 조선과 중국의 도자 문화와 함께 고찰해 그 의미를 조명하고자 했다. 이러한 시도는 19세기 전반 조선 왕실의 고급 기물에 대한 태도를 이해하는 동시에, 19세기 조선의 물질문화에 접근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a new, distinguishing phenomenon emerged in the royal banquets of the Joseon dynasty. While the reformation of music and dance performances in 1828 exemplifies the efforts to strengthen the monarch authority, the gradual change in the use of utensils has also been identified through the royal protocols of the early 19th century. It is particularly noteworthy that the usage of Chinese porcelain expanded from table-utensils to feast hall decorations and it became evident from the banquet in 1848.
    Since their first appearance only as part of the newly introduced court dances in 1828, Chinese flower vases, recorded as Danghwajun, were placed in a pair at center stage of the banquet in 1848. Previous studies identified them merely as an eye-catching object of the sumptuous feast and primarily focused on the stylistic analysis of illustrations in the protocols of royal banquets around the time. However, Danghwajun in 1848 requires an in-depth investigation of its usage and style, as this Chinese vase replaced the blue-and-white porcelain jar with dragon design which had long been a symbol of regal authority in the royal ceremonies of the Joseon dynasty.
    By scrutinizing relevant accounts in the royal protocols, this paper explores the context surrounding the appearance of Danghwajun as major part of the royal decoration in 1848. Stylistic analysis of the design aims to appreciate its value in the complex ceramic culture of the time. In doing so, this paper illuminates the significance of Danghwajun connoting the attitude of the royal house toward the items for their high-ranking events and further attempts to understand the burgeoning material culture in Joseon during the early 19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