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敬堂日記』에 나타난 꿈의 양상과 그 의미 (The Aspects and Meaningof Dreams in the 『Gyeongdang Diar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0.06
36P 미리보기
『敬堂日記』에 나타난 꿈의 양상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66호 / 213 ~ 248페이지
    · 저자명 : 김종구

    초록

    敬堂 張興孝(1564-1633)는 벼슬을 하지 않고 은거하여, 학문만을 탐구한 隱求之士이다. 은구지사는 관직에 연연하지 않고, 오로지 道學을 증진하고 실천한 인물이다. 그는 17세기 영남 성리학과 영남학파의 중심에 있는 인물이기도 한다.
    『경당일기』는 소실되어 총 2권이 남아있고, 내용은 講學이 그 중심을 이룬다. 본 논의는 일기에 나타나고 있는 수많은 꿈에 대한 기록을 분석하였다. 꿈의 양상은 다음과 같다. 먼저 그리운 스승과의 만남과 문답이 나타나고 있었다. 당대의 스승과 공자에 이르기까지 성리학의 宗師와 만나고 있었다. 다음으로 일상생활의 지극한 강학의 연장과 재현이 나타나고 있었다. 성리학과 관련된 책과 문답이 꿈까지 연장을 시켜 논의를 하고 있었다.
    경당 장흥효의 꿈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루지 못한 일상의 실현과 꿈을 통해 다시 성찰을 하는 계기를 완성했다. 장흥효는 유람, 詩會 등 일상에서 누리지 못한 풍류의 閒酬酢을 이렇게 누리고 있었다. 다음으로 장흥효는 퇴계학의 중심 사상을 이어받아 실천하고 있었다. 그 상황과 증거가 『경당일기』를 통해 나타나고 있었다. 그는 持敬과 求道를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꿈속에서조차 완성하려고 열정적으로 노력했다. 장흥효는 持敬과 求道를 통해 自得하여 賢人과 聖人이 되고자 했다.

    영어초록

    Gyeongdang, Jang, Heung-Hyo(1564-1633) was the Hermit who devoted himself to academic study by retreating to being out of the government without entering into the governmental post. He was only a person who promoted and practiced Taoism without clinging to the official position. He was also at the heart of the 17th-century Yeongnam Neo Confucianism.
    The “Gyungdang Diary” disappeared, but a total of 2 books still remain. The pursuit of study was the core content in these books. This study analyzed the discussions in the diary and the records of numerous dreams. The Aspects of dreams are as follows: First, Meetings and questions with a dear teacher were appearing. Great Masters of Confucianism from the masters of those days to a person named Confucius, he was meeting.
    Next, The extension and reproduction of the extreme tenets of everyday life were appearing. Questions and answers as well as Neo Confucian related books were discussed by extending its scope into the dream.
    The meaning of Gyeongdang, Jang, Heung-Hyo’s dream is as follows. First, he reflected on the placidity which was not realized on a daily basis through the dream. Jang, Heung-Hyo enjoyed Hansujak with refined taste such as sightseeing, and writing poems, which were not possible in daily life.
    Next, He inherited and practiced the central idea of the Toegye school. The way things are and evidence are seen in the Gyeongdang Diary. He passionately tried to complete respect and seeking the truth not only in his daily life, but also in his dreams. Jang, Heung-Hyo wanted to become a wise person and a saint through respect and seeking the tru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