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近代 畵僧 寶鏡堂 普現의 出草佛畵 硏究 (A Study of the Drafts for Buddhist Paintings by Modern Painter-monk Bogyeongdang Bohye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6.03
32P 미리보기
近代 畵僧 寶鏡堂 普現의 出草佛畵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89권 / 289호 / 155 ~ 186페이지
    · 저자명 : 윤선우

    초록

    보경당 보현은 1890년 서울에서 태어나 1979년 입적하기까지 경성부를 중심으로 활동한 화승으로 일제 강점기에 慶國寺에 주석하며 住持로서의 역할을 해왔다. 그는 1911년부터 1966년까지 약 60점의 불화와 불상을 제작하였고, 금어는 물론 증명이나 주지, 화주, 지전 등을 겸하였다. 특히 근대기 새로운 도상과 기법의 불화를 제작하여 축연을 비롯한 서울·경기지역 화사들의 계보와 화풍을 잇는 화사로서 주목되었다. 또한 보신각과 경복궁 경회루, 숭례문, 탑골공원 등의 단청을 도맡아 하여 당대 제일의 佛母라고 칭해지기도 하였다.
    그는 수화사 겸 출초화사로서 <괘불화>와 <지장시왕도>, <나한도>, <산신도>, <독성도> 등 다양한 도상을 출초하였다. 현재 그가 그린 초본은 1911년 個人 所藏 <현왕도 초본>과 1927년 神溪寺 <괘불화 초본>, 1932년 個人 所藏 <산신도 초본>이 있고, 1922년 津寬寺 <산신도> 및 <독성도>에 사용한 초본이 남아 있다. 그리고 불화에 출초라고 기록되어 있는 작품은 1917년 地藏庵 <지장삼존도>를 비롯하여 1920년 多率寺 <산신도>와 <독성도>, 1927년 奉國寺 <지장시왕도>와 <석가18나한도>, 1929년 戀主菴 <괘불화>, 1932년 石佛閣 <괘불화>, 1936년 慶國寺 <석가설법도>, <18나한도> 등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도상을 출초하는데 있어 전통적인 도상을 계승하려는 경향과 새로운 도상을 추구하는 2가지 경향을 동시에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전통적인 도상을 출초할 경우 전대 도상을 그대로 계승하는데 그치지 않고, 각종 모티브를 첨가하고 세부적인 디테일은 모두 변용하여 자기만의 도상으로 변화시켰다. 또한 새로운 도상을 출초 할 때는 창의력을 발휘하여 기존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도상을 창안하고, 유리 어항이나 화병 같은 선진 문물을 넣어 자기만의 색깔을 가진 개성적인 도상을 창출하였다. 더욱이 출초단계에서부터 모든 도상과 색을 계획하는 치밀함과 채색과정에서 화면에 산수와 인물을 단박에 그려 넣는 대범함을 동시에 갖추고 작품을 제작하여 출초화사로서의 능력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이처럼 보현은 전통적인 도상과 새로운 도상을 적절히 조화시켜 나간 근대 出草의 名人이자 근대불화와 현대불화의 가교역할을 한 중요한 화승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연구된 바 없는 보경당 보현을 통해 근대 불화와 초본의 중요성을 알리고 출초화사들을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Bogyeongdang(寶鏡堂) Bohyeon(普現) was born in Seoul in 1890. Until his death in 1979, he was active as a painter-monk(畵僧) in the Seoul area.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he lived at Gyeongguksa Temple and served as its head monk. Between 1911 and 1966, he produced approximately 60 Buddhist paintings and statues, while also serving various roles such as jeungmyeong (證明), juji(住持), hwaju(化主), and jijeon(知殿). Bogyeongdang is particularly notable for continuing the lineage and styles of Chugyeon(竺演, worked 1875~1930) and other painters in the Seoul and Gyeonggi-do areas by producing Buddhist paintings using new, modern motifs and techniques. He also painted the dancheong(丹靑) on Seoul landmarks such as Bosingak Belfry, Gyeonghuiru Pavilion in Gyeongbokgung Palace, Sungnyemun Gate and Tapgol Park buildings, gaining a reputation as the leading Buddhist painter of his time.
    In the roles of head painter and draftsman, Bogyeongdang produced a number of sketches for a variety of images, including gwaebul(掛佛), Ksitigarbha and the Ten Kings of Hell, Arhats, Mountain Spirits, and Enlightened Monks of Eminent Virtue. Drafts executed by Bogyeongdang including Hyeonwangdo(賢王圖, 1911, private collection), gwaebul at Singyesa Temple(1927), and Mountain Spirit(1932, private collection) are still extant. Sketches used for the paintings of Mountain Spirit and Enlightened Monk of Eminent Virtue at Jingwansa Temple(1922) also survive. He is also recorded as a draftsman for paintings including Ksitigarbha Triad at Jijang’am(1917), Mountain Spirit and Enlightened Monk of Eminent Virtue at Dasolsa Temple(1920), Ksitigarbha and the Ten Kings of Hell and Shakyamuni and Eighteen Arhats at Bongguksa Temple(1927), gwaebuls at Yeonju’am(1929) and Seokbulgak(1932), and Shakyamuni Preaching and Eighteen Arhats at Gyeongguksa Temple(1936).
    Bogyeongdang had two tendencies in creating drafts for Buddhist paintings: continuity of the production of traditional icons and development of new ones. When it came to producing sketches for traditional themes, the painter-monk did more than merely follow earlier models.
    Rather, he added various new motifs and sophisticated details of his own to produce new and unique works. The unique and distinctive images of modern items such as glass fishbowls or bottles Bogyeongdang included in the drafts demonstrate his creative talent as a draftsman. His talent is more vividly found in that he decided colors for all iconography in the stage of draft, and also in that he added landscape and human figures in the stage of coloring.
    Bogyeongdang was thus an excellent draftsman who combined traditional and modern motifs successfully. Also he was an important painter-monk who achieved the transition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 Buddhist paintings. This study aim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drafts for modern Buddhist paintings in Korea and the role of draftsmen by way of Bogyeongdang, who has never been the subject of study despite his achieve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