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금효당 약효(錦湖堂 若效)의 독성도(獨聖圖) 연구 (Study on Dokseongdo by Geumhodang Yaghy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3.06
26P 미리보기
금효당 약효(錦湖堂 若效)의 독성도(獨聖圖)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화 / 18호 / 46 ~ 71페이지
    · 저자명 : 신은미

    초록

    독성도는 1미터 내외의 작은 화폭에 산수를 배경으로 홀로 수행하는 존자를 그린 불화로 19세기 이후 본격적으로 그려지기 시작했으며 1950년을 하한으로 약 300여점 정도가 전국에 산재해 있다. 독성을 묘사하는 방식은 지역적 특성, 같은 유파, 동일 화사 등에 의해 도상의 전승과 모본의 활용이 많은 편이다. 이 중에서 19세기말 20세기 전반 독성도의 도상 특징과 배경 요소의 특징을 약효 작 도성도를 통해 살펴보았다.
    약효는 단일화승으로는 가장 많은 수의 독성도를 남기고 있으며 독성도상과 배경표현에서 스승, 동료 화승들과 영향을 주고 받으며 약효만의 독성도 양식을 성립해나갔다.
    처음으로 독성도를 제작하였던 견성암 독성도에서는 하단의 토파처리, 한쪽에 배치한 소나무 등 전체적인 구도를 도입하였다. 오른쪽 다리는 세우고 왼쪽 다리는 구부린 반가좌 형태를 취한 대비암 독성도에서부터 영지버섯이 지물로 등장하고 있으며, 존자 뒤의 소나무, 토파의 처리 등에서 마곡사 독성도의 영향을 받았다. 이처럼 약효는 초기 독성도상 형성 과정에서 스승들의 영향을 고루 섭렵하고 취사 선택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겪으면서 약효는 갑사 대비암 독성도에서 구름처럼 처리한 영지버섯을 손에 쥐고 한손에는 지팡이를 쥐고 앉아있는 독성의 모습을 표현할 수 있었고 이 독성 도상은 이후 약효 작 독성 도상의 전형으로 자리잡았다.
    산수묘사에 있어서는 약효는 한쪽에 치우친 소나무한그루와 존자의 뒤로 이어지는 토파, 구불구불한 절벽의 단면처리 등 뚜렷한 특징을 보여주며 특히 20세기 이후에는 소나무표현에서 약효의 전통이 확연히 드러난다. 배경 표현의 단순화, 당시 유행하던 절지화와 새가 함께 그려진 화조 형식의 표현, 특히 새의 모습에서 몸통이 굵고 통통하며 부리가 짧은 새를 그렸는데 머리 윗부분에 짧은 깃털이 있는 팔가조를 그림으로써 약효 특유의 새표현을 창출했다는 점 또한 독특하다. 약효 역시 당시 불화승들처럼 이 새를 묘사하는데 당시 유행하던 화보류의 도상을 받아들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처럼 약효 작 독성도는 19세기말 이후 독성도의 제작 경향을 잘 보여주고 있어 앞으로 전체 독성도의 현황과 화승들의 전승양상을 고찰하는데 기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Dokseongdo is a meter-long Buddhist painting that vividly portrays a hermit sage who achieved enlightenment through solitary spiritual practices, set against the backdrop of a serene natural landscape. This distinctive style of artwork gained popularity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and persisted until 1950. Today, approximately 300 extant pieces of Dokseongdo can still be found across the country. The portrayal of Dokseong varies depending on the region, school, and the master to whom the artist belongs. Generally, the iconography has been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and copies have been widely embraced, further contributing to the diverse representation of Dokseong.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conographic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elements of Dokseongdo during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o the early twentieth century, putting a focus on the artworks created by Geumhodang Yaghyo. Yaghyo, the foremost Buddhist monk painter known for producing a substantial quantity of Dokseongdo, developed his distinct style, both in terms of iconography and background. Notably, he actively engaged with his master and colleagues, fostering a vibrant exchange of ideas and influences. Yaghyo’s inaugural masterpiece, Gyeonseongam Dokseongdo, comprises a pine tree on one side and an embankment at the bottom. Meanwhile, Daebiam Dokseongdo depicts a sage in a half lotus sitting posture with a right leg extended and a left leg bent, while holding a reishi mushroom as a consecratory object. The presence of the pine tree behind the sage and the embankment bears clear influences from Magoksa Dokseongdo. Yaghyo selectively incorporated elements from his masters' artistic creations during his early career. Through Gapsa Daebiam Dokseongdo, Yaghyo skillfully portrayed the sage grasping a cloud-like reishi mushroom in one hand, while clutching a cane in the other. Remarkably, this distinctive depiction eventually evolved into his signature iconography. In terms of landscape depiction, Yaghyo positions a pine tree on one side, situates an embankment behind the sage, and incorporates a meandering path and cliff. Consequently, Yaghyo’s Dokseongdo stands as a remarkable representative artwork that embodies the artistic trends of the late nineteenth century. It serves as a valuable yardstick for evaluating Dokseongdo paintings and conducting critical analyses of Buddhsit painting line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