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당승(唐僧) 혜상(惠詳)의 채록으로 본 신라 불교설화 (The Silla Buddhist Tal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olk-tale Collection in Buddhist Monk Hyesang(惠詳) of Tang(唐) Dynast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6.12
30P 미리보기
당승(唐僧) 혜상(惠詳)의 채록으로 본 신라 불교설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연구 / 52호 / 121 ~ 150페이지
    · 저자명 : 김승호

    초록

    본 논의는 당나라 승려 혜상(惠詳)이 남긴 신라 시대의 불교설화를 살펴보는 데 있다. 먼저 밝힌 것이 혜상의 전기적 면모이다. 8세기 초에 등장하는 『석문자경록(釋門自鏡錄)』, 『홍찬법화전(弘贊法華傳)』, 『법화전기(法華傳記)』 등의 저자가 달리 표기되었다 해도 모두 혜상의 저서로 보아야 함을 지적하였다. 혜상은 설화가 후인들의 신심을 불러일으키는 단초로 작용하며 법화신앙의 공덕과 바른 신앙을 환기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된다는 점에 주목하고 당을 벗어나 이역, 이방인의 설화까지 적극 채록하였다. 이 과정에서 신라의 설화가 다수 포집되었으며 설화 전송자로서 신라승 달의(達義)의 존재적 면모가 확인되기도 했다. 채록의 후일담에 등장하는 달의는 나당(羅唐)간 설화 소통에서 누구보다 승려층의 역할이 지대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석문자경록』, 『홍찬법화전』에 보이는 채록 경위는 당나라 승려와 신라 승려의 만남을 넘어 8세기 초 나당간의 설화유통의 구체적 정황에 해당한다. 7세기 신라에서는 업보, 윤회설화 유형이 비중이 높았던 것으로 보이며 승려라 할지라도 보응의 원칙에 따른다는 뱀업 설화가 불가를 중심으로 폭넓게 전파되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이외 『홍찬법화전』에는 신라와 당의 전쟁 때 옛 고구려 땅에 종군했던 당(唐)병사의 신비체험이 두 가지 들어있다. 이들은 전장 속에서 일어난 법화공덕의 영험성을 밝히는 것들로 법화신앙에 무지한 사람들을 인도하고자 하는 채록자의 의지를 반영하고 있다. 『법화전기』 또한 백제승 발정(發正)이 제보한 관음영험의 사례가 들었는데 이 설화는 관음신앙의 백제 내 전파와 그 이면, 그리고 신라 내 영험담의 형성에도 영향을 끼친 사례라 할 것이다. 삼국시대 설화의 구체적 국면을 확인하고자 하지만 『삼국유사』 이외 별다른 자료가 없는 상황에서 혜상의 찬술물이 지닌 의미는 각별할 수밖에 없다. 혜상 찬술물 소재 신라, 백제자료의 설화사적 의의를 직시하고 그에 걸맞는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이후의 과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Buddhist tales in the three Kingdoms and in the Silla period that Buddhist monk Hyesang in Tang Dynasty left. What was clarified first is Hyesang's biographical aspect.
    It was indicated that Seokmunjagyeongrok(釋門自鏡錄), Hongchanbeophwajeon(弘贊法華傳), Beophwajeongi(法華傳記) of appearing in the early 8th century need to be regarded all as Hyesang's books even if having been written an author differently. Hyesang paid attention to which a folk tale becomes an opportunity of arousing the devotions of future generations and is usefully applied to evoking the charitable deeds and good faith in the Beophwa belief(法華信仰). In the face of being a monk in the Tang Dynasty, he extended the sphere of the folk-tale recording up to overseas far away without setting limits only to the Buddhists. The person to whom he gave the greatest help for collecting the Silla tales was a monk of having studied abroad named Dalui(達義) who came from Silla. The recording details, which are shown in Seokmunjagyeongrok and Hongchan- beophwajeon, are saying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the tale distribution between Silla and Tang Dynasty in the early 8th century simply beyond a meeting between a monk in the Tank Dynasty and a monk in Silla. In Silla of the 7th century, the relative importance of a type in Karma· reincarnation tale seems to have been high. It comes to be confirmed to have been broadly propagated a story of transforming into a snake as saying of being not exempted a sin even if being a monk.
    Other than this, Hongchanbeophwajeon is contained two mystery experience in Tang Dynasty's soldier who had accompanied an army of the area in Goguryeo during the Silla-Tang War. A recorder's intention is contained that aims to give a talk about the greatness of Beophwa good deeds by having the background as a battlefield with life and death coming and going, and accordingly to guide it to the Beophwa belief. Beophwajeongi is contained a case of Gwaneumyeongheom(觀音靈驗) that was given information by Baekje monk Baljeong(發正). This folk tale is noted as a case that had influence upon the hidden side of spreading the Avalokiteśvara faith within Baekje and even upon the formation of miraculous efficacy story within Silla. It is a fact of having been clarified all the aspects of Buddhist tale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through Samgukyusa(三國遺事),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and others. But it is true that the investigation into the history of folk tales in the Three Kingdoms is left as a task of being not easily solved. In that regard, it is considered to be special in a meaning that the Buddhist tales have in the Three States and Silla, which were recorded by Hyesang. A deeper discussion about this is reques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