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태공당 월주 대종사 승탑 건립을 위한 소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the Monks-Stupas in Taegongdang Great Monk Wolju'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3.11
23P 미리보기
태공당 월주 대종사 승탑 건립을 위한 소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103호 / 131 ~ 153페이지
    · 저자명 : 이현수

    초록

    이 논문은 통일신라부터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쳐 꾸준히 제작된 승탑의 변천을 살펴보고, 현대에 건립된 승탑 사례 등을 토대로 하여 태공당 월주 대종사의 승탑 건립에 대한 소견을 제시하였다.
    승탑은 입적한 고승의 유골을 모시기 위해 건립된 묘탑으로서 삼국시대부터 건립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현재 실물로 확인되는 초기 승탑은 9세기 중반경에 조영된 것이다. 이 승탑들은 중국의 선종 유입과 관련되며, 탑비와 함께 건립되었다. 특히 통일신라와 고려시대 승탑은 표면에 다양한 장엄 요소가 표현되어 있어 당시 조각 양식의 변천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남아 있지 않은 고려중기 이전의 목조건축 형태를 유추해 볼 수 있다는 점에도 매우 중요하고 가치있는 문화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억불숭유 시대였던 조선에서도 법통을 계승해 온 스님의 묘탑은 꾸준히 사찰 주변에 많이 조성되었고, 이전 시기보다 더 많은 양의 승탑이 제작된다. 조선전기 승탑은 고려시대 양식과 수법을 이어 받아 건립되었으나 임진왜란 이후인 조선후기에는 전통양식의 승탑보다는 단순한 형태의 석종형 승탑이 유행한다. 이렇게 꾸준히 건립되어온 승탑은 현대까지도 스님의 묘탑으로 조성되어 오고 있다.
    이 글에서는 태공당 월주 대종사 승탑 건립을 위해 평소 태공 월주께서 관심을 가지셨던 지관 대종사 승탑과 지관 대종사 승탑 건립의 토대가 된 여주 고달사지 승탑(국보)과 팔각당형 승탑 중 초기 형태인 전각형 탑신부를 갖춘 승탑을 참고하여 태공 월주 대종사 승탑에 대한 안을 제시해 보았다. 우선 여주 고달사지 승탑의 기단부와 쌍봉사 철감선사탑의 탑신부, 연곡사 동승탑의 상륜부로 구성한 것과 여주 고달사지 승탑의 기단부와 연곡사 동승탑 탑신부, 상륜부로 조합한 두 가지 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이는 제안일 뿐이고, 큰 틀에서는 전체 크기를 5m 정도로 하고, 귀룡문 기단부와 전각형 탑신석의 형태를 모티브로 하여 전체 비례와 세부 조각에 대해서 신중히 고민하여 승탑을 조영해야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transformation of the pagoda, which was steadily produced from Unified Silla to Goryeo and Joseon periods, and presented the opinions of Taegongdang Wolju Daejisaeng on the construction of the pagoda based on the case of the tower built in modern times.
    It is recorded that the stupa was built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as a tomb tower built to commemorate the remains of the deceased, but the early stupa, which is now confirmed to be real, was built around the mid-9th century. These towers were built along with the monument in connection with the influx of Zen Buddhism from China. In particular, the stupa of the Unified Silla and Goryeo Dynasty is a very important and valuable cultural heritage because various majestic elements are expressed on the surface, as well as the changes in sculpture style at the time and the form of wooden architecture before the mid-Goryeo period that does not remain. In addition, even in Joseon, during the period of Eokbul Sungyu, many tomb towers of monks, who inherited the Dharma drum, were steadily built around the temple, and more stupas were produced than in the previous period. The stupa of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built by inheriting the style and method of the Goryeo Dynasty, but in the late Joseon Dynast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 simple stone pagoda was popular rather than a traditional one. The pagoda, which has been steadily built, has been built as a tomb tower for monks until modern times.
    In this article, we presented a proposal for the tower of Daejusa Temple in Taegongdang by referring to the tower of Daejusa Temple in Jigwandasaji (national treasure) in Yeoju, which was the basi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tower of Daejusa Temple in Jigwandang, and the tower with an initial shape of an octagonal tower. First of all, two proposals were proposed: the base of the tower of Yeoju Godalsa Temple Site, the tower body of Ssangbongsa Temple's Cheolgam Prehistory Tower, and the upper wheel of Yeongoksa Temple's Dongyeondae Tower body of Yeoju Godalsa Temple Site, and the upper wheel part of Yeongoksa Temple's east wing tower. However, this is only a proposal, and in the large frame, the total size should be about 5m, and the overall proportion and detailed sculpture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with the motif of the base of the Guryongmun Gate and the shape of the front-shaped pagod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