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知命堂 河世應의 학문과 학자적 위상 (Ha,Se-eung's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Scholarly Statu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0.12
36P 미리보기
知命堂 河世應의 학문과 학자적 위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68호 / 41 ~ 76페이지
    · 저자명 : 구진성

    초록

    이 글에서는 18세기 초반 진주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知命堂 河世應의 학문 성향과 학자적 위상을 중점적으로 서술하였다. 하세응은 覺齋 河沆에서 松亭 河受一로 이어지는 남명학파의 가학 전통을 충실히 계승하여 당대에서 남명학문을 충실히 재해석하였다. 이러한 그의 학문 성향은 息山 李萬敷와의 학술 토론 과정에서 뚜렷이 표출되었다. 이만부는 강학을 통한 지식의 확충을 중시했지만, 하세응은 남명에 근거하여 실천이 강조되어야 하는 당위를 여러 측면에서 역설하였다. 하세응은 남명이 그랬던 것처럼 현실에 입각하여 판단했고, 그의 출처 자세와 학문 지향도 현실을 근거로 한 것이었다. 즉, 유학의 도가 실현될 수 없는 처참한 현실에서 출사를 단념하였고, 그러한 시대를 구제할 희망이 학자에게 있다는 인식하에 口耳之學을 극도로 경계하고 학문의 실천을 강조한 것이다.
    하세응의 학자적 위상은 來庵 鄭仁弘 계열의 남명학 계승자라는 측면에서 조명할 수 있다. 그의 가학 연원인 하수일은 정인홍의 문인이면서 남명학을 계승한다는 자부심이 있었던 인물이며, 하세응 종가에는 정인홍의 남명 변무 글을 모은 책이 현전한다. 따라서 하세응이 남명학의 현재적 가치를 역설한 사실 또한 정인홍의 영향과 무관할 수 없다. 정인홍이 남명학문의 가치를 적극적으로 천양한 앞선 행적이 가학과 문헌을 통해 하세응에게 전수되었던 것이다. 비록 인조반정 이후 남명학파는 침체되어 갔지만, 하세응과 같이 당대에 남명학을 자기화한 인물이 지속적으로 등장함으로써, 남명학문의 가치는 제고되고 남명학파가 특유의 정체성을 가진 채 전개될 수 있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focuses on the academic tendency and academic status of Ha,Se-eung, who was active in the Jinju area in the early 18th century. Ha,Se-eung is faithfully inherited the tradition of Nammyeong School from Gak-jae Ha,Hang to Song-jeong Ha,Su-il, and faithfully reinterpreted Nammyeong Studies in his time. His academic orientation was evident during his academic discussion with Sik-san Lee,Man-bu. Lee,Man-bu emphasized the expansion of knowledge through the lecture, but Ha,Se-eung emphasized in many ways the necessity for practice to be emphasized based on Nammyeong. Ha,Se-eung succeeded Nammyeong and judged it based on reality, and his source posture and academic orientation were also based on reality. In other words, he gave up his work in a miserable reality where the province of studying abroad could not be realized, and he was extremely wary of 'Guyijihak[口耳之學]' and emphasized the practice of learning in recognition of the hope of rescuing such an era. The scholarly status of Ha,Se-eung can be highlighted in terms of the successor of Nammyeonghak of the Rae-am Jeong,In-hong family. Although the Nammyeong School continued to stagnate after the King Injo's Rebellion, the value of Nammyeong Studies was enhanced through self-made figures like Ha,Se-eung, allowing the Nammyeong School to develop with its unique ident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