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高句麗와 唐의 箕子朝鮮 認識 檢討 (The Study on Tang and Goguryeo’s Perception of the Gija-Jose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6.09
32P 미리보기
高句麗와 唐의 箕子朝鮮 認識 檢討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경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경계 / 100호 / 171 ~ 202페이지
    · 저자명 : 송영대

    초록

    『尙書大傳』의 箕子東來說 성립 직후 箕子朝鮮은 서서히 역사적 사실로 수용되었다. 『三國志』 단계에서 箕子朝鮮은 濊 條와 韓 條에 수록되었으며, ‘箕子朝鮮-衛滿朝鮮-漢四郡’의 변천 인식이 처음으로 정립되었다. 『三國志』와 『後漢書』 이래로 중국에서는 箕子朝鮮에 대한 관념이 강화되었고, 魏晉南北朝時代의 ‘朝鮮’은 東夷에 대한 廣義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隋唐시대에는 조선이 고구려를 의미하는 것으로 변모하였다.
    隋代 이래로 裴矩와 唐 太宗 등은 고구려 정벌의 명분으로 郡縣回復論을 제기하였다. 唐代 墓誌銘에서도 조선의 존재가 모두 고구려와의 전쟁에 관련된 인물들에게서 확인된다. 결국 ‘高句麗-朝鮮’ 연계인식은 고구려 정벌의 주요 명분이자, 기자조선시대로의 회귀 의식으로 귀결되었다. 그 결과 唐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寶藏王을 朝鮮王으로 封하였다.
    고구려에서는 고조선을 계승하였다는 인식이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는다. 고구려 건국신화나 고분벽화를 단군신화와 연계시켜 보는 견해들이 있긴 하지만, 모두 역사적 사실로 납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고구려에서는 箕子神의 존재가 확인되는데, 이는 고구려가 조선을 자국과 연관시켜 이해하였고 기자신 존재의 필요성을 긍정하였기 때문이다. 고구려 유민 중에서 朝鮮人을 일컫는 사례가 확인된다. 이는 寶藏王이 朝鮮王으로 임명되었고, 중국 내에서 고구려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 대안으로 조선을 활용하였기 때문이다. 더욱이 고구려 유민들은 중국 내에서 삶을 영위하면서 중국인들의 인식, 즉 ‘고구려-조선’ 연계인식을 수용하여 자신들을 조선으로 일컫는 것을 인정하게 되었다.

    영어초록

    Gija-Joseon(箕子朝鮮) was gradually accepted as a historical fact after 《Shangshu-Dazhuan(尙書大傳)》 had covered the migration of Gija(箕子) to Korean peninsula. Similarly, 《Sanguozhi(三國志)》 presented Gija-Joseon in the section of the Biography of Ye(濊) and this record firstly established a chain of perception which is ‘Gija-Joseon → Wiman Joseon(衛滿朝鮮) → Four Commanderies of Han’. The concept had been reinforced since publication of 《Sanguozhi》 and 《Houhanshu(後漢書)》. Joseon(朝鮮) became a general term of Dong-Yi(東夷) and represented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Six dynasties period while the perception of Joseon was changed to represent it as Goguryeo(高句麗) during Sui-Tang period.
    Peiju(裴矩) and the emperor Taizong(唐太宗) of Tang insisted recovery of four commanderies. It is observed that all records of Joseon in the epitaph inscriptions made in Tang dynasties are attached to the figures related to Goguryeo war. A connection between Goguryeo and Go-Joseon(古朝鮮) played a major basis for conquest of Goguyeo. After attacking and destroying Goguryeo, Tang designated king Bojang(寶藏王) who was the 28th king of Goguryeo as the king of Joseon.
    However, a sense of succession is not clearly identified in Goguryeo side. Although there is an opinion focusing on the connection between Goguryeo’s birth myth or its tomb paintings and Dangun(檀君) myth, it seems difficult to consider these all as historical facts. Goguryeo accepted history of Joseon making connections with their own history that resulted in cult of Gija. After the fall, drifting people of Goguryeo in China were sometimes called as Joseon people. It is because that King Bojang had become King of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경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