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金三宜堂 한시의 텍스트비평 (A Textual Criticism on Kim Sameuidang's Poet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6.03
36P 미리보기
金三宜堂 한시의 텍스트비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61호 / 7 ~ 42페이지
    · 저자명 : 박영민

    초록

    본 연구는 여성의 시문집의 필사와 간행에 어떤 심급의 흔적이 남는지, 여성의 시문집에 개입된 흔적을 지우고 오염된 부분을 걷어내어 원래의 저자의 원고에 가까운 비평본을 만들어내는 작업이 가능한지를 시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삼의당고』의 필사본과 간행본의 생성과 전승에 나타나는 특징과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삼의당고』의 필사본은 1차 필사를 하고, 적절한 위치를 찾아 삽입하고 제목을 붙이는 2차 필사를 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것이다. 간행본은 필사본에서 독립된 작품으로 존재하던 것을 어떤 기준에 따라 연작시로 묶고 제목을 바꾸고 배열을 바꾸는 과정에서 생성된 것이다. 필사본과 간행본의 차이는 시집의 구성, 시의 제목이 무엇인가, 연작시인가 아닌가, 창작 시기를 언제로 보는가, 원래의 시어가 무엇인가뿐만 아니라 어떤 의도로 필사하고 편집하였는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범위에 걸쳐 나타난다. 필사본과 간행본의 차이는 필사자와 간행자의 의도가 개입되어 발생한 흔적임을 보여준다. 『삼의당고』는 필사본이 삼의당의 초고에 좀 더 가깝고 간행본은 편집자의 의도에 따라 변형이 많이 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삼의당의 문학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필사본을 선본으로 하고 간행본을 적절하게 활용해야 한다. 그런데 현재 삼의당 연구는 거의 대부분 간행본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오독의 여지가 있다.
    필사본 『삼의당고』는 전반부에 규범적 관습적 영역의 시, 중반부의 “艶詞”, 후반부의 “村居雜詠”의 주제별 구성을 취하였다. 주제별 구성은 작품의 특징을 부각시키는 방법이다. 필사본은 삼의당이 사족 가문의 여성임에도 불구하고 “염사”를 많이 지었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삼의당이 농염하고 질탕한 악부시를 의고할 수 있었던 것은 그녀가 일상에서 남편과 함께 많은 戀詩들을 주고받으며 자신의 감정을 진솔하게 표출하는 경험을 하였고, 민간의 가요를 채집한 것이 악부와 『시경』이 되었다는 전범을 자신의 창작과정에서 확대하고 실천하여 간 데에 이유가 있었다. 간행본은 창작 시기 순으로 배열을 하여 인물의 생애, 일대기를 강조하는 구성을 취하였다. 그리하여 간행본을 순서대로 읽어보면 삼의당이 榮親과 離別 사이에서 얼마나 심한 갈등을 하였는지를 잘 살필 수 있다. 간행본의 저본의 편집자들은 삼의당을 남편을 독려하고 영친을 추구한 모습으로만 알리고자 하지 않았다.
    삼의당의 생애나 한시 연구가 사상누각이 되지 않으려면 텍스트에 대한 정밀한 분석이 전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향후 『삼의당고』의 비평본 구축을 위한 토대 마련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Majority of current studies on Sameuidang’s literature have been completed through the edited and published versions. However, a comparison between the transcribed and the published version suggests that Sameuidang’s initial works have been altered by the editor’s intentions. In this context, a thorough analysis on Sameuidang and her works must be conducted so as to build a concrete clear foundation for research. To this aim, this study conducted a textual criticism to examine and compare how the transcribed and published works of Sameuidang have been created and handed down.
    The transcribed version of Sameuidanggo is seen to have been produced by an initial transcription followed by another transcription that created the title and identified an appropriate spot to place the work. Meanwhile, the edited version was created by compiling individual works under a series of literature with specific categories. Transcribed and published works can be differentiated from many aspects, which include: arrangement of poems, title of poems, whether or not the poem is part of a series, assumed time of creation, original language and tone of poem, intention of the transcriber and editor, etc. A review on these differences indicate the transcribed version to be more identical to the initial version while the published version went through alterations of the editor. Hence, in conducting research on Sameuidang’s literature, it is essential to regard the transcribed works as primary focus for study and the published versions secondary. However, most studies regarding Sameuidang’s works have been conducted through the lens of the published versions, which can lead to misinterpretations.
    This study hope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critique on Sameuidanggo. Furthermore, this study hopes to shed light to the work of verifying the authenticity of Sameuidang and her work Sameuidangg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