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한경의 당대사 서술 배경과 현실 인식 (The Background of the writing glycometabolism of Henry De Young and his reality perception)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2.06
39P 미리보기
정한경의 당대사 서술 배경과 현실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史學報 / 45호 / 169 ~ 207페이지
    · 저자명 : 장경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재미한인독립운동가 정한경의 당대사 인식을 그가 발간한 저서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1890년생인 정한경은 중부 네브래스카에서 석사를, 동부 아메리칸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가 쓴 석사 논문은 미국의 동아시아 정책 및 일본의 침략적 외교를 규탄한 내용이었고 이는 『The Oriental Policy of the United States』라는 이름으로 발간되었다. 한국이 일제강점기 이전 다양한 국가들과 조약을 맺고 있었으며, 일본의 침략으로 이 국가들과의 관계가 단절되었다는 사실을 미국에 처음으로 밝혔다는 점에 있어 의의가 있다. 또한 5천 장의 팜플렛과 1만 편의 정기간행물을 토대로 일제강점기 한국의 3·1독립운동과 일제의 식민지배 실상을 알리는 『The case of Korea』를 박사학위 논문으로 집필하였다. 한국 내 서양인 선교사들을 통해 획득한 자료와 저널에 실린 자료를 토대로 당시 일제의 폭압적인 한국 식민지배를 구체적 사례를 들어 설명하였다. 정한경은 박사학위 졸업식 때 이 책을 주제로 강의하였을 뿐만 아니라 미국 전역에 이 책이 보급되기에 이른다. 두 저서에 나타나는 공통적인 단어나 표현들은 정한경이 작성한 독립청원서, 위임통치청원서, 필라델피아 제1차 한인대회 당시 발간 책자에 등장 한다.
    1947년 『The Russians came to Korea』를 발간하여 미국의 한국 진주를 긍정하는 한편, 소련의 북한 진주에 대해 비판했다. 또한, 한국에서의 미군정의 통치가 매우 민주적으로 이루어졌다고 보았던 반면, 북한에서 소련의 통치는 매우 억압적이었다고 판단했고, 남한내 공산주의와 북한 김일성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1958년부터 1963년까지 그가 직접 경험한 한국근현대사의 통사(원저 『The Americans came to Korea』)를 저술하였고 이 책은 그의 사후 2000년에 발간되었다. 이 책은 민주주의 및 군사독재와 관련한 그의 비판적 시각이 담겨져 있다.

    영어초록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learn about Henry De Young’s persperctive on history through his published book. Henry De Young is an independence activist in America. Henry De Young who was born in 1890, moved to America and earned a master's degree in Nebraska University and a PhD from American University.
    His master's thesis, titled "The Oriental Policy of the United States," criticized the United States' East Asian policy and Japan's assertive diplomacy. It is notable in that Korea was the first country to reveal to the U.S that it had made treaties with numerous countries before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at the invasion of Japan had severed ties with them. In addition, his dissertation based on 5,000 pamphlets and 10,000 magazines was created on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Case of Korea” which promotes March 1st Movement and Japan's actual colonial control. The despotic Korean colonial rule of Japan was explained with particular examples based on data gathered by Western missionaries in Korea and data published in the journal. Henry De Young not only gave a speech on the subject of the book at her Ph.D. graduation, but also distributed it across the United States. The independence petition made by Henry De Young, the mandate petition, and the brochure issued during the first Korean Congress in Philadelphia all include common terms and expressions.
    He published “The Russian Came to Korea” in 1947, praising the United States' military presence in Korea while denouncing the Soviet Union's military presence in North Korea. Furthermore, while the military administration of the United States ruled South Korea in a fairly democratic manner, the Soviet Union ruled North Korea in a very oppressive manner, and it held a negative view of communism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s Kim Il-sung. He wrote the original book The American Came to Korea, which he experienced directly, from 1958 to 1963, and it was published after his death in 2000. His critical views on democracy and military rule are presented in this wor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