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 멸망기 당의 신라 침공 계획 (Tang's Silla Invasion Plan at the Time of Baekje's Destruc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9.12
37P 미리보기
백제 멸망기 당의 신라 침공 계획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 / 33호 / 373 ~ 409페이지
    · 저자명 : 이민수

    초록

    670년대에 전개된 新羅-唐 전쟁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는 과정에서 발발된 전쟁이라는 점에서 적지 않은 주목을 받아왔다. 종래에는 전쟁의 원인에 대해 신라와 당이 옛 百濟의 영토를 두고 이해관계가 상충되면서 발발한 전쟁으로 이해하였다. 그런데 『三國史記』 金庾信傳에 의하면 당은 이미 660년 백제 泗沘城 함락 직후에 은밀히 신라까지 공격하려고 했으나, 신라가 대비를 하자, 철군했다고 한다. 이에 의하면 신라-당의 근본적인 전쟁 원인은 당의 팽창 야욕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내용은 오직 김유신전에만 전하고 있기 때문에 교차검증을 하는 것에 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이 기사를 간과하거나, 부정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으며, 반대로 이를 긍정하여 적극적으로 분석한 견해는 극소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존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삼국사기』 및 『日本書紀』 등의 관련 시기 내용을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659년에 당은 백제 침공군을 편성하였으나, 동맹국이었던 신라에게 통보하지 않은 의심스러운 정황이 드러났다.
    이와 관련하여 비교적 근래에 발견된 「馮師訓墓誌銘」에 의하면 660년 백제 공격이 성사되기 이전인 659년에 高宗이 蘇定方에게 雞林道大摠管을 제수했다고 한다. 주지하듯이 雞林道는 신라를 공격하는 군대를 의미한다. 이는 김유신전에 전하는 당의 신라 침공 계획 기사와도 일맥상통한다. 당은 백제로부터 신라를 구원하는 척하면서 은밀하게 침공할 계획까지 세워 강대국의 논리로 철저하게 기만한 것이었다.
    650년대 당은 대내외적인 정황에 따라 대외팽창 정책이 강화되고, 주변국을 羈縻州化하여 천하를 통일하고자 하였다. 당의 신라 침공 계획은 이러한 분위기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당은 백제를 멸망시키는 과정에서 신라를 침공하는 행위가 고구려를 멸망시키는 것에 있어 실질적인 이득이 없다고 판단하여 잠정 중단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신라는 멸망의 위기를 무사히 넘길 수 있었으나, 일부 당군은 여전히 백제의 옛 영토에 주둔했기 때문에 신라와 당의 전쟁 가능성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즉, 659년의 당의 신라 침공 계획은 천하통일의 완성과 중원 중심의 국제질서 확립이라는 팽창야욕에서 비롯된 것이다. 당의 이러한 신라에 대한 야욕은 향후 670년대에 전개된 신라-당 전쟁의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영어초록

    The war between Silla and Tang Dynasty, which was in the 670s, has drawn considerable attention because it was a war that broke out in the course of Silla's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In the past, the cause of war was understood as a conflict of interest between Silla and Tang over the territory of the former Baekje.
    Meanwhile, according to the Kim Yu Shin part of Samguk Sagi, Tang had already tried to secretly attack Silla right after the fall of the Sabi Castle of Baekje, but withdrew when Silla was prepared. According to this,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war between Silla and Tang can be attributed to Tang's ambition to expand. However, this information is only given in the Kim Yu Shin part of Samguk Sagi.
    In this paper,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we reviewed the contents of related period such as Silla part of Samguk Sagi and Nihonshoki. As a result, in May of 659, Tang organized an expeditionary force for Baekje, but in October it revealed a suspicious situation that did not inform Silla, who was an ally. In this regard, a relatively recent discovery, "Feng Shixun’s grave name," suggests that Emperor Gojong of Tang subcontracted the Gyerim Attacking army general to Su Dingfang in 659 before Baekje attack took place in 660.
    As you may be aware, Gyerim Attacking army general means an army that attacks Gyerimdo Island, or Silla. This showed that Tang's plan to invade Silla was real in 659. Tang pretended to save Silla from Baekje and secretly carried out the Silla attack plan, which was a thoroughly proud act of the great power.
    As for the cause of Tang's attempt to attack Silla, it is unknown due to the lack of records. In the 650s, Tang wanted to unify the kingdom by strengthening its foreign expansion policy in accordance with internal and external circumstances, and by making neighboring countries a signatory. Tang's plan to attack Silla is believed to have been based on this atmosphere.
    In the process of destroying Baekje, Tang temporarily suspended the invasion of Silla and continued its alliance with Silla, judging that it had no real benefits in destroying Goguryeo. As such, Silla was able to safely overcome the crisis of extinction, but the possibility of a war between Silla and Tang did not completely disappear because some of its troops were still stationed in the former territory of Baekje.
    In other words, Tang's plan to invade Silla in 659 stems from its expansion ambitions of completing the unification of the two countries and establishing a central and central international order. This ambivalence on Tang 's Silla served as an important cause of the war between Silla and Tang in the 67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