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唐 傳奇에 나타난 사후세계 고찰 (A Study on Tang Chuanqi from the Structure of Afterlif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9.05
22P 미리보기
唐 傳奇에 나타난 사후세계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문화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문화연구 / 44호 / 1 ~ 22페이지
    · 저자명 : 김낙철

    초록

    당 전기는 중국 고대 문언소설의 생성과 발전 그리고 쇠퇴까지 신괴 ․ 풍자 ․ 호협 ․ 애정 등 다양한 작품군의 등장에도 불구하고‘기이한 것을 전한다.’는 본래의 창작 취지에 맞는 신괴류 작품들이 끊이지 않았다. 이는 대부분 전기 작가들이 현실에 대한 도전 의식을 보이면서도 여전히 유교와 불교 및 도교 같은 종교 철학과 문화 사상 범주에 머물며 형이상학적 이상을 추구함으로 인해 생긴 당연한 결과였다. 흔히 애정류 작품들을 전기소설의 가장 발전된 형태라고 하지만 그것이 현실성 및 복잡한 서사구조를 중시하는 문학의 진화론적 관점에 따른 고전적인 평가였다면, 이제 낭만적이고 환상적인 소재의 긍정적 측면 즉 독자들에게 잠시 각박한 현실의 시름을 잊고 영적 황홀감과 공포감의 카타르시스를 제공함으로써 전기소설의 양적 팽창을 가져왔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 중 사후세계 문제는 만물의 영장인 인간 존재를 향한 탐구심의 발로였으며 당 전기 작품들의 일대 관심사였다. 본고는 이러한 소설 소재의 독립성과 중요도에 착안하여 기존에 다수 연구된 사후세계관의 철학적 사유체계를 논하기보다 당 전기소설에 나타난 사후세계가 이야기 구성에 어떻게 운용되었는지 탐색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삼았다. 그래서 사후세계를 묘사한 「齊推女」․「崔環」․「馬僕射總」․「齊饒州」․「吳全素」․「南纘」․「党氏女」․「張寵奴」․「離魂記」․「杜子春」․「霍小玉傳」․「李章武傳」등 11개 전기소설들을 가지고 네 가지 모티프 즉 영혼불멸, 소생, 환생, 불가지론으로 나누어 작품 분석을 진행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began to clarify the world after death of Tang Chuanqi(唐傳奇) novels by making an abstraction and analysis of their structure. Tang Chuanqi was a form of short story in the classical language which developed in the Tang dynasty. Many Authors of Tang Chuanqi often thought of death, they were afraid of death, they believed in afterlife. So, what did they imagine for that? What did they want to be in rebirth? Afterlife is the belief that an soul continues to manifest after the death of the physical body. According to novelists's ideas about the afterlife, the soul may be reborn into this world and begin the life cycle over again. Such rebirths and deaths may take place over and over again continuously until the individual gains entry to a spiritual realm or otherworld. Therefore, major views on the afterlife derive from religions. Reincarnation is the philosophical or religious concept that the non-physical essence of a living being starts a new life in a different physical form or body after biological death. It is also called rebirth or transmigration, and is a part of the Saṃsāra doctrine of cyclic existence. A belief in rebirth metempsychosis was held by Greek historic figures, such as Pythagoras, Socrates, Plato, etc. Tang Chuanqi novels of that type were formed literally from superstitious atmospheric force of nature theory including Confucianism, Buddihsm, Taoism, and writers mixed four patterns - many types of soul, rebirth, resuscitation and agnosticism - from these religions for attract the interest of many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