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唐 玄宗의 佛敎 대책과 開元寺 (The Measures on Buddhism and the Kaiyuan Monasteries under Tang Emperor Xuanzong)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8.09
34P 미리보기
唐 玄宗의 佛敎 대책과 開元寺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史叢(사총) / 95호 / 131 ~ 164페이지
    · 저자명 : 정순모

    초록

    玄宗시기는 開元之治라 회자되는 태평성세를 구가하였지만 天寶연간 이후 쇠락의 길을 걸었다. 그 이유는 武后이래 진행된 각종 사회・경제적 폐해와 주변 민족의 강성에 따른 위기 등을 일시적으로 극복하였을 뿐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웠기 때문이었다. 현종시기 개혁의 한계는 분명 사회・경제적 모순을 타개할 더 이상의 현실적 수단이 결여된데 있었지만 史書상 기재된 외면적 이유는 현종의 정치에 대한 염증이나 미신 숭배, 사치, 허영 등으로 전해지고 있다. 현종이 집권 직후 추진한 불교에 대한 개혁적 대책도 결국 중국사회에 뿌리내린 불교와 타협하였고 나아가 불교를 정치적으로 활용하는 길을 모색하였다.
    玄宗의 불교 관련 대책은 당시의 각종 불교 폐해를 肅正하면서 정적의 견제에 주안점을 두었다. 이는 주로 左道 척결을 명분으로 진행되었고 化度寺 無盡藏院의 철폐를 거쳐 일반 백성들과 승니들의 교류를 엄금하는 것으로 절정에 달했다. 開元20년(732) 이후 당조의 불교 대책은 크게 변모하였다. 불교계는 황제의 福을 비는 등 현종과 호의적 관계를 추구하였다. 마침 현종도 도교의 長生術에 심취하고 密敎의 주술에 관심을 보였던 시점이었다. 그 결과 開元23년(735) 『御注金剛經』이 반포되었고 開元26년(738)에는 開元寺가 건립되었다. 이런 점에서 開元寺는 당조와 불교의 타협이었고 開元연간 사원 대책의 최종 결산이었다.
    開元寺는 황제 권위를 선양하는 장소로 활용되었다. 현종은 개원사에 전통 官寺의 기능을 계승시키면서 寺名에 연호를 내세워 그 권위를 한층 선양하였다. 더욱이 현종은 자신의 생일인 千秋節 경축 행사를 개원사에서 거행시켰을 뿐만 아니라 佛像과 함께 皇帝像을 안치시켰다. 이는 단순한 황제 권위의 선전과 고양을 넘어 자신을 부처에 견주려 했던 우상화 작업이었다. 皇帝像의 안치로 황제 권위는 神聖化될 수 있었고 시각효과의 극대화도 기대할 수 있었다. 開元寺가 玄宗의 私的 기대를 충족시키는 장소로 부각된 시점부터 治世가 끝나가고 亂世의 싹이 트기 시작하였다.

    영어초록

    The Kaiyuan period of the Tang emperor Xuanzong brought harmony, but the emperor walked on the road of decline after the Tianbao period. That was because all the socio-economical problems and the crisis by powerful nomads were not thoroughly overcome and all kinds of measures couldn't resolve the fundamental problems. The limitations of the reformations in the Xuanzong period was due to the lack of realistic means to break through the social and economical contradiction. But on the other hand, the historical records say that the reasons for Xuanzong’s downfall stem from his tiring of politics, worshipping superstitions, extravagance and vanity. Ever since the Xuanzong regime, his reformative measures on the Buddhist society eventually compromised with the Buddhist that was deeply rooted in the Chinese society. Futhermore, he sought for a way to use Buddhism in politics.
    The measures on Buddhism of Tang regime focused on controlling political enemies by addressing prevalent problems within the Buddhist society before Xuanzong’s coronation. This usually proceeded in the justification of eliminating the sinister way, and reached its peak by strictly prohibit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oners and the Buddhist monks after the abolition of the Inexhaustible Treasury in Huadu Temple. The measures on Buddhism of Tang regime greatly changed after twenty Kaiyuan years. The Buddhist society blessed the emperor and pursued a favorable relationship with the emperor to which Xuanzong responded. This is the period when Xuanzong was fascinated with the Art of Long Life of Daoism and became interested in charms of tantric Buddhism. As a result, Kaiyuan monasteries were built in twenty-six Kaiyuan years. And this was the compromise of the Tang Dynasty and the Buddhist societies as well as the final result of the measures on monasteries throughout the Kaiyuan era.
    Xuanzong attempted to utilize the Kaiyuan monasteries as a place to boost his power as emperor. The Kaiyuan monasteries inherited the function as the state monasteries and Xuanzong named the monasteries after the name of his reign era to propagate and enhance his power as emperor. For this reason, Xuanzong held his birthday ceremony in the Kaiyuan monasteries. In addition, the Kaiyuan monasteries placed the statue of emperor Xuanzong along with the Buddha. This was beyond just boosting the imperial power. It aimed idolization of the emperor ranking with the Buddha. By placing the statue of the emperor, the imperial power could be consecrated and the expansion of the visual effect could be expected. The point where the Kaiyuan monasteries became the place of satisfying Xuanzong’s personal desires was the end of the harmonious times and the start of the chaotic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史叢(사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