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혁당 사건의 소설적 수용 (Fictitious acceptance of the Inhyeokdang incident -Focused on the narrative strategy of the series 『Pu-leun hon』-)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9.06
25P 미리보기
인혁당 사건의 소설적 수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98호 / 7 ~ 31페이지
    · 저자명 : 심지현

    초록

    인혁당을 둘러싼 공식 담론은 조작이다. 2차 인혁당 사건이 발생한 지 30년이 훌쩍 지난 2008년에서야 사건 관련자들의 무죄판결이 확정됨으로써 이 사건은 일단락되었다. 작가 김원일이 인혁당 사건을 소설화한 시기는 1974년 4월을 둘러싼 법리적 판단이 한창 진행되던 때였다. 본고에서는 김원일의 『푸른 혼』(2005)이 허구의 틀을 빌려 어떠한 방식으로 인혁당 사건을 복원하고 형상화하고 있는지 살피고, 그 가운데 활용한 서사화 전략을 분석하고자 했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설 『푸른 혼』은 인혁당 사건이 반공 유신 냉전시대에 자행된 국가폭력의 결과라는 공식담론의 문학적 버전에 해당한다. 소설은 ‘인혁당 8인의 개인사’와 ‘인혁당 사건의 실체’라는 두 서사를 결합하고 있다. 6편의 소설은 미시적 차원에서 그간 베일에 싸여 있던 인혁당 8인의 생애에 초점을 두고 이들의 출생에서 죽음에 이르는 비극적 개인사를 부각하는 한편, 이들 인물 간 얽히고설킨 관계를 연작 형태로 보인다. 이들 연작을 관통하는 개인사는 실제 희생자의 삶과 닮아 있다. 따라서 소설집 『푸른 혼』을 구성하고 추동하는 문제의식의 중심에는 인혁당 8의 죽음을 애도하는 비체험자의 증언이 놓여 있다 하겠다.
    둘째, 1960-70년대를 바라보는 작가의 현실인식은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소설쓰기로 가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푸른 혼』에서는 합법을 가장한 사법살인, 독재권력 유지를 위한 횡포, 연좌제, 억압당하는 인간성, 진보적 변혁운동의 실패 등 좌파 지식인들을 억압했던 극우 반공이데올로기의 역사적 불구성을 비판하려는 작가의도를 엿볼 수 있었다.
    셋째, 소설의 제목 『푸른 혼』은 과거사의 진실이 밝혀져 인혁당 8인의 명예가 회복된다하더라도 불귀의 객이 된 그 사실은 변할 수 없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작가는 인혁당의 구체적인 이념지향이나 활동상보다는 국가 폭력에 의해 희생당한 개인의 삶과 그 가족들의 억울한 심정, 그 정서를 공유하는 데 무게를 두고 있다. 다시 말해 인혁당을 바라보는 작가의 시선은 수난에 머물러 저항까지 나아가지 못했다. 인혁당을 바라보는 수난의 시선은 독자들도 인정하고 있는 바이다. 결론적으로 『푸른 혼』은 동일한 질량으로 인혁당의 수난의 서사와 저항의 서사를 안배하지 못한 불균형 서사로, 이 사건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확대하는 데 한계가 있다 하겠다.

    영어초록

    The official truth surrounding the Inhyeokdang incident, which was an underground organization for overthrowing the state is the manipulation by the Korean government at that time. Not until 2008 when the people concerned were found no guilty more than 30 years later was the second Inhyeokdang case over. The time background of the novel is April, 1974 which was in the middle of a trial about Inhyeokdang incident. In this paper, I tried to analyze how Kim Won-il's 『Pu-leun hon』(2005), called Pu-leun hon in Korean, borrowed a fictional framework to reconstruct and shape the case of Inhyukdang inciden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ovel 『Pu-leun hon』 is a literary version of the official discourse that the event of Inhyeokdang was the result of national violence committed during the Cold War period. The novel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two narratives-the personal history of the “eight innocent individuals” and “the reality of the Inhyeokdang incident.” The novel focuses on 8 members' lives of Inhyeokdang who have been wrapped in a veil so far on a microscopic level, and shows the tragic personal history from their birth to death, while showing the entangled relationship between these characters. the characters' history of the story is similar with real victims' one because this novel was written based on the fact.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testimony’ of the non-experienced persons such as their family members and villagers lies in the center of the critical mind of the writer that constitutes and drives up the novels.
    Second, It is not until a recent date that it is possible for the writer to create this kind of novel which was brought out an ideology argument which was a social taboo in the Korean society in the 1960s and 70s. In this book, recognition of the artist's view of the 1970s, including the seemingly legal murder of the judiciary, the tyranny for maintaining dictatorship, the humanity to be oppressed, the failure of the progressive transformation movement, and the recognition of reality intends to criticize the historical unconformity of the extreme right, anti-communist ideology that oppressed left wing intellectuals .
    Third, the novel, Blue Soul, is trying to show that even though the innocence of the 8 individuals involved is revealed through the trial, it is impossible to bring the wrongful death of the victims back to original states. The author shared the unfair feelings and emotions of the victims and their families who were victimized by the violence of the state rather than the ideological orientation or activity of the Inhyeokdang. The artist′s eyes on the Inhyeokdang remain only suffering without progressing to resistance. The reader′s view of the hardships of the Inhyeokdang is also empathized by readers. Therefore, 『Pu-leun hon』 can be regarded as an imbalance narrative which fails to arrange balance between the suffering and resistance of the Inhyeokdang properly. there is a limit to expanding the range of recognition of this ca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