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新羅 法幢의 新考察 (A New Consideration on the Boepdang Corps of the Sill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8.05
48P 미리보기
新羅 法幢의 新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구사학 / 131권 / 77 ~ 124페이지
    · 저자명 : 이문기

    초록

    이 논문은 外餘甲幢의 異稱이 外法幢이라는 사실을 단서로 삼아 신라의 초기 지방군제인 法幢의 실체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법당은 선행연구들에서 ‘법당 관칭 군관’이 배속된 10여종의 부대가 소속된 거대한 군사조직으로 본 군단상과는 매우 다른 군사조직이었음이 밝혀졌다. 논의를 통해 확인된 법당의 군단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법당은 지방 거점에 설치된 여러 개의 소부대로 구성된 지방 군사조직으로서 소부대의 숫자는 대략 33개로 추정된다.
    둘째, 법당의 병력은 재지 유력자를 매개로 그것이 설치된 지역의 주민들을 징발․편성한 농민병사였고, 여기에 2계열(당주계열과 두상계열)의 왕경인 출신 군관들이 파견되어 이들을 지휘하였다.
    셋째, 5세기 말에 이르면 신라는 국가적 차원에서 지방군제가 필요해졌으며, 지방민을 병력자원으로 삼을 수 있는 시스템도 갖추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524년에 최초로 지방 거점에 법당과 법당주가 설치되었으며, 이후 영역의 확대와 지방 지배의 진전에 따라 법당의 소부대들도 점차 증치되었다.
    넷째, 설치 초기의 법당은 당주계열의 군관이 배속되어 실전을 대비한 군사훈련을 시행하고 유사시에는 戰場에 출전하기도 하는 전투부대의 성격을 가진 군사조직이었다. 그러나 6세기 중후반에 廣域州를 軍管區로 하는 본격적인 지방군제로서 停制가 시행되면서부터 법당은 전투부대로서의 속성이 약화되고 점차 勞役部隊로 전환되었다. 법당에 두상계열 군관이 배속된 것은 이러한 법당의 성격 변화를 收斂한 조치였다.
    다섯째, 노역부대적 성격이 강해진 법당은 전쟁이 일상화된 7세기로 접어들면서 그 군사적 위상이 더욱 낮아졌으며, 그 결과 7세기 후반의 대대적인 군제개혁을 통해 소멸되고 말았다. 따라서 법당은 신라 초기의 지방군제로 창설되어 150여 년간 존속된 신라 중고기의 군사조직이었다.
    여섯째, 7세기 후반의 군제개혁을 통해 법당은 餘甲幢으로 재편되었다. 특히 지방군제로서 노역부대적 성격을 가졌던 법당의 속성은 외여갑당에 가장 충실하게 계승되었으며, 같은 성격의 또 다른 여갑당이 왕경과 소경에도 분화․설치되어 경여갑당․소경여갑당․외여갑당의 3종의 여갑당으로 편제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true nature of the Beopdang Corps, one of Silla's early local military systems. The findings show that it was a military organization that was very different from the corps image depicted in previous studies, which reported that it was a huge military organization with 10 kinds of units to which "military officers with the Beopdang title" were assigned. Based on the discussions, the new images of the Beopdang Corps were arranged as follows: First, the Beopdang Corps was a local military organization comprised of many units established in local bases. The number of units was estimated to have been around 33.
    Second, the troops of the Beopdang Corps included local resident-turned peasant soldiers that were put in requisition and organized via native influential figures in the concerned areas. They received commands from military officers in two affiliations(Dangju and Dusang affiliation) of Wanggyeong dispatched to the areas.
    Third, entering the fifth century, Silla faced a need for a local military system at the national level and established a system to utilize local residents as troop resources. In this situation, they installed the first Beopdang Corps and its commander in a local base in 524 and gradually increased the number of its units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its territory and the progress of its local rule.
    Fourth, the early Beopdang Corps was a military organization with the nature of combat forces as they did military training in preparation of actual battles under the supervision of military officers in the Dangju affiliation and even fought in the battleground in case of emergency. In the middle and late sixth century, however, the Beopdang Corps was refined as a full-blown local military system with Gwangyeokju as its military district, which marked the gradual conversion of the Beopdang Corps into a labor unit. The assignment of a military officer in the Dusang affiliation reflected this change of its nature.
    Fifth, the Beopdang Corps, which grew stronger in its nature as a labor unit, had its military status lowered even greater in the seventh century when conquest wars became part of daily life across the nation. The extensive military system reform in the latter half of the seventh century resulted in the extinction of the Beopdang Corp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Beopdang Corps was a local military organization during the middle-ancient period of Silla, being created as an early local military system and lasting approximately 150 years.
    Finally, the Beopdang Corps was reorganized into the Yeodapdang Corps after the military reform in the latter part of the seventh century. The attributes of the Beopdang Corps as a local military system were inherited by the Oi-yeogapdang Unit in the fullest sense. Another Yeogapdang Corps with the nature of a labor unit was differentiated and established in Wanggyeong and Sogyeong and reorganized into three types of Yeogapdang corps including the Gyeong- yeogapdang Unit, Sogyeong-yeogapdang Units, and Oi-yeogapdang Uni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구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