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육미당기』의 근대적 전변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Yukmidanggi(六美堂記))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4.02
46P 미리보기
『육미당기』의 근대적 전변 양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서인문학 / 66호 / 151 ~ 196페이지
    · 저자명 : 김유진

    초록

    본고에서는 『육미당기』(六美堂記)의 근대적 전변(轉變)을 언어와 매체의 변화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서유영(徐有英, 1801~1874)이 1863년에 창작한 한문장편소설 『육미당기』는 사대부 문인들이 향유한 제한된 계층의 독서물이었다. 이러한 『육미당기』는 1914년 《매일신보》(每日申報)에 『김ᄐᆡᄌᆞ뎐』(金太子傳)으로 국문으로 번역되어 총 112회 연재되면서 대중화의 길을 걷게 된다. 『김태자전』을 연재한 녹동(綠東)은 최연택(崔演澤, 1895~?)으로 1920~30년대 출판업자이자 야담 잡지를 편찬하였다. 규장각본 『김태자전』은 《매일신보》에 연재된 소설을 그대로 필사한 것으로 작품을 소유하려는 독자의 욕망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독서 대중의 욕망을 간파한 출판업자들은 곧장 『김태자전』을 구활판으로 인쇄하여 상업화한다. 『김태자전』은 1915년 한성서관과 유일서관, 1926년 경성서적업조합 등의 출판사를 통해 여러 차례 출판되었는데 이는 언어와 매체의 전환이 대중성과 상업성에 중요한 변곡점이 된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것이다. 한편 이보상(李輔相, 1882~ 1948)은 1937년 《매일신보》에 서유영의 『육미당기』를 한문현토 소설로 개작한 『일당육미』(一堂六美)를 연재한다. 『일당육미』는 한문현토체를 고수함으로써 고소설의 대중화와 상업화 모두에서 벗어난 역변을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육미당기』의 번역 혹은 개작의 과정에서 속물주의적 욕망이 투사된 결과 민족적 서사 의식이 탈각되는 결과를 낳았다. 이처럼 『육미당기』의 전변 양상을 통해 고소설의 근대적 전환 양상의 일단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ing aspects of classical novel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to the modern era, focusing on Yukmidanggi(六美堂記), with the theme of change in media and spread of distribution. Yukmidanggi created by Seo Yoo-young(徐有英, 1801~1874) was originally a reading material for literary men of the nobility who had a relationship with Seo Yu-yeong, but it was popularized after it was translated into Korean as Kimtaejajeon(金太子傳) and published serially in Maeilsinbo(每日申報) in 1914. Nokdong(綠東), who serialized Kimtaejajeon, translated the Chinese version of Yukmidanggi into Korean with Choi Yeon-taek and serialized it under the title ‘Kimtaejajeon’, with a total of 112 episodes. Choi Yeon-taek was a publisher and a person who compiled yadam magazines in the 1920s and 1930s. Readers' desire to own novels was reproduced in a way to keep newspaper serial novels in the form of transcription. Kyujanggak’s Kimtaejajeon and other manuscripts named ‘Kimtaejajeon’ are such examples. Publishers who snatched the desire of the reading public immediately printed Kimtaejajeon by letterpress printing. As a result, the old printed version Kimtaejajeon began to be commercialized as a mass print. Meanwhile, Lee Bo-sang(李輔相, 1882~1948) serializes Ildangyukmi(一堂六美), a novel based on Chinese characters, in the 1937 Maeilsinbo(每日申報) adapted from Seo Yoo-young’s Yukmidanggi into a novel based on Chinese characters. Ildangyukmi shows a reverse transformation away from both the popular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the old novel by sticking to the Chinese character string system.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projection of snobbism desire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or rewriting Yukmidanggi, nationalistic narrative consciousness was removed. This observation not only underscores a significant aspect of the novel’s modern transformation but also suggests a broader trend in the adapt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to contemporary settings. It highlights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identity and literary evolution, offering a valuable perspective on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historical texts are reinterpreted for modern audie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