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감천후학(甘泉後學) 당추(唐樞)의 심학사상 (A Study on the Mind-Heart Theory of Tang Shu as a Ganquan‘s Discipl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0.03
24P 미리보기
감천후학(甘泉後學) 당추(唐樞)의 심학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유교사상문화연구 / 79호 / 79 ~ 102페이지
    · 저자명 : 선병삼

    초록

    본 논문은 일암(一菴) 당추(唐樞, 1497—1574) 심학사상을 고찰했다. 당추는 명대 중기에 왕수인과 함께 명대 심학 진영을 양분한 감천(甘泉) 담약수(湛若水, 1466-1560)의 수제자이다. 후에 당추는 왕수인(王守仁, 1472-1528)에게 직접 가르침을 받고자 했으나 기회를 얻지는 못했다. 당추는 감천학과 양명학을 통합하려는 의지가 강했다. 당추의 학설은 토진심(討眞心) 세 글자에 온축되어 있다. 진심은 도심(道心)으로 담약수의 대심(大心), 왕수인의 양지(良知)에 비견할 수 있는 본체에 해당하고, 토는 정일(精一)로 담약수의 수처체인(隨處體認), 왕수인의 치(致)에 비견할 수 있는 공부다. 황종희는 당추의 토진심을 왕수인의 치양지에 가깝다는 평가를 내린다. 이때 양지 현성설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의 문제가 발생한다. 추수익(鄒守益, 1491-1562), 구양덕(歐陽德, 1496-1554), 왕기(王畿, 1498-1583) 등이 공히 인정하는 양지 현성의 설과 당추의 토진심이 반드시 일치하는 것으로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논자는 감천학과 양명학의 차이를 고려했을 때, 토진심설은 감천의 수처체인천리의 특징을 드러낸 것으로 보는 것이 적합하다는 입장이다. 그렇다면 당추가 담감천의 종설을 계승 발전시킨 수제자임이 더욱 분명해진다. 따라서 황종희의 평가는 재론의 여지가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has a purpose to understand Tang Shu(唐樞)'s mind-heart theory in a way as to compare it with two competing positions which is those of Zhan Ruoshui(湛若水) and Wang Yangming(王陽明), and explores it as a guidance to understand mind-heart theory of Ganquan School and deeper understanding of mind-heart theory in mid-Ming dynasty.
    Tang, as a disciple of Zhan Ganquan, presents a set of cultivation theory of mind-heart, ‘tao zhen xin(討眞心: deliberate the original mind-heart), basing on the ‘sui chu ti ren tian li’(隨處體認天理: everywhere understands the Li) and ‘zhi liang zhi’(致良知: fullfillness of the innate knowledge). He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consolidation between ‘sui chu ti ren tian li’(隨處體認天理: everywhere understands the Li) and ‘zhi liang zhi’(致良知: fullfillness of the innate knowledge). Huang zhongxi(黃宗羲) regards that tang’s cultivation theory of ‘tao zhen xin(討眞心) is similar to ‘zhi liang zhi’(致良知) more than ‘sui chu ti ren tian li’(隨處體認天理: everywhere understands the Li), but according to this paper, hang’s view has a possibility to be denied. If we are in right, Tang fosters master’s cultivation theory and enhances the ‘sui chu ti ren tian li’(隨處體認天理: everywhere understands the Li). Hang is a outstanding disciple in Ganquan School tru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