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輓詞·祭文을 통해 본 玉山堂 林主翊의 삶의 자취와 인맥 기반 (A Study on the Life Traces and Personal Connections of Oksandang Lim Ju-ik(玉山堂 林主翊) Viewed through Mansa·Jemun(輓詞·祭文))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9.06
31P 미리보기
輓詞·祭文을 통해 본 玉山堂 林主翊의 삶의 자취와 인맥 기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62호 / 327 ~ 357페이지
    · 저자명 : 최은주

    초록

    본고는 만사 제문을 통해 玉山堂 林柱翊(1741~1797)의 삶의 자취와 인맥기반을 살펴 본 것이다. 이 당시 강우지역 학자들이 출사의 길이 막혀 학문적으로 침체했던 만큼, 임주익 역시 출사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재야의 지식인으로서 가학을 계승하며 합천 지역에서 후학 양성에 주력했던 인물이었다. 그러나 남아있는 저술이 없어 그의 삶과 학문의 자세한 면모를 알기는 어려우며, 다만 문중에서 보관해 온 『옥산당만제집』이 남아있는 상황이다.
    망인을 위한 만사와 제문은 의례에 수반되므로 실용적 목적성이 강하고 관습적이며 상투적인 글쓰기로 흐를 여지가 많다. 또한, 한 명의 망인을 추모하는 만사와 제문들은 내용적 측면에서 전반적으로 유사한 구조와 표현 방식으로 일정 부분 공통된 내용을 담기도 한다. 이러한 경향들은 만사와 제문을 작품으로 두고 개성과 문학성을 말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러나 망인을 위한 집단 창작이라는 배경 위에서 그들이 일관되게 서술하고 인정하며 공감하는 내용은 그 자체가 객관성을 담보하는 사실로 간주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면, 이렇게 별도의 책으로 남아있는 만사와 제문의 경우 저술이 산실된 학자들의 삶의 실체에 접근해 볼 수 있는 유일한 통로가 되기도 한다.
    살펴 본 결과, 옥산당 임주익은 합천의 은진임씨 가문에서 태어나, 석천 임득번 – 갈천 임훈과 첨모당 임운 – 임곡 임진부로 이어지는 선대 가학의 계보를 온전하게 계승한 인물로 평가받았다. 그는 과거에 뜻을 두었으나 끝내 성공하지 못했고, 이후 더욱 독서와 학문에 매진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을 쏟았다. 그리고 말년에는 평소 품었던 뜻대로 자연에 의탁해 은거의 시간을 보냈다. 은진임씨가가 대대로 孝友의 실천에 명성이 있었던 만큼 임주익 또한 부모를 극진히 봉양하였고, 아우 매악당 임주석과도 남다른 우애를 자랑하였다. 외아들 임경이 딸만 두고 요절해서 여러모로 고통의 시간을 보냈으나, 달관한 듯 평소에 그 슬픔을 드러내지 않았다고 한다. 만사 제문을 쓴 사람들을 통해 임주익의 인맥 기반을 들여다보면, 당시 강우지역 학자들이 출사의 길이 막혀 학문적 침체를 겪던 터라 학문적으로 뚜렷한 구심점 없이 분산되어 사생 관계가 지역 단위 정도로 국한되어 나타났던 현실이 그대로 투영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임주익은 합천군 대병면에 세거해 온 안동권씨·벽진이씨·남평문씨·밀양박씨 가문과 대대로 쌓아왔던 世誼를 바탕으로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였고, 그들과 때로는 戚誼를 맺고 때로는 사생관계를 맺으며 그 인맥 관계를 유지하였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investigated life traces and personal connections of Oksandang Lim Ju-ik (玉山堂 林柱翊)(1741~1797) through funeral oration. As the scholars of Gangwoo region were blocked from the government office and their academic world was depressed during that time, Lim Ju-ik also couldn’t achieve his dream of government office, instead, strived to teach younger students of Hapcheon by succeeding the family academy(家學) as a scholar out of power. However, it is difficult to know the details of his life and discipline since his writings are not remaining, but his work, 『Oksandang Manjejib』, has been kept by his clan.
    Mansa and Jemun for the dead are accompanied with ritual ceremony, accordingly, they tended to have practical purpose and become customary and conventional. Also, Mansa and Jemun to commemorate a dead person usually contained a common content in a certain part with a similar structure and expression method on the whole. Such tendency shows that it is not easy to discuss individuality and literary value of Mansa and Jemun. Nevertheless, on the basis of collective creation for the dead, considering the content that they consistently narrated, acknowledged, and empathized could be regarded as a fact that guaranteed objectivity, Mansa and Jemun, remaining in an independent book, can be the only path to approach the reality of the scholars who produced the writings.
    As a result, Oksandang Lim Ju-ik was born in Eunjin Lim (恩津林氏) family in Hapcheon, and was evaluated as a person who fully succeeded the genealogy of the family academy of the clan, Seokcheon Lim Deuk-beon(石泉 林得番) – Galcheon Lim Hoon(葛川 林薰) and Cheommodang Lim Woon(瞻慕堂 林芸) – Limgok Lim Jin-bu(林谷 林眞怤). He wished to pass the state exam but he didn’t succeed after all, later, he exerted to educate younger students, even more striving for reading and study. And during his latter years, he lived in retirement in the nature as he wished. As Eunjin Lim was renowned for the practice of filial duty and brotherly love(孝友) for generations, Lim Ju-ik also supported his parents with all his heart, and was proud of special brotherly love with his younger brother Maeakdang Lim Ju-seok(梅岳堂 林柱錫). Nevertheless his only son Lim Gyeong(林璟) died young leaving a daughter, he spent painful years, he usually did not reveal his sorrow just if he was philosophical. To see the personal connections of Lim Ju-ik through the persons who wrote Mansa Jemun, the scholars of the region were blocked from the governmental office and their academic world was depressed, accordingly, their academic network was limited to the region and dispersed without any pivotal point. Lim Ju-ik created a close relationship with Andong Gwon(安東權氏)·Byeokjin Lee (碧珍李氏)·Nampyeong Moon(南平文氏)·Miryang Park(密陽朴氏) families, who had resided in Hapcheon-gun Daebyeong-myeon for generations based on Se-ui (世誼), established for generations, and maintained personal connection with them, forming an academic connection with them based on Cheogui(戚誼) relation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