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唐代 <破陣樂> 연구-太宗ㆍ高宗ㆍ玄宗 시기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in Tang Dynasty (唐代)-Focused on the times of Taejung太宗ㆍGojung高宗ㆍHyungjung玄宗-)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1.02
32P 미리보기
唐代 &lt;破陣樂&gt; 연구-太宗ㆍ高宗ㆍ玄宗 시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예술 / 16호 / 317 ~ 348페이지
    · 저자명 : 김미영

    초록

    본고의 목적은 朝鮮 世宗 대에 <定大業>의 창작 과정에서 영향을 준 것으로 전하는, 唐代 <破陣樂>의 창작 배경과 시기 및 시대에 따른 변천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군사들에 의해 군가 형식으로 창작된 최초의 <파진악>은 唐 太宗이 직접 만든 <破陣樂舞圖>를 바탕으로 歌ㆍ舞ㆍ樂이 하나 된 大曲 <파진악[七德舞]>으로 거듭난다. 대곡 <파진악>은 ‘文王八卦圖’에 따라 배치된 ‘八陣圖’를 바탕으로 한 진세를 기본으로 하여 120명의 무용수들이 북소리가 웅장한 龜玆樂의 음악에 맞춰, 發揚蹈麗ㆍ交錯屈伸ㆍ撃刺往來하며 ‘秦王破陣樂’이라 화답했으며, 앞은 전투마차이고 뒤는 군대 행렬로 관진법과 아진법의 전투 형태[先偏後伍, 魚麗鵝鸛]에서 세 차례 변하고 매번 네 가지의 진세로 변하는 음운이 강개[聲韻慷慨]한 유형의 대곡이다.
    고종 시기의 <一戎大定樂>은 <파진악>의 형상을 답습한 것이지만 고구려 침략을 기치로 한 고종의 욕망을 담았다고 할 수 있으며, 현종시기의 <小破陣樂>은 현종의 업적을 상징하는 것으로 변모되었다.
    결국 당 태종의 업적을 칭송하기 위해 창작되었던 <파진악>은, 고종의 욕망과 현종의 업적을 드러내는 정치적 수단으로 쓰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reative background of <Pazinac(破陣樂)> which was reported that <Jungdaeup(定大業)> adopted along with <Botaepyung(保太平)> in Sejong time and its phased evolution depending on times since then.
    The original <Pazinac> was initially created by army in the form of a martial song but it was combined later with a dance music of <Pazinacmudo(破陣樂舞圖)> which was created by Taejung and then transformed to <Pazinac[七德舞]>. The music of <Pazinac> was structured according to 'Palzindo(八陣圖)' of which formation was based on 'Munwangpalgwaedo(文王八卦圖)' and it was designed that 120 dancers were changing their positions 3 times to the magnificent sound of drum of Guga-ac(龜玆樂) and making 4 types of formations of which front line was battle formation and back was marching in the form of zigzagging and straight[先偏後伍, 魚麗鵝鸛] and they jumped from the ground with the hands straight up(發揚蹈麗), and moved up and down with mixed each other(交錯屈伸), and danced with hit and poke motions(撃刺往來) saying 'Jinwang Pazin Music'.
    The form of <Pazinac> was also reflected on the grand music <Ilyungdaejungac(一戎大定樂)> in Gojung period and it was the reflection of his ambition to invade Koguyea. After then, it was also changed to <Sopazinac(小破陣樂)> at Hyunjong time in which it became the symbol of Hyunjong's accomplishments.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Pazinac> was created to applaud Taejong's accomplishments, but later then it was politically used to admire each emperor's accomplishment at Gojong and Hyunjong perio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