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세기 말~17세기 전반 唐糧의 성격에 대한 검토 (The Nature of Dang’ryang(唐糧) Grains, at the end of the 16th centuryand early half of the 17th)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9.06
31P 미리보기
16세기 말~17세기 전반 唐糧의 성격에 대한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89호 / 77 ~ 107페이지
    · 저자명 : 최주희

    초록

    임진왜란 초기 唐糧은 명의 파견군을 위해 중국 본토에서 실어온 군량미를 뜻하였다. 조선 정부는 명에서 의주까지 실어 온 당량을 내지로 수송하는 한편 조선 각지에서 부족한 군량을 조달하는 역할을 하였다. 임진왜란이 종식되면서 명에서 수송해 오는 당량은 사실상 소멸되었다. 반면 모문룡의 군대를 위해 조선정부가 각 군현에 새롭게 거두는 세금이 ‘唐糧’으로 조성되었다. 광해군 14년(1622) 모문룡의 군대가 가도에 주둔하면서 조선에 양식을 강력하게 요구하자 조정에서는 각도에 1결당 1두 5승의 추가세를 거두어 가도에 수송해주었다. 모문룡에게 제공하는 군량이라 하여 ‘毛糧’으로도 불리던 당량은 모문룡이 참수되고 난 인조 7년(1629) 이후에도 계속 수취되었다.
    문제는 인조 12년(1634) 갑술양전의 시행으로 삼남의 전결이 10만 결 이상 추가로 확보되면서 잡다하게 거두던 稅目이 폐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당량은 다시 西糧이라는 이름으로 유지되었다는 점이다. 실제로 서량은 병자호란기에는 남한산성에 비축하는 군량으로 쓰였으며, 병자호란 이후에는 소현세자 일행이 머무는 심양의 관소에 양식으로 보내졌다. 서량은 대외정세의 위기 속에서 그 필요성이 계속 거론되었기 때문에 쉽사리 폐지되지 못하다가 인조 23년(1645)이 되어서야 폐지가 공론화되었다.
    임진왜란 초기 명군의 군량미로 조성된 당량은 이처럼 대외정세와 급변하는 시기를 맞이하여 조선왕조가 불가피하게 지불해야 하는 군사, 외교비용으로 이름을 달리하며 장기간 유지되었다. 따라서 당량이 소멸하는 17세기 중반 이후가 되어서야 조선왕조는 전란의 후유증을 극복하고 부세제도를 본격적으로 정비하는 전환기를 맞이할 수 있었다. 다만, 양호에서 바쳐야 하는 당량[서량]을 양서지방에서 대신 상납해주던 관행[양서조공물]이 인조 24년 폐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회복된 양서의 공물 중 해서[황해도]의 공물은 숙종 34년(1708) 상정법 시행 이후에도 선혜청의 상정세에 포함되지 않고, 별수미의 형태로 호조에 상납되었다. 조선후기 내내 황해도에서 추가로 징수되던 별수미는 이처럼 서량이라는 오랜 유제로 인해 창출된 세목이었다고 할 것이다.

    영어초록

    During the Imjin Wae’ran war, the term “Dang’ryang(唐糧)” referred to a collected supply of grain transported from Ming China to the Korean peninsula, in order to feed the Ming troops that had come to Joseon as a relief force. The Joseon government relayed all these Dang’ryang grains -which had been transferred initially to Joseon’s Euiju area in the North- to southern locations of the peninsula, in order to address all kinds of local grain shortages throughout the country. And when the war ended, Dang’ryang grains were no longer needed. It naturally disappeared for the time being.
    Then later, to aid the Mo Mun-ryong army, the Joseon government began collecting taxes from local Gun/Hyeon units under the name of, again, ‘Dang’ryang(唐糧).’ In 1622(14th year of King Gwang’hae-gun’s reign), Mo Mun-ryong’s troops camped in the Gado area and demanded food and grain from Joseon. The Joseon government had no other choice but to comply, and levied additional taxes throughout the country, with 1 Du 5 Seung of grain from every Gyeol unit of land in the dynasty. Because of the fact that these grains were delivered to Mo Mun-ryong, the grain was also called as “Mo’ryang(毛糧).” Interestingly enough, this quasi-tax continued to be collected even after 1629(7th year of King Injo’s reign), when Mo was finally arrested and beheaded.
    In 1634(12th year of Injo’s reign) the Gabsul-year land survey was conducted and completed, and more than one hundred thousand of Gyeol units were secured in the three Southern provinces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new sources of taxation established as a result of such effort, other miscellaneous taxes were summarily abolished. But for some reasons the Dang’ryang tax was not and continued to be collected. Later, during the Byeongja Ho’ran war these Dang’ryang grain was used as military provision to be stacked at the Namhan Sanseong fortress. And after the war, they were sent to Shim’yang-gwan (where Crown prince Sohyeon was staying). With dynastic crises continuing, the presence of Dang’ryang was continuously required, and discussion of abolishing it only began in the 23d year of Injo’s reign.
    Dang’ryang, which was first formed with foreign Ming grain that was transferred from China to Joseon in the early phase of the Imjin Wae’ran war, continued to exist for quite some time because of all the external variables disrupting Joseon dynasty’s security, and remained during that time as a relatively huge diplomatic & military cost the Joseon government had to pay. Only in the mid-17th century when Dang’ryang tax was finally abolished, the Joseon dynasty was able to truly overcome the aftermath of both wars and redesign its tax struc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