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택당(澤堂) 이식(李植)의 명청 교체기 자타인식(自他認識) (On T'aektang(澤堂) I Sik(李植)’s inter-subjective consciousness of Chosŏn and Qing Dynasty)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6.04
43P 미리보기
택당(澤堂) 이식(李植)의 명청 교체기 자타인식(自他認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강인문논총 / 45호 / 151 ~ 193페이지
    · 저자명 : 김대중

    초록

    본고는 택당(澤堂) 이식(李植, 1584~1647)의 ‘자타인식’(自他認識)을 탐구한다. 택당은 ‘한문 사대가’로 꼽히는 문장가로, 명청 교체기에 주요 외교문서 작성을 맡았다. 그 거대한 전환기에 조선 지배 엘리트는 어떤 대응을 했으며, 그 대응은 어떤 사상적 특징을 갖는가? 택당의 사례를 통해 이 문제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 본고의 목표다.
    본고는 다음 세 가지에 특히 유의한다. 첫째, ‘청’(淸)과 조선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상호 연계되면서 ‘자기인식=타자인식’으로서의 ‘자타인식’을 형성하는지에 주목한다. 둘째, 기존에 알려진 간본 『택당집』(澤堂集) 외에도 필사본 『택당유고전집』(澤堂遺稿全集)과 『택당유고간여』(澤堂遺稿刊餘)를 적극 활용하여, 택당의 새로운 면모를 조명한다. 셋째, ‘주화’(主和)와 ‘척화’(斥和)의 이분법에 구애되지 않고 그 사이의 다양한 층차를 고려하면서 택당의 ‘자타인식’을 다층적으로 파악한다. 그런 뒤에 그 계승 양상을 가늠함으로써, 조선후기 지성사에 대한 전망을 넓힌다. 이상의 세 가지에 유의하면서 본고는 택당의 유연한 대청인식, 냉철한 현실인식, 반성적 자기인식 등을 다각도로 분석한다.

    영어초록

    I investigate T'aektang(澤堂) I Sik(李植, 1584~1647)’s inter-subjective consciousness of Chosŏn and Qing Dynasty. T'aektang, who is regarded as one of ‘Four Great Writers of middle period Chosŏn’(漢文四大家), undertook writing of various diplomatic documents in Ming-Qing transitional period. By analyzing the case of T'aektang, I aim at the reflective review of the ruling elites’ ideological response to the great transformation of Ming-Qing transitional period.
    Especially, I pay attention to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elf-consciousness of Chosŏn and the recognition of Qing Dynasty. To shed light on various aspects of T'aektang’s inter-subjective consciousness, I use two kinds of manuscript collections of T'aektang’s writings as main text. As for T'aektang’s writings, printed edition T'aektangjip(澤堂集) is well-known and generally referred as main text. But there are manuscript collections of T'aektang’s writings such as T'aektangyugojŏnjip (澤堂遺稿全集) and T'aektangyugoganyŏ(澤堂遺稿刊餘) as well. These two manuscript collections are helpful for new understanding of T'aektang. To recognize T'aektang’s thoght anew, it is also needed to reconsider the dichotomy of ‘the advocacy of negotiation’(主和論) and ‘the rejection of negotiation’(斥和論). Keeping these points in mind, I focus on the complexity of T'aektang’s inter-subjective conscious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강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