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집 『감지당집(坎止堂集)』에 대하여 (Regarding the Poetry Collection “Gamjidangjip”(坎止堂集))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3.05
28P 미리보기
시집 『감지당집(坎止堂集)』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문학연구 / 47호 / 75 ~ 102페이지
    · 저자명 : 홍진옥

    초록

    본고는 지금까지 문학사에서 연구된 바 없던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문신인 김징의 시집 『감지당집』을 발굴하고 처음으로 학계에 소개한 것이다. 그리하여 제2장에서는 김징의 생애와 문학 활동을 살피는 기초 작업을 수행하였다. 김징은 20대 후반에 벼슬살이를 시작한 후 평생토록 청요직을 두루 역임하며 국가의 중대사를 처리한 정치가의 삶을 살았던 것으로 요약된다. 다만 명문가의 일원으로서 비교적 안온하고 평탄한 삶을 살았던 김징에게 유일한 시련은 수많은 정적들과의 갈등과 그로 인해 끊임없이 조정에서 진퇴를 거듭해야 했던 것이다. 지금까지 김징의 저술로는 그의 4대손 김종후-김종수 형제가 편찬․간행한 『청풍세고』의 산문만이 유일하게 전해져 왔는데, 해당 작품들에서는 크게 정치가적 면모, 학자적 면모, 가장으로서의 면모를 살펴볼 수 있다.
    시집 『감지당집』의 특징과 그 문헌적 가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정치가로서만 알려져 왔던 김징을 시인으로서 조망할 수 있는 문헌이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인정된다. 『감지당집』의 제2책인 「화도시」는 1669년 봄, 김징이 잠시 조정을 떠나있던 한 달 남짓의 기간에 창작되었고, 제1책에 실린 시들의 창작 시기는 비정할 수 없지만 수록 작품의 내용을 종합해보건대 대체로 생애 중년 혹은 만년에 역시 조정에서 떠나있던 시기에 지은 작품들인 것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편찬자로는 『청풍세고』를 편찬․간행한 김종후-김종수 형제일 가능성이 높고, 시집 『감지당집』은 이들 형제가 절친하게 교유하였던 김이곤-김이복 형제를 거쳐 김이복의 외손자인 이조승에게 전해지고 최종적으로 이조승과 인척 관계였던 김정희가 소유하게 되었다.
    수록 작품은 어떤 집단이나 사회 안에서 조망되는 김징의 공적 면모보다는 지극히 소소한 일상에서의 한 개인의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요컨대 시집 『감지당집』에는 한평생 정치 권력의 중심에 있었던 유력한 정치가, 학문에 전심하였던 성리학자의 면모보다는 일상에서의 소소한 모습들과 그 속에서 느낀 감정들이 담박하고 진솔하게 그려져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troduces and explores the poetry collection “Gamjidangjip”(坎止堂集) of Kim Jing(金澄), a scholar and literary figure from the mid-Joseon period, which has not been previously studied in literary history. In Chapter 2, foundational research is conducted to examine Kim Jing’s life and literary activities. Kim Jing’s life can be summarized as that of a politician who held various significant positions throughout his career, handling important state affairs from his late twenties until the end of his life. However, despite leading a relatively peaceful and stable life as a member of the literati, Kim Jing faced the challenge of constant conflicts with numerous opponents, leading to frequent demotions within the court. So far, only the prose writings titled “Cheongpungsego”(淸風世稿), which was compiled and published by his great-grandsons, Kim Jong-hu(金鍾厚) and Kim Jong-su(金鍾秀), have been transmitted, providing glimpses into Kim Jing’s political, scholarly, and moral aspects.
    The characteristics and literary value of the poetry collection “Gamjidangjip”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Gamjidangjip” acknowledges the significance of providing a literary source that allows us to perceive Kim Jing, known primarily as a scholar and politician during the mid-Joseon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a poet. The second book of “Gamjidangjip,” called “Hwadosi”(和陶詩) was composed during a brief period of approximately one month when Kim Jing was away from the court in the spring of 1669. Whil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precise timeframe of the poems included in the first book, considering the overall content of the collected works, they were likely composed during his middle or late years when he was also away from the court. Furthermore, it is highly probable that Kim Jong-hu and Kim Jong-su, who compiled and published “Cheongpungsego,” were the editors of “Gamjidangjip.” The collection was passed down through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ets of brothers: Kim Igon(金履坤) and Kim I-bok(金履復), and eventually reached Yi Jo-seung(李祖承), a grandson of Kim I-bok, who, in turn, passed it on to Kim Jeong-hui(金正喜), a distant relative of Yi Jo-seung, who eventually became the owner of the collection.
    The collected works, characterized by depicting the personal aspects of an individual’s daily life rather than the public image of Kim Jing as a prominent figure in any particular group or society, hold significance. In other words, the poetry collection “Gamjidangjip” sheds light on the emotions and mundane aspects experienced by Kim Jing in his personal life and throughout his journey, rather than focusing solely on his influential political career or his dedication to scholarly pursui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