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入竺求法僧 증언과 데와닷따(Devadatta) 破僧의 재조명 (Testimony of Religious Pilgrimage by Chinese monks and a Review of Devadatta's Saṅghabheda)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3.09
37P 미리보기
入竺求法僧 증언과 데와닷따(Devadatta) 破僧의 재조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36권 / 85 ~ 121페이지
    · 저자명 : 황서광

    초록

    데와닷따 파승의 연구는 미완성의 현재진행형이다. 그들 교파가 인도에서 천년 이상 존속했다는 구법승들의 증언은 있지만, 그 세월은 고스란히 역사적 공백으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파승에 관한 율장 전승이야말로 여러 전제와 가정 아래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經證이나 독창적 연구 성과를 앞세운 단정보다는 유보적 태도에 무게중심이 실려야 한다.
    연구를 위한 첫 번째 전제는 구법승들의 증언이 그 출발점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증언이 전설로 점철된 파승의 검토 범위를 규제하는 척도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法顯과 玄獎의 기록은 200년 이상 차이가 나고, 데와닷따파를 발견한 지역이 중인도와 동인도로 상이하다. 확언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집단이 광범위하게 산재하고 있었을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義淨은 그들의 생활상과 불교교단과의 관계는 물론, 날란다寺에서 함께 공부했던 자들과의 대화를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어서, 그들의 교단사적 지위 재정립의 계기가 되고 있다.
    증언의 중심은 청정행이고, 이는 데와닷따가 釋尊에게 제안한 오사와 직결되어 있다. 이를 통해 청정행은 오사 제안 이래 그들 교파의 일관된 종교적 전통이었다는 사실을 엿볼 수 있다. 따라서 구법승들의 증언은, 파승의 교단사적 검토가 오사를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음을 시사하고 있다. 다시 말해 오사 제안의 고찰이야말로 파승의 교단사적 재조명을 위한 대전제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전제는, 석존 재세시 ‘유행에서 정주로의 전환’은 ‘불교이념의 변화’라고 불릴 정도로 교단사적 파격이었으며, 오사 제안의 근원적 원인이라는 점이다. 정주를 뒷받침하는 석존 재세시 승원의 유적이 지와까원에서만 45곳이나 발견되었고, 또 광범위한 지역적 분포를 갖는 승원이 30여 곳이나 경전을 통해 확인되고 있다. 이는 정주의 보편화를 웅변하고 있다. 생활양식이 정주로 변하면서 의·식생활의 변화도 수반되어 출가의 기본 정신과 상치되는 부작용들이 생겨났고, 유행 편력 생활을 이어나간 비구들을 중심으로 위기의식이 나타나게 되었다. 급기야 유행주의와 승원주의의 갈등이 표면화되었고, 데와닷따 사건은 그 연장선상에서 보아야 한다.
    한편 석존의 오사 거부는 상황윤리적 계율관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고, 비구들의 안녕과 복지를 위한 정신적 배려에서 나온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그의 계율관 역시 여기서 찾아야만 한다. 또한 상가의 규모 확대와 상가와 호혜적 관계에 있는 세속의 환경 변화에 따른 불가피한 선택일 수밖에 없었다는 점도 고려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Studies on the schism in the saṅgha (saṅghabheda) created by Devadatta is incomplete and ongoing. Although there are testimonies of Chinese monks that sects following him survived for about 1,000 years, the history of that period remains blank. Thus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legend of Devadatta's saṅghabheda carefully and to make our conclusions with great reserve.
    The first premise is that the testimonies of Chinese monks can be the starting point of a study on Devadatta's schism. Namely, the testimonies can be a measure to set the limits on the scope of studying the schism. There is a difference of 200 years in which Devadatta's sect was discovered by Fa-xian and Hsṻan-tsang, and the regions differed from Middle India to East India. We cannot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there were more than two sects widespread at that time. The record by I-tsing is particularly key to reorganize the position of Devadatta's sect in the history of denominations, since it contains details of their lifestyle, their relations with Buddhism, and conversations with the sect members he studied with in Nālandā.
    Key contents in this testimony are about the pure practices of Devadatta's sect which are connected directly with ‘five rules(pañcavatthū)’ proposed by Devadatta. From this testimony, we may guess that pañcavatthū had been a consistent religious tradition thereafter for the Devadatta's sects. Therefore, the testimony suggests that the schism should only be studied on the basis of pañcavatthū. It is then a presupposition for a historical review of Devadatta's saṅghabheda to inquire into pañcavatthū.
    The second premise is that the transformation from wandering to being settled was an issue of enormous controversy in the saṅgha, having been called a ‘revolution in Buddhist doctrine’, and that this was a fundamental cause of proposing pañcavatthū.
    About 45 relic sites in the age of the Buddha was found in Jīvakaārama alone which back up the existence of ārāma empirically.
    Additionally, there are about 30 ārama described widely in the canon. This evidence tells the story of the transformation from wandering to being settled. This transformation was accompanied by changes in clothing and eating during the Buddha's lifetime.
    Another consequence of this transformation were unexpected side effects which produced a sense of crisis for those who kept the lifestyle of the wandering bhikkhu in spite of the reformation. This conflict finally came up to the surface between advocates for wandering and those for being settled, and Devadatta's saṅghabheda should be viewed as an extension of the conflict.
    On the other hand, the Buddha's refusal of the five rules came not from a situ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precepts, but from thoughtful consideration for the safety and welfare of bhikkhus, in line with a general view of the precepts. It should also be considered that refusal was an inevitable option for the Buddha due to changes in the secular societal environment, which had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 with the saṅgh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