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經書辨答補遺」를 통해 본 過齋 金正默의 南塘 韓元震 비판 (Kim Jeong-mook’s Criticism of Han Won-jin through 「Gyeongseobyeondapboyu」)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4.12
39P 미리보기
「經書辨答補遺」를 통해 본 過齋 金正默의 南塘 韓元震 비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경학 / 8호 / 1 ~ 39페이지
    · 저자명 : 마현민

    초록

    본고는 過齋 金正默(1739~1799)의 경설에 주목하여 그가 호락논쟁 속에서 낙론의 견해를 따라 南塘 韓元震(1682~1751)의 학설을 비판한 지점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김정묵은 沙溪 金長生(1548~1631)의 후손으로 율곡학파의 자장 속에서 공부하였다. 김정묵은 율곡학파의 학맥을 이어 先學의 학설을 궁구하고 자신의 학설을 정립하였다. 이러한 김정묵의 학설은 그의 문집인 『過齋遺稿』 중 경설을 정리한 「經書辨答補遺」와 성리설을 정리한 「南塘集箚辨」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호락논쟁의 여러 논점 중 心에 대한 김정묵의 논의에 주목하였다. 心의 體인 미발에 대해 김정묵은 미발을 기질이 관여하지 않는 순선한 상태라는 낙론의 입장을 견지하며 한원진의 학설을 비판하였다. 心의 用인 성의에 대해서는 대전본 소주에서 시작된 意와 情의 구분에 대한 문제에 대해 논의한다. 김정묵은 意와 情을 나눠서는 안 된다는 한원진의 의견에는 동의하나 한원진이 제시한 근거는 비판하며 心과 性을 분리할 수는 없다는 낙론의 의견을 견지한다. 이러한 김정묵의 학문은 그의 제자인 剛齋 宋穉圭(1759~1838)로 이어지고, 송치규는 淵齋學派로 알려진 후손 淵齋 宋秉璿(1836~1905), 心石齋 宋秉珣(1839~1912)에게 영향을 끼쳤다. 김정묵에서 시작된 하나의 학문 풍토가 구한말까지 이어지며 살아 숨 쉬는 유학의 맥을 유지한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ay attention to the theory of the Kim Jeong-mook(金正默) and to examine the point where he criticized the theory of the Han Won-jin(韓元震). Kim Jeong-mook was a descendant of Kim Jang-saeng and studied in the magnetic field of the Yulgok. Following Yulgok’s academic background, Kim Jeong-mook studied the pre-school theory and established his own theory. This theory of Kim Jeong-mook can be confirmed in his collection of writings, GwajaeYugo.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shim(心), among the various points of the controversy of Horak(湖洛論爭). He criticized Han Won-jin’s theory b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optimism that the temperament is not involved at the moment of mi-bal(未發). At the Seongui(誠意), Although he agreed with Han Won-jin’s opinion, he criticized the grounds presented by Han Won-jin and maintained the opinion of the argument.
    This study by Kim Jeong-mook led to his descendants, Song Byeong-seon(宋秉璿) and Song Byeong-soon(宋秉珣). In the end, an academic climate that began with Kim Jeong-mook continued until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maintaining the vein of living and breathing Confucia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