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활동적 삶(Vita Activa)을 향한 두 갈래의 길 : 아렌트의 맑스 비판에 답하다 (Two Paths to Vita Activa : A Response to Arendt’s Critique of Marx)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4.12
43P 미리보기
활동적 삶(Vita Activa)을 향한 두 갈래의 길 : 아렌트의 맑스 비판에 답하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독사회과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독사회과학논총 / 34권 / 4호 / 3 ~ 45페이지
    · 저자명 : 김현

    초록

    이 글은 아렌트의 맑스 비판에 대한 반(反)비판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 반비판의 출발점으로 이 글은 우선 아렌트의 노동개념, 즉 “인간과 자연의 신진대사”라는 아렌트의 노동개념을 맑스적 관점에서 ‘보완’하고 ‘교정’한다. 아렌트가 맑스의 노동관으로 이해하고 있는 이 정의는 맑스의 관점에서 ‘노동에 대한 가장 추상적이고 빈약한 정의’에 불과한 것이라서, 통시적 관점에서나 공시적 관점에서나 인간의 노동 활동에 대해 아무것도 말해주는 것이 없다. 우리는 아렌트 노동개념을 ‘추상과 구체’, ‘형식과 소재’라는 개념 쌍의 ‘변증법적’ 관계를 통해 맑스적 관점에서 교정함으로써, 아렌트의 사상의 견고한 성채를 이루고 있는 노동/작업/행위의 구분을 해체한다(Ⅱ). 이 글의 3장은 아렌트가 ‘생물학적 인간종’으로 격하시킨 유적존재(Gattungwesen)개념을 맑스의 저작을 통해 비판적으로 해체한다. 맑스는 이 개념을 통해 인간이 어떻게 정치적 존재이자 공동체적 존재로, 다시 말해 ‘사회화된 인류’(gesellschaftliche Menschheit)의 ‘개별적’ 구성원으로 성장해가는가를 논증한다. 이런 점에서 맑스의 유적존재 개념은 개별자로서의 ‘나’와 ‘공동체적 존재’ 사이의 교량을 놓는 개념이며, 아렌트적 관점에서는 ‘노동하는 동물로서의 인간’으로부터 정치적 공론장 안에서 행위하는 존재로의 이행’ 가능성을 열어주는 개념이기도 하다. 특히 ‘행위’ 개념과 ‘정치적 공론장’의 복권과 재구성이라는 아렌트의 정치철학이 노동하는 동물로서의 인간과 행위하는 정치적 인간 사이의 교량을 놓지 못한 채, 공허한 규범적 이념으로서만 자리 잡고 있다는 비판을 고려해 볼 때, 아렌트 정치철학을 보완할 지점으로서 중요하게 짚어보아야 할 내용이기도 하다. 이 글의 3장은 맑스의 ‘유적존재’ 개념에 대한 재검토를 통해 이 개념에 대한 아렌트 비판에 관여한다(Ⅲ). 이 글의 4장은 맑스의 철학에서 필연과 자유의 상호 제약적 관계를 논한다. 특히 이 논의는 아렌트가 “하나의 궤변적 통속화”로 치부하면서 행위의 공간으로서 자유의 영역과 노동의 공간으로서 필연의 영역을 이분화했던 간극이 어떻게 맑스적 방식으로 극복되는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정치적 다원주의 또는 정치적 공론장의 복원이라는 아렌트의 규범적 이상에 구체적 내용을 채워내고 현실적 실천력을 담보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Ⅳ). 맑스는 “인류는 항상 그가 해결할 수 있는 과업만을 제기한다”고 적는다. 노동과 유적존재, 그리고 필연에서 자유로의 이행은 ‘근대인’으로서의 맑스가 근대가 제기한 과업에 대한 응답으로서, 근대인의 활동적 삶을 근대적 방식으로 모색하기 위한 맑스 ‘자신의 길’인 것이지, 아렌트의 근대성 서사가 주장하듯, 행위와 정치적 공론장, 자유의 영역을 소멸시킨 것이 아니다. 근대인이었던 맑스에게 근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길은 ‘근대의 열등성’에 ‘고대의 우월함’을 대치시키는 것이 아니라, 고대를 현재로서의 근대적 지평 위에서 보다 높은 수준으로 재구성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Ⅴ).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present a counter-critique of Hannah Arendt’s interpretation of Karl Marx. The analysis begins by revisiting and revising Arendt’s concept of labor from a Marxist perspective. Specifically, the article questions Arendt’ definition of labor as “the metabolism between human and nature.” While Arendt interprets this definition as representative of Marx’s concept of labor, Marxists regard it as merely “the most abstract and inadequate definition of labor.” As a result, this definition fails to capture the essence of human labor activity from both diachronic and synchronic perspectives. This article, therefore, attempts to correct Arendt’s concept of labor through a Marxist reinterpretation. This correction is grounded in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ual pairs of “abstraction and concretion” and “form and matter.” Within this framework, Arendt’s fundamental distinction between labor, work, and action—central to her philosophical system—is critically examined and deconstructed(Ⅱ). The third chapter critically examines the concept of species-being, which Arendt reduces to a “biological human being.” Drawing on Marx’s writings, the article argues that humans develop as political and social beings, i.e., as “individualized members of a socialized humanity.” From this perspective, Marx’s concept of species-being transcends mere biology, functioning instead as a bridge between the individual “I” and the communal essence(Ⅲ). The fourth chapter explores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necessity and freedom in Marx’s philosophy. Transcending labor in the realm of freedom does not entail the total abolition of labor but rather its sublation as alienated labor under conditions of private property. The aim is to develop a new conception of humanity. In this context, Marx’s concept of the mutual conditioning of freedom and necessity demonstrates how Arendt’s dualism between the sphere of freedom (the realm of action) and the sphere of necessity (the realm of labor) can be overcome. This highlights the particular relevance of the Marxist perspective for political theory(Ⅳ). The concluding chapter critically engages with Arendt’s understanding of modernity. Several central questions are raised to underscore the differences between Marx’s and Arendt’s approaches. The article contends that, contrary to Arendt's interpretation, Marx’s analyses of labor, species-being, and the interplay between necessity and freedom do not eliminate action, the political public sphere, or the realm of freedom. Instead, it becomes evident that Marx advanced these concepts through a modern reconstruction, reinterpreting antiquity within a modern horizon and elevating it to a higher level(Ⅴ).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독사회과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