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을 안팎의 풍물판과 유래담의 풍물사적 연맥-경북 안동 가송(街松)과 수동(水洞) 마을을 중심으로- (The Pungmul places in and around villages and the connection of origin tales to historical sites -Focusing on Gasong village and Sudong village in Andong, Gyeongsangbukdo-)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3.12
39P 미리보기
마을 안팎의 풍물판과 유래담의 풍물사적 연맥-경북 안동 가송(街松)과 수동(水洞) 마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27호 / 47 ~ 85페이지
    · 저자명 : 박혜영

    초록

    풍물사는 실제 연행현장에 몸담고 있는 연행자들에 의해 매순간 새롭게 생성되고 있으며, 그 인식과 관념은 풍물판을 공유한 사람들의 기억 속에 살아있다. 풍물사는 ‘과거의 사실’과 ‘기록의 한계’를 넘어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풍물 전승의 상황과 맥락, 풍물을 연행하던 집단의 역사와 연행자의 삶, 풍물을 향유하던 전승주체의 경험이 얽힘 유래담에 주목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 글에서 안동 지역의 가송과 수동 마을을 대상으로 공민왕의 안동 몽진이라는 역사적 사실이 풍물 전승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실제 풍물 연행자가 구전하는 유래담의 구전양상은 어떠한지 살폈다. 마을 안팎의 풍물판을 공유한 주민들은 마을풍물의 유래와 의미를 스스로 되새기며 생성해간다. 그런까닭에 주류 역사에서 소외되어온 풍물을 역사화 할 때 주민들에게 구전되는 마을풍물의 유래담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전설처럼 공유되는 동신의 영험이라든지 풍물에 관한 이야기에는 풍물 전승자의 개인적 체험 뿐 아니라 사회적 경험이 담겨있는데, 이것이 마을풍물의 맥락을 살필 수 있는 열쇠가 된다. 기억의 파편이나 단편적인 구술 일지라도 모으고 찢고 꿰어 재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삶의 역사와 문화가 농축되어 있는 풍물사를 엮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풍물은 마을 공동체 구성원의 공유된 체험을 불러일으키는 문화이기 때문이다. 마을에 전승되는 풍물의 유래는 끊임없이 주민들의 신앙과 놀이를 통해 재현되면서 과거가 아닌 현재의 역사로 거듭나고 있다공민왕 신앙의 전통을 지닌 청량산 일대의 가송리의 풍물패가 공민왕의 따님인 서낭님을 모시고 산성마을로 친정가기를 한다면, 수동마을에서는 공민왕을 동신이자 국신으로 일컬으며, 이웃의 여러 마을이 공동으로 3년에 한 차례씩 별신굿판을 벌렸다. 민속마을로서 보존과 전승이 활발한 하회마을에 비해 수동마을은 별신굿이 전승되었음에도 하회별신굿에서 연행되는 탈놀이에 가려 그간 부각되지 못한 면이 있었다. 그런데 탈놀이와 관련하여 하회마을의 특징과 고려시대의 역사적 상황과 유래가 강조되었다면, 탈의 형상을 확인할 길이 없지만 풍물의 전승이 왕성했던 수동의 사례 또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수동마을 풍물의 유래가 위로부터의 역사, 역사의 단절과 문화적 중층성을 보여준다면, 가송마을 풍물은 아래로부터 침윤된 역사와 현재에도 재현되는 역사적 사건과 의식, 산업화 이후 안동지역 마을풍물의 전승과 판도를 읽게 해준다. 마을 안팎의 풍물판은 과거로부터의 역사와 현재의 역사, 위로부터의 역사와 아래로부터의 역사가 교차하고 공존하는 현장이기도 하다. 문헌에 포섭된 발생론적 진화론에 머무르지 않고 ‘차이와 다양성이 공존하는 살아있는 현재의 풍물사’, 그 의미가 실현되는 현장으로서 마을 풍물의 정체와 실제 양상이 주목된다.

    영어초록

    The history of Pungmul performance(institutions and customs) is newly generated every moment by active Pungmul performers and the awareness and idea of Pungmul are alive in the memory of people who shared the Pungmul place. The origin of Pungmul which has been transmitted in a village is continuously born again as the history of today, not of past, as it is reproduced in the faith and performances of the residents. The history of Pungmul should not stay at the developmental evolution theory relying on existing literature but it should pay attention to the real identity and actual appearance of village Pungmul as a ‘present history of Pungmul, where difference and diversity are alive and coexist’. The history of Pungmul has the task that it should overcome the ‘fact in the past’ and the ‘limitation of a record’. This is why the history of Pungmul should pay attention to the situation and context of Pungmul transmission, the history of Pungmul performing group, the lives of Pungmul performers and the origin tales which contains the experience of Pungmul transmission parties. This article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ngmul transmission and the historical fact of King Gongmin’s flight from his palace to Andong and the oral transmission aspect of origin tale, which is orally transmitted by Pungmul performers at the Gasong village and Sudong village in Andong.
    The Pungmul group at Gasong-ri in Cheongryangsan area has traditional faith on King Gongmin. The residents of Gasong-ri perform Chinjeong-gagi to Sanseong village of Seonangnim, who is the daughter of King Gongmin. On the other hand, the residents of Sudong village worshipped King Gongmin as a village spirit and national spirit. They performed Byeolsin gut (a performance by a shaman) once in every 3 years together with several villages nearby. Compared to Hahoe village, which is a folk village with active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Sudong village has not been well known to people though it has the transmission of Byeolsin gut; because people were attracted to the ‘mask dance’ performed in Hahoe Byeolsin gut. If the historical situation and origin of Goryeo period and the characteristics of Hahoe village have been emphasized in relation to the mask dance, the cases in Sudong village should also get attention because it also has active transmission of Pungmul though it is not possible to confirm the appearance of the mask for Sudong village. The origin of Sudong village Pungmul shows the history from upside, the severance of history and the duplicity of culture. On the other hand, the origin of Gasong village Pungmul tells the history spread up from downside, the historical events and awareness still being reproduced now and the dynamics and transmission of Andong area village Pungmul after the industrialization.
    The Pungmul place in and around a village is the place, where the past history and present history, the history from upside and the history from downside cross each other and coexist. Especially in case of a village Pungmul, which has been created and transmitted by native residents, the people who shared the Pungmul place recall it and make the origin and significance of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isten to the orally transmitted origin tale of a village Pungmul from the residents when a Pungmul, which had been estranged from main stream history, is historicized. The tales on the miracles by village spirit shared like a legend or the tales on village Pungmul contain the personal experience and social experience of Pungmul transmitters; therefore, they become the key to explore the context of village Pungmul. They may be a fragment of memory or a fragmentary oral statement but it is possible to compile a history of Pungmul with condensed culture and history by collecting, tearing, threading and reconstituting them; because Pungmul is the culture, which calls the shared experience of village community member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