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후기 빠알리 내러티브에 나타난 종교적 의도와 함축적 의미 - 테라와다 아비담마의 기원을 중심으로 - (The Origin of Abhidhamma and its Hermeneutics in the Pāli Narrative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5.02
25P 미리보기
후기 빠알리 내러티브에 나타난 종교적 의도와 함축적 의미 - 테라와다 아비담마의 기원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73호 / 229 ~ 253페이지
    · 저자명 : 김경래

    초록

    빠알리 주석전통에 따르면 아비담마 七論은 붓다가 깨달음을 얻은 후 4∼5주째에 확립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한역 문헌들은 물론 빠알리 문헌들 속에서조차 붓다의 깨달음 이후 행적에 대한 서술은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붓다의 깨달음 이후 행적’을 다루고 있는 대조적인 문헌들의 비교연구를 통해 아비담마의 기원 내러티브들에 투사된 테라와다 전통만의 독특한 세계관과 서술의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비교 검토한 텍스트는 다음과 같다: 화지부(Mahīśāsaka)의 『五分律(T.22, no.1421)』, 법장부(Dharmagupta)의 『四分律(T.22 no.1428)』, 테라와다의 위나야(Vinaya) 『마하왁가(Mahāvagga)』, 맛지마 니까야 주석서(Majjhimanikāya Aṭṭhakathā)인 『빠빤짜수다니(Papañcasūdanī)』, 그리고 아비담마 제 1 논서 담마상가니 주석서(Dhammasaṅgaṇi Aṭṭhakathā)인 『앗타살리니(Atthasālinī)』.
    이들의 비교연구를 통해 (역사적 진위여부와는 별도로) 마하위하라 전통이 아비담마를 중심으로 붓다의 행적은 물론 깨달음에 대한 내용까지도 재구성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석전통의 내러티브 성립과정과 그것이 지닌 함축적 의미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CE 5세기 주석전통을 주도한 마하위하라 세력은 아비담마 – 그들이 전승한 일곱 권의 논서들 - 의 기원을 붓다의 깨달음 이후 행적에 편입시켰다. 그리고 다양한 내러티브를 추가하여 아비담마 칠론이 천상설법을 거쳐 사리뿟따에 이르렀으며, 그의 제자들을 통해 붓다시대부터 전승되어 마하위하라에 정착되었음을 주장했다. 이로써 마하위하라 세력은 붓다의 깨달음의 요체이자 최상승의 가르침인 아비담마 칠론의 유일한 전승자로서 여타의 다른 세력들과는 비교할 수 없는 종교적 정당성과 순수성을 확립하게 되었다.

    영어초록

    The Buddhist narrative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through the Buddhist countries. They did and have praised the Buddha’s virtue and instructed the Buddhist doctrines with interesting and easily understandable stories and metaphors. The Buddha’s past under the Bodhi tree after his awakening is one of those very examples.
    The narrative of the Buddha’s past, after his awakening, is quite complicated historically since various texts discuss different stories. Among them, the Pāli commentarial tradition presents it in a forty-nine day format, and describes the seven abhidhamma treatises as organised by the Buddha during the fourth and fifth weeks after his awakening. The origin of seven treatises, however, is not found in the narratives from the other Buddhist texts, even from the early Theravāda tex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Pāli commentarial hermeneutics, this article compares the narratives of the Buddha’s awakening from the other four different Buddhist texts, namely the three vinaya texts of Mahīśāsaka, Dharmagupta and Theravāda, and the Pāil commentaries.
    From a comparative study of the narratives, the implications of the Pāli commentaries are revealed as follows. The elders of the Mahāvihāra fraternity included the origin of abhidhamma into the narrative of the Buddha’s awakening in order to establish their own authority. Such a narrative guarantees them religious authority and purity since, by implication, they are the only ones who preserved the insights of the Buddha’s awake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