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 중, 월 전기소설의 이계 체험담 연구-《전등신화》, 《금오신화》, 《전기만록》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Experiences of Transcending Realms in Korean, Chinese, and Vietnamese Jeongi Novels - Focusing on 《Jeondeungsinhwa》, 《Geumosinhwa》, 《Joengimanrok》)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3.10
39P 미리보기
한, 중, 월 전기소설의 이계 체험담 연구-《전등신화》, 《금오신화》, 《전기만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문학과 교육 / 54호 / 149 ~ 187페이지
    · 저자명 : 박은진

    초록

    한문 문화권인 동아시아의 문화적 자장(磁場) 속에서 한국, 중국, 베트남은 유사하면서도 독자적인 역사와 문화를 반영한 다양한 문학작품들을 형성해왔다. 이 연구에서는 14-16세기 세 나라에서 밀접한 영향관계 속에 형성된 전기소설집(《전등신화》, 《금오신화》, 《전기만록》)에 주목하고, 비교문학적 측면에서 세 작품집에 수록된 이계 체험담을 분석하여 근대 이전 동아시아에서 비현실적인 상상력이 문학으로 구현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존에 《전등신화》와 그것의 수용 차원에서 다루던 세 작품집 비교 논의의 구도에서 벗어나, 이들을 각 나라에서 구현된 개별적인 문학 결과물로 보는 관점에서 설명해보고자 하는 시도에서 세 작품집에 수록된 이계 체험이 중심이 되는 작품들을 ‘이계 체험담’으로 새롭게 범주화하여 비교 대상으로 삼고, 작품의 내용이 되는 형식으로서 ‘내적 형식’((Innere Form)을 중심으로 한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세 작품집에 수록된 전기소설의 이계 체험담에는 저승, 용궁, 신선계 등 이계 공간에 대해 동아시아 사람들이 공유하던 인식이 반영되어 있으며, 현실의 인물이 이계에 가서 이계 인물과 대화하는 부분이 작품의 중심을 이루는 내적 형식으로서 공통적으로 드러난다. 그러나 《전등신화 》의 경우에는 이계의 우위 속에서 이계 인물의 말을 통해 전달되는 이계나 세상사의 이치와 지식을 통해 교훈적 의미를 전달하고 있으며, 《금오신화 》는 주인공과 이계 인물이 동등한 구도에서 이루어지는 대화의 내용이 서사 전개를 상당히 지연시킬 정도로 확장되어 작가가 의도하는 담화적 의미가 중층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기만록》에는 대결구도 속에서 이계 인물이 복수(複數)로 등장하여 주인공과 대결하고 원한이나 현실의 잘못에 대해 징계하면서 다채롭게 서사를 전개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전등신화》는 교훈적인 성격이 뚜렷한 최초의 전기소설집이며, 《금오신화》는 《전등신화》에 비해 작가성이, 《전기만록》은 기존의 베트남 서사 전통이 강하게 작용하여 구현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세 작품집 이계 체험담의 양상은 난세를 살아갔던 동아시아 세 나라의 지식인이 각자의 사회문화적 상황과 맥락에서 구현한 ‘문학적 응전의 결과물’로서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In the cultural magnetic field of East Asia, which is a cultural sphere of Chinese characters, Korea, China, and Vietnam have produced various literary works that reflect similar yet independent histories and cultures. In this study, we pay attention to 《Jeondeungsinhwa》, 《Geumohsinhwa》, and 《Jeongimanrok》, which are collections of Jeongi novels formed in the three countries in the 14th and 16th centuries, and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experiences of other worlds in the three collections from a comparative literary perspective. Previously, I tried to examine the aspect of unrealistic imagination embodied in literature in East Asia. Going beyond the existing comparison of works centered on Yeomjeong-ryu, the works centered on experiences in the other world in the three collections are newly categorized as “reports of other world experiences”and used as comparison targets; as a form of the content of the work, “inner form,”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he other-world experiences in the Jeongi novels included in the three collections reflect the perceptions shared by East Asian people about other-world spaces such as the underworld, dragon palace, and immortal world. In addition, the part where a real person goes to another world and converses with another person is commonly revealed as an internal form that forms the center of the work.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pecific aspects of dialogue revealed in the three works. 《Jeondeungsinhwa》 is the first collection of Jeongi novels with a clear didactic character, 《Geumohsinhwa》 is influenced by a strong writer, and 《Jeonjeonmanrok》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a strong influence of the existing Vietnamese narrative tradition. The aspects of the experiences of other worlds in these three collections are meaningful as the “results of literary response”realized by intellectuals from three East Asian countries who lived in difficult times in their respective socio-cultural situations and contex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문학과 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