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일 혼인담 비교‒‘혼례 날 죽을 운명’을 둘러싼 민담과 민속 (A Comparative Study of Marriage Tales between Korea and Japan ‒Folk tales and Folklore Surrounding ‘the Fate of Death on the wedding day)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3.10
18P 미리보기
한·일 혼인담 비교‒‘혼례 날 죽을 운명’을 둘러싼 민담과 민속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93호 / 73 ~ 90페이지
    · 저자명 : 김난주

    초록

    본고는 ‘혼례 날 죽을 운명’을 모티프로 한 한·일 민담의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양국의 혼례 민속, 그리고 혼인에 대한 양국 민중의 인식과 심리를 비교 고찰한 것이다. 구체적인 분석대상으로는, 한국에서는 ‘혼례 날의 호환’형 민담을, 일본 쪽에서는 ‘혼례 날의 죽음’형 민담을 선택하다. 혼례 날에 죽음을 경고하는 서사는 민중들이 혼례라는 통과의례 혹은 혼인에 대해 느끼는 공포와 불안의 심리를 반한다. 또한, 혼인담에 나타난 이러한 죽음의 모티프는 실제 혼례의식이 장례와 유사한 의식을 거치며 상징적 죽음을 재연하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혼례에서 죽음의 의식을 통과한 남녀가 아내와 남편이라는 자아로 새로 태어나듯, ‘혼례 날 죽 을 운명’ 이야기 속 신랑 신부는 죽음을 극복하고 행복한 삶을 손에 넣는다. 이러한 공통점과 보편성 이외에 ‘혼례 날 죽을 운명’의 한·일 혼인담은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과 특수성을 드러낸다. 본고에서는 첫째, 신랑 신부를 죽음에 이르게 하는 위험 요소의 차이, 둘째, 죽을 운명에 처한 주체, 셋째, 누가 신랑 신부를 죽을 운 명에서 구해 내는가의 관점에서 한·일 혼인담의 차이를 도출하고 그 문화적 배경과 의미를 논하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aspects of Korean and Japanese folk tales based on the motif of “the Fate of Death on the Wedding Day”. Through this analysis, we compared and examined the perceptions and psychology of the two countries’ populations regarding wedding customs and marriage. Specifically, the paper focuses on the Korean folk tales of “disasters caused by tigers on the wedding day”type and the Japanese folk tales of “death on the wedding day”type as the subjects. Narratives warning of death on the wedding day reflect the fears and anxieties that people feel about the rite of passage of wedding or marriage. Moreover, the motif of death found in marriage tales aligns with the fact that wedding ceremonies undergo rituals similar to funerals, and these wedding rituals also serve as a symbolic reenactment of death. Just as individuals transition through the consciousness of death during wedding ceremonies to emerge as new identity as husband and wife, the groom and bride in the stories of “the Fate of Death on the Wedding Day” overcome death and grasp a happy life. Beyond these shared themes and universality, the Korean and Japanese marriage tales featuring ‘the Fate of Death on the Wedding Day’ motif also shows several significant differences and uniqueness. In this paper, we explore: firstly, the differences in the elements leading the groom and bride towards their untimely demise; secondly, the subject who is destined to die; and thirdly, who rescues the groom and bride from this destiny. We draw out differences in the context of Korean and Japanese marriage tales, discussing their cultural backgrounds and signific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