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규모 집합주택 경계요소(담)의 호혜적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iprocal Utilization for Boundary Elements(Wall) of Small Multifamily House)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6.06
9P 미리보기
소규모 집합주택 경계요소(담)의 호혜적 활용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1권 / 3호 / 31 ~ 39페이지
    · 저자명 : 정형원, 유진형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도시는 공간적, 시간적인 과잉 현상을 겪으며, 주거공간의 밀집을 야기 시켰다. 이에 따라, 주거공간의 경계요소는 본래 가치를 상실하고, 이웃 간 분쟁과 소외 현상의 표징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대단위 주거단지 이외에 소규모 주거 밀집지역의 주거공간은 경계가 분명한 사유지로서 표식의 의미로 작용할 뿐, 주거 환경요소로서 의미는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거주환경 재생 측면에서 소규모 집합주택의 경계공간에 대한 현황분석을 통하여 경계요소(담)을 중심으로 하여금 이웃 간 호혜적 매체로 재인식될 필요성이 요구되므로, 주거환경의 경계요소에 대한 의미 확장을 통하여 이웃 간의 호혜적 공간 확보와 소통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거주환경의 경계 개념에 대한 진화심리학 관점과 현상학 관점, 역사·문화적 관점에서 경계(담)의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대표적 주거환경인 도심 내부의 소규모 집합주택의 경계요소에 대한 환경적·매체적 관점으로 구분하여 연구범위를 설정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주거환경과 경계요소에 대한 관계적 의미를 추론하여 주거환경 변화에 대한 특징 분석, 경계요소와 상관관계 입증 및 경계요소의 관계적 특징 제시하여 경계요소의 의미 변화가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는 소규모 집합주택 지역을 선정, 관계 요소 분석을 통해 사물 환경과 공유 정도를 도출하고자 한다. (결과) 급속한 도시화 현상에 따른 소규모 집합주택 경계요소(담)는 사유재산에 대한 획일적인 행정 구획 개념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상호 분쟁과 소외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집합주택의 경계요소에 대한 공유 및 소통적 관점으로서의 재인식 과정을 통해 인간·자연·사회의 본래적인 관계성 회복을 위한 구성 개념으로서 자연적·인간적·사회적 요소 간 기능적·심리적·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요소 간 유기적인 관계를 유발할 수 있는 디자인 방법론이 제기된다. (결론) 본 연구는 소규모 집합주택 경계요소(담)의 호혜적 매체로 인식될 수 있는 단계적 실행 방법론을 위한 향후 연구과제로 발전시켜 단절된 이웃 간의 유대감을 재생시키고, 점진적으로 지역 유대로 확산될 수 있는 소통하는 주거 공간 실현에 대해 미력의 성과가 있길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With a rapid economic growth cities have experienced space and time saturation phenomena causing dense living spaces. Therefore, boundary elements of the living environment has lost their original values, which has appeared as a sign of conflicts and alienation phenomena in a neighborhood. Especially, the living space located in the area where dense small-scale residential area acts as the meaning of mark with clear barrier but it is hard to find out the meaning of living environment element. Therefore, the need to recognize the barrier element (wall) as beneficiary media between neighbors by performing the status analysis on the barrier space of small multi-family house from the aspect of recycling of living environment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cure the beneficiary space and improve communication environment between neighbors by expanding the barrier environment of living environment. (Method)This study has set its range with environmental and media perspectives separated for boundary elements by considering the concept of barrier with viewpoint of evolutionary psychology, phenomenology and history & culture. Through a theoretical study on the boundary we try to deduce the mean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ving environment and boundary elements by analyzing features of changes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roving correlation with boundary elements, and presenting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boundary elements, and try to derive the degree of shared environments of thing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lements by selecting a small-scale multi-family house area which clearly reveals the meaning change of the boundary elements. (Results)In accordance with the rapid urbanization phenomenon, the barrier element (wall) of a small-scale multi-family house has been used as a monolithic division concept of private property and a mutual dispute and alienation phenomenon has been deepened. A design methodology is required to lead to the organic relationship among natural, humane and social elements as a construct for the restoration of relations between haman, nature and society through func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interaction for a new understanding on the boundary elements of a multi-family house as a sharing and communication perspective. (Conclusions)The study hopes to contribute its mite to recycle the blocked fellowship between neighbors and realize the communicating living space that can be expanded to local fellowship gradually by developing the study as a subject of future research for stepwise methodology that can be recognized as beneficiary media of Boundary Elements(Wall) of Small Multifamily Hou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