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左溪裒談』 所載 詩話의 양상과 성격 연구 (A Study on the appearances and characteristics of Sihwa in Jwagya-budam)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3.06
29P 미리보기
『左溪裒談』 所載 詩話의 양상과 성격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76권 / 67 ~ 95페이지
    · 저자명 : 조정윤

    초록

    『左溪裒談』은 광해조 말부터 영조 연간에 이르는 약 250여 년 동안의 사대부에 대한 간략한 傳記 및 逸話, 詩話 등을 각 인물이 생존했던 시대 순서로 편차하고 있는 人物志 성격의 저술이다. 그 안에는 조선 중․후기 인물의 정치적, 사회적 행적과 사건에 대해 풍부한 역사적 정보 뿐 아니라 시화나 야담류와 같이 문학이나 기예와 관련한 담론 및 기이담, 해학 등 흥미로운 이야기를 담고 있고 있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크다.
    본고는 『좌계부담』 소재 시화를 선별하여 그 양상과 특징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필자가 검토해본 바, 『좌계부담』 내에 시화는 전체 기사의 30%를 차지하였다. 시화의 유형은 크게 품평류 시화와 일화류 시화로 나눠지는데, 품평류의 시화는 주로 시의 우열, 풍격, 형식의 완정성, 그리고 시인의 능력과 기상 등에 대해 언급하거나 비평하였다. 일화류의 시화는 시 자체의 이해, 감상의 기능보다는 서사의 보조적 역할로 시화가 설정되어 인물의 성향이나 일생을 보여주는 시를 소개하고 있거나, 輓詩 또는 ‘詩讖’이 된 시들을 수록하고 있었다. 이는 『좌계부담』이 專門詩話書가 아닌 人物誌 性格의 筆記類인 것과 관련이 깊다.
    한편, 시화의 대상 시인들을 살펴봤을 때,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 중반까지 활동했던 시인이 전체 시화의 절반을 넘는 비율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좌계부담의 시화는 당대 漢詩史를 중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저술 시점에 가까운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당대 사대부의 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수록 인물의 당색을 살펴보았을 때, 색목에 구애가 적은 시화류임도 확인할 수 있었다. 편당에 편벽된 시를 폄하하는 가하면, 신분이나 당파와 관계없이 詩才가 있음을 높이 평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곧, 본 시화는 당파에 대한 편협성 및 구애됨이 별로 없이 객관성을 담지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Jwagya-budam『左溪裒談』 is a book that describes concise biographies,anecdotes, and Sihwa about Sadaebu in order of year the authors livedduring around 250 years from the late Reign of Gwanghaegun to Youngjo.
    This paper is focused on reviewing its aspects and meaning of literarycriticism, that is to say contents related to Sihwa, among many contentsof Jwagya-budam.
    Anecdotes and literary criticism associated with a poem and literaturein Jwagya-budam correspond to 63 passus of a total of 211, about 30%.
    The category of Sihwa is divided into a criticism of poem, evaluation,and anecdotes. Sihwa of Jwagya-budam did not have great interest interms of a criticism of poem. We cannot find the essence of poem ordiscussion on creative writing. The authors of the day was introducedand their works were evaluated. In addition, it was described accordingto poets and anecdotes about poetical composition.
    The characteristics and its meaning of this Sihwa were summed up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ihwa of Jwagya-budam putemphasis on the history of Chinese poem of the day in that more thanhalf of a total of Sihwa were poets who worked from the end of 17thcentury to the early years of 18th century. Thus, it helps us to understandthe poem of Sadaebu of the day from the end of 17th century to the early years of 18th century near the time they wrote.
    Second, we can find its meaning in that it had objectivity withoutnarrow-mindedness and adherence to a faction. It is observed that a poemthat was one-sided to a faction was disparaged and a poetic geniusregardless of a position or faction was highly appreciated.
    Third, Jwagya-budam is a kind of writing, not a professional book onSihwa with a view point of record. So, it is confirmed that Jwagya-budamevaluated a poet and his poem and introduced Sihwa including a realisticcontent as a anecdote rather than a professional criticism of poemsbecause Sihwa was used as an assistant means in order to explain inthree dimension the character in the form of a biography of each person.
    There are many contents including a poet’s spirit showing the measureof him, the future of poems associated with destiny of a poet, an elegyto express a person’s life and sorrow. This characterizes Sihwa ofJwagya-buda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