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 18세기 韓中 鬼神·妖怪談의 逸脫과 欲望 (A Study on Deviation and Desire in the Ghost and Apparition Tales of Chosun and China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2.06
31P 미리보기
17, 18세기 韓中 鬼神·妖怪談의 逸脫과 欲望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56호 / 5 ~ 35페이지
    · 저자명 : 김정숙

    초록

    본고는 17, 18세기 조선과 중국의 귀신, 요괴담을 중심으로 그 속에 담긴 일탈과 욕망을 비교문화사적 관점에서살펴보았다.
    조선의 『천예록』과 『학산한언』은 초현실적 존재에 대한 무한한 관심을 드러낸 작품이다. 그러나 당시 강고한 성리학적 이념에 의해 귀신, 요괴를 이야기하면서도 그에 대한 이성적, 합리적 설명을 강조하였다. 조선에서 초현실적 존재 중에서 귀신이나 요괴가 부정의 대상이었다면 神과 鬼의 중간에 있는 神仙은, 비록 그 함의가 현실의 부정과 초월에의 욕망이라고 해도, 문인들 사이에서 긍정적 의미를 지녔다. 특히 신돈복은 신선술 및 도교 사상에 경도되었으며 『학산한언』도 그 연장선상에 있다. 그는 드러내놓고 표현할 수 없는 현실 비판이나 일탈의 욕망을 신선담 속에서 찾았다.
    조선의 귀신, 요괴담이 사회적 이념과 타협하는 방식으로 기술되었다면, 명청대 『자불어』와 『요재지이』에는 자유로운 상상력이 넘쳐난다. 귀신, 요괴, 신선, 여우 등 온갖 비현실적 소재를 통해 부조리한 현실을 비판하고 풍자하는 동시에 당시 팽배하던 인간의 본성이나 정욕 중시의 태도를 드러내었다. 특히 일상의 규범이나 사회적 제도를 무너뜨리는 상상력이라 할 수 있는 시체와 신체훼손 등 엽기적 취향도 서슴지 않고 표현했다.
    17, 18세기 한중 귀신 요괴담이 이러한 차이를 갖게 된 가장 근본적 이유는 창작 주체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조선의 임방과 신돈복은 노론측 인사로 당대의 주류에 속하지만 중국의 원매와 포송령은 문인이나 비주류에 속하며 가치관이나 사상적 지향이 매우 유연하며 자유로웠다. 또한 명청대 程朱理學에 반발해 인간 본연의 情慾이나 자유로운 감정을 강조하던 시대적 배경도 『요재지이』나 『자불어』와 같은 자유로운 상상력이 가능할 수 있었던 요인이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deviation and desire in the ghost and apparition tales of Chosun and China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cultural history. Cheonyerok and Haksanhaneon of Chosun demonstrate infinite interest in surrealistic beings but tended to emphasize the rational and logical explanations of ghosts and apparitions due to the rigid Sung-Confucian ideology of the times while telling ghost and apparition tales. In Chosun, while ghosts and apparitions were negative surrealistic beings, mountain wizards placed between god and ghost held positive significance among literary figures even though their implications were the denial of reality and desire for transcendence. Shin Don-bok, in particular, was devoted to the Taoist ideology, and his Haksanhaneon was in line with such devotion of his. He found criticism of reality and desire for deviation, which could not be expressed openly, in mountain wizard tales.
    Unlike Chosun's ghost and apparition tales that were told in a compromising way with social ideology, Jabuleo and Yojaejii of Ming and Qing Dynasty are full of free imagination. They exhibit the dominant human nature and attitude of highlighting sexual desire in those days, criticizing and satirizing the irrational reality with all kinds of unrealistic materials including ghosts, apparitions, mountain wizards, and foxes. They were especially unhesitant about expressing a bizarre taste such as corpse and body damage, which was the product of imagination breaking down the daily norms and social institutions.
    The most fundamental reason behind such differences in ghost and apparition tales between Chosun and China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derives from different subjects of creation. While Im Bang and Shin Don-bok of Chosun belonged to the Noron society and the mainstream of the times, Won Mae and Po Song-ryeong of China did not belong to the mainstream even though they were literary figures. Their values and ideological orientations were very flexible and free. In addition, the period background of Ming and Qing Dynasty that emphasized the free emotions of man also contributed to the free imagination in Yojaejii and Jabule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