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보(呪寶)형 혼인담’ 연구 (Study on Jubo-type Marriage Tal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5.07
23P 미리보기
‘주보(呪寶)형 혼인담’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60호 / 1 ~ 23페이지
    · 저자명 : 이영수

    초록

    본고는 ‘주보형 혼인담’의 전승 유형을 살펴보고, 서사단락을 중심으로 설화의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주보형 혼인담’은 널리 분포된 설화의 하나로, 주력(呪力)을 지닌 동물의 털을 이용하여 처녀와 혼인한다는 내용의이야기이다. 본고는 ‘주보형 혼인담’을 이야기 전개 방식에 따라 서사구조상 제1·2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전자는 ‘주보의 입수–처녀의 발병– 완치 후 혼인’, 후자는 ‘주보의 입수–처녀의 발병–치료와 약속 불이행–병의재발과 혼인’ 과정을 거친다. 이야기의 구성이나 흥미적인 요소에 있어 제2유형이 상대적으로 앞서는 편이다.
    주보는 설화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도구로, 주인공은 ‘강탈, 보은, 교환’의 방법을 통해 획득한다. 이를이용해서 재력과 권력을 소유한 집안의 처녀에게 장가든다는 점에서 주인공은 온달컴플렉스에 걸린 인물이다.
    처녀의 발병은 프레이저의 주술적 사고에 의하면, 유감주술과 감염주술의 원리가 결합된 것이다. 병의 치료횟수는 ‘1회, 2회, 3회’로 설화마다 차이를 보인다. 이것은 화자의 구술능력에 따른 차이와 병의 재발을 염두에둔 포석으로 보인다. 혼담은 두 집안의 신분적 격차로 무산되고 처녀의 병은 재발한다. 등장인물 간의 대립은처녀 아버지의 굴복으로 끝나고 주인공은 처녀와 혼인하여 잘 먹고 잘 살았다는 전형적인 민담의 결말형식으로 이야기가 끝난다.
    주보의 입수 단락에서 주인공과 조력자, 그리고 주보의 등장 과정에 일관성이 없다. ‘주보형 혼인담’에서 변이 양상이 가장 심한 부분으로,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처녀의 발병과 치료 단락은 이설화의 핵심 단락이다. 화자가 “주인공이 처녀가 오줌 눈 곳에 주보를 꽂고 그녀를 치료하고 혼인했다.”는 것만 기억해도 설화의 전승에는 하등 문제될 것이 없다. 주보에 의한 처녀의 발병과 치료는 ‘주보형 혼인담’에서만 볼 수 있는 특징적 요소라 하겠다. 따라서 앞으로도 ‘주보형 혼인담’은 다른 혼인담과는 변별된 형태를 유지하며 전승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transmission patterns of Jubo-type marriage tales and analyze the contents of tales focusing on the narrative paragraphs. Jubo-type marriage tale is one of widely spread fairy-tales and it is a story in which a man marries a woman using the animal’s fur containing the magical power.
    In this paper, we conveniently divide Jubo-type tales into types 1 and 2 based on narrative ways. The former goes through ‘acquisition of Jubo – onset of disease in a woman – marriage after recovery’ and the latter goes through ‘acquisition of Jubo - onset of disease in a woman – treatments and failure to keep promise – recurrence of disease and marriage’. In terms of configuration of story or interesting factors, the type 2 relatively takes the lead.
    Jubo is used as a tool for making a narrative consensus, and a main character obtains it through ‘extortion, gratitude and exchange’. Since the man marries the woman in the family holding the wealth and power by using it, he is indulged in Ondal complex. According to the magical thinking of Fraser, the onset of disease is combined with principles of homeopathic magic and contagious magic. The frequency of treatments of diseases is ‘once, twice and three times’.
    There are some variations in each tale. It seems to be dependent on the differences in speaker’s narrative ability and recurrence of disease. Marriage talks are broken off because of the gap between classes of two families. The disease of the woman recurs. The conflict between characters is resolved by the surrender of the woman’s father. The main character marries her and lives well. Tales are finished with conclusions of the typical folklore.
    In the section of ‘acquisition of Jubo’, there is no consistency in the emergence of the main character, helpers and Jubo. It is the section which has the biggest variation in the Jubo-type marriage tale. This phenomenon seems to be continued in the future. The section of ‘onset and treatment of disease in a woman’ is the key section. If a speaker remembers that ‘the main character sticks the Jubo on the place where the woman discharges her urine and treats her disease. He marries her’, it would not have a problem to be transmitted. ‘Onset and treatment of disease in a woman’ by Jubo is the characteristic factor which is shown only in the Jubo-typemarriagetales. Thus, Jubo-type marriage tales will be maintained and handed down in a distinctive form which is different from other marriage ta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