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전 지역 6·25 전쟁체험담 중 아군에 의한 민간인 피해담의 서사 분석과 존재 양상 (Narrative Analysis and Existence Patterns of Civilian Victims by Allies among Korean War Experiences in Daejeon are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2.12
28P 미리보기
대전 지역 6·25 전쟁체험담 중 아군에 의한 민간인 피해담의 서사 분석과 존재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남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남어문학 / 43권 / 77 ~ 104페이지
    · 저자명 : 백민정

    초록

    본고는 대전 지역의 6·25 한국 전쟁체험담을 경험 주체의 성격에 따라 전투체험담과 민간인 전쟁체험담으로 구분하고, 민간인 전쟁 체험담이 ‘적군에 의한 피해담’과 ‘아군에 의한 피해담’으로 구분되는 가운데, 이 중 ‘아군에 의한 피해담’을 분석한 논문이다. ‘아군에 의한 피해담’은 크게 비행기 ‘공습 피해담’과 ‘민간인 학살담’으로 분류된다.
    대전 지역은 6․25 한국 전쟁 중 대전역을 중심으로 한 비행기 폭격의 피해가 큰 곳이었다. 인민군 점령기 시절에 주로 집중된 비행기 폭격은 인민군을 겨냥한 폭격뿐만 아니라 오폭 사고도 많이 일어나서 이로 인한 민간인 피해가 매우 컸던 곳이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폭격이 민간인들에게 체험되면서 기억되는 일련의 에피소드와 트라우마가 담긴 담화 유형을 소개하고 분석하였다. 이는 대전 지역민들에게 ‘전쟁=비행기 폭격’이라는 전쟁 인지 공식을 형성케 해주기도 했다.
    한편, 대전 지역이 수복 후 인민군들에게 협조했던 사람들에 대한 처형이 주된 담화의 골자를 이루는 서사 및 산내의 골령골에서 이루어진 대전형무소 수감자들에 대한 대형 학살 사건을 담은 ‘민간인 학살담’이 대전 지역민들에게 기억되어 구연되는 유형을 분석하였다. 인민군에게 밀고를 해 이웃을 죽게 한 ‘지역빨갱이’들에 대한 적개심도 활발한 구연 동기가 되고 있는 한편, 억울하게 지역빨갱이로 몰려서 수모를 당한 서사들도 적지 않게 전승되고 있었다. 대전 형무소 수감자 학살 사건은 흔히 ‘트럭에 실려간 사람들’로 대전 지역민들에게 가장 널리 알려진 사건이다. 이들이 빨갱이라서 죽었다는 당위성보다는 억울한 죽음이었다는 연민이 더욱 강하게 읽혔던 것은, 학살의 규모 즉, 트럭에 실려간 사람들의 수가 너무 많았다는 것이 큰 이유였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그들 중 빨갱이라는 누명을 쓰고 죽은 사람이 많았다는 연민의 서사, 혹은 인민군들이 죽였다는 와전된 서사가 함께 병존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classifies the Korean War experiences in the Daejeon area into combat experiences and civilian war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subject of experience, and civilians' war experiences are also classified into ‘victimize stories by the enemy' and 'victimize stories by friendly forces'. In the middle, this is a thesis that analyzes 'victimize stories by allies' among them. ‘victimize stories caused by friendly forces’ are broadly classified into ‘victimize stories caused by air raids’ by planes and ‘stories of massacres of civilians’.
    The Daejeon area was heavily damaged by airplane bombing centering on Daejeon Station during the Korean War on June 25th. During the period of occupation by the People's Army, the main concentration of airplane bombing was not only targeting the People's Army, but also a lot of accidental bombing accidents, resulting in great civilian damage. This paper introduces and analyzes a series of episodes and types of discourse containing trauma that are remembered as civilians experience the bombing. This also helped the residents of Daejeon to form a formula for recognizing war: ‘war = plane bombing’.
    On the other hand, after the restoration of the Daejeon area, the execution of those who cooperated with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was the main focus of the narrative, and the 'civilian massacre story', which contains a large-scale massacre of Daejeon Prison inmates in Golryungol in the mountain, was written by the local people of Daejeon. The types that were memorized and narrated were analyzed.
    The hostility towards the 'local commies' who informed Mingun and caused their neighbors to die was also a motive for active storytelling, while not a few narratives that were unfairly accused of being local commies and were humiliated were handed down. The massacre of prisoners at the Daejeon Prison is the most widely known event among the local residents of Daejeon, often referred to as “those who were taken away by trucks.” It seems that the scale of the massacre, that is, the number of people taken by trucks, was a big reason why the pity that the deaths were unfair was read more strongly than the justification that they died because they were Reds. Therefore, it can be found that the narrative of pity that many of them died because they were unjustly accused of being communists, or the erroneous narrative that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killed them coexi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남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