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학산초담』의 이본 연구 (A Study on Different Versions of Haksanchoda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6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07.06
62P 미리보기
『학산초담』의 이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23호 / 421 ~ 482페이지
    · 저자명 : 허경진

    초록

    『鶴山樵談』은 許筠(1569~1618)이 25세 되던 1593년 강릉에서 기록한 시화집이다. 鶴山은 허균이 이 시화를 저술하던 시기에 머물렀던 愛日堂 북쪽에 있는 靑鶴山이다. 『학산초담』 後記에서 애일당이 있는 뒷산의 이름을 따서 蛟山子라는 호를 처음 썼다. 허균은 아직 문과에 급제하기 전이라 ‘청학산 나무꾼의 이야기’라는 정도로 겸손하게 책 이름을 붙인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필자가 현재까지 확인한 『학산초담』 이본은 6종이다. 이인영의 장서인 淸芬室文庫에도 『학산초담』이 소장되어 있었지만, 현재 행방을 알 수 없다. 李仁榮은 경성제국대학을 졸업하던 1937년부터 고서를 수집했는데, 희귀본 540종의 해제를 작성하여 1944년에 『淸芬室書目』을 탈고하였다. 그가 소개한 『학산초담』의 서지에 「寒皐館外史題後」를 인용 소개하였지만, 출전을 『담정유고』라고 밝힌 것을 보면 『한고관외사』에서 전사한 것은 아닌 듯하다. 10행 24자라는 필사형식도 다르다.
    현재 확인된 6종 가운데 규장각 소장본만 단행본이고, 다른 5종은 叢書에 실려 있다. 가장 오래된 본은 이장재가 1790년에 편찬한 『청구패설』에 실려 있다. 『패림』이 일찍 영인되어 널리 알려졌지만, 김려가 편찬한 『한고관외사』도 『패림』보다 시기적으로 앞선 총서이며, 『패림』은 『한고관외사』와 『창가루외사』를 저본으로 해서 편찬했다. 『패림』에 실린 『학산초담』은 당연히 『한고관외사』를 베낀 것인데, 내용과 형태가 같을 뿐만 아니라 글자의 위치까지도 그대로 베꼈다. 그러나 『패림』본에 빠진 구절들이 『한고관외사』본에는 온전하게 실려 있다. 『한고관외사』본을 놓고 필사하는 과정에서 빠진 것이다.
    『대동패림』본은 35칙만 필사되어 자료적 가치가 적으며, 장서각본도 『청구패설』본이나 규장각본과 같은 내용이어서 자료적 가치가 적다.
    『청구패설』에 실린 『학산초담』이 가장 앞선 본이기는 하지만, 주석이 정연하기로는 『한고관외사』본을 따를 수 없다. 欄上의 기록이 덧붙긴 했지만, 체제가 정연하지 않다. 현재 확인되는 이본만 놓고 본다면 夾注는 김려의 『한고관외사』에 실린 『학산초담』에서 시작되었으니, 김려가 정본을 만드는 과정에서 협주를 붙였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 문제는 더 많은 이본을 확인한 뒤에야 확실히 판단할 수 있다. 필사 습관에 따라 다르게 쓴 글자들은 선본 확정에 큰 문제가 아니다. 『패림』본이 『한고관외사』본을 충실하게 전사했지만 몇 군데 잘못된 부분이 있어, 현재로서는 『한고관외사』본이 가장 선본이라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Haksanchodam is a Sihwa that was recorded by Hur Gyun(1569-1618) in 1593, when he was 25 years old. Of the 6 versions identified so far, the Gyujanggak-owned one is the only monograph, and the other 5 versions are inserted in collection books. The oldest version of them is inserted in Cheonggupaeseol, which was edited by Lee Jang-jae in 1790. Though Paerim is well-known as it was photo copied earlier, Hangogwanoisa is a collection book preceding Paerim temporarily, and Paerim was edited based on Hangogwanoisa and Changgaruoisa. Haksanchodam, as it is inserted in Paerim, is necessarily copied from Hangogwanoisa, and not only its contents and styles but also the positions of letters are copied without modification. However, the phrases omitted from Paerim exist completely in the version in Hangogwanoisa. They missed in the process of copying the version in Hangogwanoisa.
    The version in Daedongpaerim copies only 35 items by hand writing, which makes it have less data value, and the Jangseogak version is of less value since it has the same contents as those of the Cheonggupaeseol and the Gyujanggak version.
    Though Haksanchodam in Cheonggupaeseol is the oldest, it cannot be paralleled with the Hangowanoisa version since the latter has the best glossary. Though records in the margins are added, its style is not ordered. Considering only the different versions identified by now, the parenthetical citations began in Haksanchodam in Kim Ryeo’s Hangogwanoisa, which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his adding parenthetical citations in the course of producing the definitive version. However, this issue will be resolved only after we check more versions. The different letter patterns are not a problem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best version. Since the Paerimversion has some bad parts in it though it most substantially transcribes the Hangogwanoisa version, the Hangogwanoisa version is judged to be the best version by no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