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유해류 서적과의 비교를 통해 본 『漢談官話』 특징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an-dam-guan-hwa(漢談官話) through Comparison with Classificatory Glossar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4.03
32P 미리보기
조선 후기 유해류 서적과의 비교를 통해 본 『漢談官話』 특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중국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학 / 86호 / 225 ~ 256페이지
    · 저자명 : 구현아, 신수영, 엄지

    초록

    중국은 예로부터 우리나라와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가장 가까운 나라였으며, 이에 따라 중국어는 가장 중요한 외국어로 인식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에는 통문관(通文館), 조선시대 사역원(司譯院)을 통해 중국어가 교육되었고 『四書』나 『直解小學』과 같은 중국의 경전이나 『老乞大』, 『朴通事』와 같은 회화서를 사용했다. 조선 중기, 왜란과 호란을 겪으면서 실질적인 의사소통에 필요한 교재가 필요함을 깨달으며 여러 회화서의 개수본(改修本) 뿐만 아니라, 『譯語類解』와 같은 유해류(類解類), 즉 분류어휘집도 편찬되었는데 이는 다양하고 풍부한 어휘 학습을 도와 정확한 의사소통에 기여하였다. 이후 19세기에 들어서는 민간에서 중국어 학습 수요가 증가하여 민간인 저자에 의해 『華語類抄』, 『漢語抄』, 『華語』, 『漢談官話』와 같은 유해류 서적이 편찬되었다. 이들은 19세기에서 20세기에 이르는 근현대시기 한국과 중국 두 나라의 언어사를 조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漢談官話』는 1902년 필사,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며, 저자는 미상이다. 18개의 부류(部類)로 나누어 총 613개의 어휘를 실었다. 『譯語類解』나 『華語類抄』처럼 천문(天文)으로 시작하지 않고 인사‧관직 관련 어휘로 시작하고 있으며, ‘一字部’, ‘不字部’, ‘長語類’와 같이 일상생활에서 주로 쓰이는 구어체의 어휘, 어구, 문장 표현을 실어 실용성을 높였다. 어휘 부류 및 뜻풀이의 형식과 내용에서는 기존 유해서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혁신을 꾀하였다. 각 부에 수록된 어휘는 의미의 상관관계에 따라 연관성이 있는 표제어끼리 가깝게 배열되었다. 또한, 사용자가 비교적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언문(諺文) 대역어(즉 당시의 한국어)와 한자 및 한문을 이용하여 뜻풀이했다. 『譯語類解』나 『華語類抄』와 공통적으로 수록된 어휘 비율이 매우 낮아 『漢談官話』의 저자가 매우 독자적인 시각에서 어휘를 수집, 분류했음을 알 수 있다.
    『漢談官話』의 주음(注音) 측면에서 살펴보면, 見組 성모가 일부 구개음화 되기 전의 형태인 ‘ㄱ’, ‘ㅋ’으로 기록된 것과 日母가 영성모로 기록된 것은 동북 방언의 영향을 받은 부분이다. 그러나 來母를 ‘ㄴ’으로 주음 한 것과 같이 당시 한국 한자음을 학습하는 사람들이 범하는 오류에 따라 주음하고, 端組를 ‘ㅈ’혹은 ‘ㅊ’과 같이 한국 한자음에서의 구개음화 현상에 따라 주음하며, ‘兒’을 ‘라’로 기록한 것은 저자의 중국어 음운학적 지식의 한계에 기인한 것이자, 이 책의 한계를 보여주는 부분이다. 그러나 『漢談官話』는 체제, 형식, 어휘, 뜻풀이 면에서 볼 때 기존 유해류 서적과는 뚜렷한 차별성을 보이는 혁신적인 성격의 유해류 서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근현대 한중 양국의 언어사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영어초록

    China has historically been the foremost nation in terms of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proximity to Korea. Consequently, the Chinese language has held paramount significance as a foreign language of study. In Korea, Chinese education dates back to the utilization of institutions such as Tongmunguan during Goryeo Dynasty and Sayeokwon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Classical texts including Sa-seo(四書), Jik-hae-so-hak(直解小學), as well as Chinese conversational textbooks like No-geol-dae(老乞大) and Bak-tong-sa(朴通事) were instrumental in this educational process. Recognizing the exigency for practical communication materials amidst events such as the Japanese invasion and the Manchu war during the mid-Joseon Dynasty, efforts were made to compile Classificatory Glossaries like Yeok-eo-yu-hae(譯語類解) and various conversational textbooks. Subsequently, in the 19th century, private authors compiled additional Classificatory Glossaries such as Hwa-eo-lyu-cho(華語類抄), Han-eo-cho(漢語抄), Hwa-eo(華語), and Han-dam-guan-hwa(漢談官話). Of particular interest, Han-dam-guan-hwa(漢談官話) stands out as an anonymous classificatory glossary encompassing 613 vocabulary words, organized into 18 categories. It diverges from its predecessors in terms of classification, vocabulary selection, and pronunciation script. Consequently, a comparative analysis with preceding glossaries is imperative to accurately elucidate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Han-dam-guan-hwa(漢談官話). This paper undert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Han-dam-guan-hwa(漢談官話) alongside previously compiled glossaries such as Yeok-eo-yu-hae(譯語類解) and Hwa-eo-lyu-cho(華語類抄).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ir formation, vocabulary, and phonology, it seeks to comprehensively delineate the unique features of Han-dam-guan-hwa(漢談官話) and illuminate its significance and scholarly merit.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