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4세기 학맥의 흐름과 담암(淡庵) 백문보(白文寶)의 활동 (The flow of scholarly lineage and the activities of Damam(淡庵) Baek Munbo(白文寶) in the 14th century)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3.10
43P 미리보기
14세기 학맥의 흐름과 담암(淡庵) 백문보(白文寶)의 활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77호 / 9 ~ 51페이지
    · 저자명 : 하정승

    초록

    백문보(1303-1374)는 본관은 직산(稷山), 자는 화보(和父), 호는 담암(淡庵)이며 경북 영해(寧海-지금의 영덕) 인량리(仁良里)에서 출생하였다. 당대를 대표하는 문인 권보(權溥: 1262-1346)와 백이정에게 수학했기에 권보와 백이정의 문생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동문이었던 가정(稼亭) 이곡(李穀)이나 설곡(雪谷) 정포(鄭誧)와 친분이 특히 두터웠고,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 율정(栗亭) 윤택(尹澤), 문경공(文敬公) 안보(安輔), 초은(樵隱) 이인복(李仁復)과도 교유하였다. 또한 척약재(惕若齋) 김구용(金九容),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 동헌(桐軒) 윤소종(尹紹宗), 권사복(權思復), 이무방(李茂芳) 등이 그의 문인들이다. 그는 학문과 문학에 뛰어났을 뿐만 아니라 성품 또한 청렴결백하고 이단에 미혹되지 않아서 당대 여러 학자들에게 존경을 받았다.
    따라서 14세기의 학문적 경향과 학맥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기 위해서 백문보는 반드시 검토해야 할 인물이다. 지금 전해지는 백문보의 문집인 『담암일집(淡庵逸集)』은 조선조 말엽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각종 문헌에 산재된 담암의 시문을 모은 것이기에 분량이 적어 담암의 실체를 파악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고려후기 담암이 차지하는 위상에 비해 그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것도 이와 관련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문집에 실린 담암의 시문은 물론 담암과 주고받은 문인들의 시, 『고려사』, 『고려사절요』, 후대 문인들의 여러 기록 등 현재 전해지는 담암과 관계된 자료들을 망라하여 14세기 중⋅후반의 담암의 활약상과 담암의 학맥, 교유관계, 사상, 문학, 학문적 특징 등을 살펴보았다.
    14세기 학술사에서 담암 백문보의 위치를 살펴보면 권보와 백이정의 제자이며 이제현, 이곡, 이인복 등과 동문이고, 김구용, 이숭인, 윤소종의 스승이기도 하다. 담암은 성리학 수용기에서 학술적으로 큰 역할을 했던 백이정의 학문을 그대로 계승했기에 성리학의 정착과 전파라는 측면에서 그의 역할은 매우 컸다. 예컨대 경연(經筵)에서 성리학을 강론한다든지 이단[불교]에 미혹되지 말아야 할 것을 지속적으로 설파한 것은 성리학자로서의 담암의 모습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또한 「천형(踐形)」과 같은 성리학 이론을 설명한 글, 「상례설(喪禮說)」과 같은 유교식 상례 제도에 대한 글 등을 저술한 것은 담암이 성리학에 해박했음을 보여주는 실례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Baek Munbo(1303-1374)’s family origin is Jiksan(稷山), his other names are Hwabu(和父) and Damam(淡庵), and was born in Allyang-ri, Yeonghae(old name of Yeongdeok), Gyeongsangbuk-do. He is known as a disciple of Gwon Bo(權溥: 1262-1346) and Baek Ijeong, who are representative literary figures of their time. He was close to fellow alumni Lee Gok(李穀), Jung Po(鄭誧), and also had interactions with Lee Jehyun(李齊賢), Yoon Taek(尹澤), Ahn Bo(安輔), and Lee Inbok(李仁復). Additionally, Kim Guyong(金九容), Lee Soongin(李崇仁), Yoon Sojong(尹紹宗), Kwon Sabok(權思復), and Lee Mubang(李茂芳) followed him. He excelled in academia and literature, and his character was pure and unswayed by heresy, earning respect from many scholars of his time. Therefore, to examine the academic trends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academic lineage in the 14th century, he is a figure that must be carefully considered.
    The anthology of Baekmun Bo, < Damamiljip((淡庵逸集)>, currently transmitted, is presumed to have been published in the la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is book is a collection of Damam's poems featured in various documents, so it has a small volume. Therefore, it is not sufficient for us to grasp the essence of Damam through this book. The lack of research on Damam, despite his significant position in the later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is also related to this.
    In this paper, we examine Damam's activities, academic lineage, connections, philosophical beliefs, literary works, and academic characteristics during the mid to late 14th century based not only on Damam's poems found in the anthology but also on various records of interactions between Damam and other poets, as well as historical records such as <Goryeosa>, <Goryeosa Jeollyo>, and writings by later poets associated with Damam.
    In the academic history of the 14th century, Damam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establishment and dissemination of the Confucian Learning due to his direct inheritance of Baek Ijeong's scholarship. During the period when Confucian Learning was being embraced, Baek Ijeong played an academically crucial role. And Damam demonstrated his role as a Confucian scholar by consistently elucidating Confucian Learning and cautioning against being misled by heresies (Buddhism) during the Gyeongyeon(經筵) lectures. Furthermore, he demonstrated a profound knowledge of Confucian Learning by writing works such as 'Cheonhyeong (踐形)' explaining Confucian theoretical principles and 'Sangryeseol(喪禮說)' explaining Confucian ritual syste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