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필기야담집 『鷄山談論』·『鷄山談藪』의 성격과 가치 (A study about Gyesandamnon(鷄山談論) and Gyesandamsu(鷄山談藪)’s value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0.04
31P 미리보기
19세기 필기야담집 『鷄山談論』·『鷄山談藪』의 성격과 가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과 해석 / 30권 / 387 ~ 417페이지
    · 저자명 : 권진옥

    초록

    이 글은 조선 말의 학자인 송내희(宋來熙, 1791-1867)가 편술(編述)한 필기야담집 『계산담론(鷄山談論)』과 『계산담수(鷄山談藪)』의 문헌학적․문학사적 가치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송내희가 이 책들을 편술한 배경을 밝히고, 현전하는 이본(異本)을 비교하며, 저술의 성격과 가치를 다방면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계산담론』은 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 소장의 필사본이 유일본이고, 『계산담수』는 국외의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과 국내의 영남대학교에 각각 필사본 1종씩 소장되어 있으므로, 『계산담론』과 『계산담수』는 희귀한 자료들이라 할 수 있다.
    우선 『계산담수』의 저작자를 송내희로 확정하는 근거를 몇 가지로 증명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송내희의 문집인 『금곡집(錦谷集)』에 자서(自序)의 성격으로 지은 「『계산담수』에 쓰다[題鷄山談藪]」가 수록되어 있는 점, 실제 『계산담수』의 책에도 이 글이 똑같이 수록되어 있는 점을 근거로 하여 송내희의 저작으로 확정하였다. 이와 같은 증거에 덧붙여 버클리대본과 영남대본에만 보이는 ‘만졸하사(晩拙下士)’와 ‘유양(酉陽)’에 대한 해명과 격일자(隔一字)로 작성된 필사 형태를 통해서도 송내희가 『계산담수』의 저작자라는 사실을 증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송내희가 이 책을 편술한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젊은 시절 송내희는 집안의 형 송명희(宋命熙)와 함께 수학하였는데, 바로 이때 『계산담수』가 기획되었다. 송명희는 일반적인 경전(經傳), 사서(史書), 제자서(諸子書)를 비롯하여 패서(稗書)나 잡록(雜錄)이라도 반드시 찾거나 빌려서 보관할 만큼 장서(藏書)에 지독한 벽(癖)이 있었는데, 이러한 점이 송내희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송내희는 30여 년이 지난 1846년에 6권2책의 『계산담수』를 완성하였는데, 공교롭게도 1846년은 송명희의 묘를 이장(移葬)한 해이기도 하다. 애초에 송명희와 함께 수학하면서 그의 장서를 통해 틈틈이 초록한 자료이고, 게다가 송명희 사후에도 추모의 정을 잊지 못했던 송내희였기 때문에, 송내희는 1846년에 『계산담수』의 완성에 박차를 가한 것이다. 한편 젊은 시절부터 송내희는 『계산담수』와 같은 차기(箚記) 형태의 저술을 만들고 각별한 애정을 보였다. 『계산담수』는 송내희의 독서 체험, 학술적 관심사 등을 반영하고 어떻게 지식정보를 집적하고 체계화 했는지를 살필 수 있는 자료인데, 이를 통해 박학을 추구한 그의 학문 태도를 간취할 수 있다.
    『계산담수』의 이본(異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버클리대본 『계산담론』은 불분권(不分卷) 1책 186조목, 영남대본 『계산담수』는 2권2책 535조목, 버클리대본 『계산담수』는 6권2책의 565조목이다. 1841년에 필사된 버클리대본 『계산담론』은 『계산담수』의 초고본 형태라 할 수 있고, 그 후 5년이 지난 1846년에 완성된 『계산담수』는 또 2종으로 나뉘는데 2권2책의 영남대본과 6권2책의 버클리대본이다. 이 가운데서 버클리대본 『계산담수』는 송내희가 언급한 6권의 체재를 따른 점, 수록된 조목이 가장 많다는 점, 인용 서목을 수록한 점, 서문과 인용 서목의 위치가 체계를 갖춘 점에서 선본(善本)이라 할 수 있다.
    『계산담수』에서의 ‘계산(溪山)’은 송내희의 고향에 있는 계룡산(鷄龍山)을 가리키고, ‘담수(談藪)’는 이러저러한 잡다한 기사와 얘기를 한데 모았다는 뜻이다. 짤막한 인물 일화에서부터 지방의 명소·산천 소개, 행정 구역 변천사, 임진왜란 관련 기사, 중국어와 자국어의 비교, 몽고어와 만주어 풀이, 조공의 문제, 전제(田制)의 문제 등에 이르기까지 대소사를 망라하고 있다. 특히 권6의 끝부분에 수록된 최치원(崔致遠)과 관련된 일련의 조목들은 최치원 연구자들에게 훌륭한 학술 자료가 될 수 있고, 뒤이어 수록된 보탑시(寶塔詩)와 패옥시(佩玉詩)는 잡체시(雜體詩) 연구자들에게 흥미로운 연구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이외에도 상당수의 조목들은 당시에 참고한 서책이 일실되어 『계산담수』를 통해서만이 알 수 있는 기사들도 포함되어 있다. 유몽인의 희작시 일화라든지, 지방 명소에 대한 자세한 소개라든지, 임진왜란 관련 몇몇 기사들은 『계산담수』를 제외하고는 현전하는 문헌을 통해서 확인되지 않는 내용들이다. 이처럼 원래의 문헌이 일실되어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인물ㆍ역사ㆍ문화ㆍ풍속 등을 『계산담수』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하고, 최치원이나 잡체시 연구 분야의 흥미로운 자료들을 제공하는 점에서 필기야담집으로서 『계산담수』의 문학사적 가치를 인정할 수 있다.
    송내희가 활동했던 19세기는 지식의 홍수라고 할 만큼 방대한 문헌이 수입되고 또 자생하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나라 지식인들은 각자 나름의 방식으로 방대한 지식을 정리하는 작업에 착수하였는데, 젊은 시절 송내희가 착수했던 『계산담수』 역시 이러한 당대의 학문적 자장 안에 놓여있다고 하겠다. 『계산담수』와 같이 필기와 야담의 성격을 아우르고 있는 방대한 자료의 실체는 바로 저자인 송내희가 박학과 다식을 추구했던 학문적 면모를 잘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n article that examines the bibliography and literary values ​​of Gyesandamnon(鷄山談論) and Gyesandamsu(鷄山談藪) written by Songnaehui(宋來熙, 1791-1867).
    Gyesandamnon(鷄山談論) is only book at the University of Berkeley in the United States, and Gyesandamsu(鷄山談藪) is represented at the University of Berkeley and Yeungnam University. Because of Gyesandamnon(鷄山談論) and Gyesandamsu(鷄山談藪) are rare books.
    First of all, there were several reasons why the author of Gyesandamsu(鷄山談藪) is Songnaehui(宋來熙). For example, the contents of Jeggyesansandamsu(題鷄山談藪), explanations of ‘Manzolhasa(晩拙下士)’ and ‘Yuyang(酉陽)’, and manuscripts written by gyeogilja(隔一字) are the evidence.
    Next, look at the background in which he wrote this book. In his youth, he studied with his family's older brother Songmyeonghui(宋命熙), at which time Gyesandamsu(鷄山談藪) was planned. Songmyeonghui(宋命熙) had a habit in the books, which had a great influence on him. He completed six sections of Gyesandamsu(鷄山談藪) in 1846. Unfortunately, 1846 was the year that Songmyeonghui(宋命熙)’s grave was moved. He completed Gyesandamsu(鷄山談藪) in 1846, because he studied with Songmyeonghui(宋命熙) in the beginning and abstracted his collections, and after the death of Songmyeonghui(宋命熙), he couldn't forget his remembrance. On the other hand, from a young age, he made the chagi(箚記) type of writing and devoted special affection. Gyesandamsu(鷄山談藪) can confirm his academic attitude toward pursuing erudition.
    The University of Berkeley’s Gyesandamsu(鷄山談藪) is the Sunbon(善本). The reason for this is as follows. It follows the format of the six sections mentioned by Songnaehui(宋來熙), the fact that the contents are the most, and the list of the cited book..
    The contents related to Choichiwon(崔致遠) are excellent academic materials, and botapsi(寶塔詩) and paoksi(佩玉詩) are interesting data for japchesi(雜體詩) researchers. In the 19th century, he was active in importing and growing bibliography that were so vast that it was a flood of knowledge. Under these circumstances, Korean intellectuals began to organize vast knowledge in their own ways. Gyesandamsu(鷄山談藪) is within the academic field of those days. The reality of the vast materi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note literature(筆記) and unofficial historical tale(野談), such as Gyesandamsu(鷄山談藪), is an example of his academic pursuit of erud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과 해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