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극 공동체 ‘나무닭움직임연구소’ 문화예술캠프의 축제성과 대안 문화적 가치 (The Festivity and Alternative Cultural Value of the Cultural Arts Camp of the Theater community ‘the Namoodak Movement Lab’)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22.10
39P 미리보기
연극 공동체 ‘나무닭움직임연구소’ 문화예술캠프의 축제성과 대안 문화적 가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76호 / 312 ~ 350페이지
    · 저자명 : 이진교

    초록

    청송군 한 시골 마을 폐교에 소재한 나무닭움직임연구소(이하 ‘나무닭’)는 2009년 이래, 매년 여름 한 달 동안 국제환경연극제를 개최해 왔다. 이 글에서는 연극제 기간 열리는 문화예술캠프의 축제성과 대안 문화적 측면을 살피고 있다. 나무닭의 설립자이자 대표 장소익은 대학 학창시절부터 굿, 탈춤, 풍물과 같은 민속의 현대적 재창조에 관심을 가져 왔다. 그는 자본주의적 시스템의 한국사회 공연문화에 대해 성찰한 결과, 2002년 나무닭을 처음 설립하게 되었다. 이후 나무닭은 ‘제의 연극’, ‘환경 연극’, ‘포럼 연극’ 등의 서구 연극 이론을 수용하며, 자신들의 ‘공동체 연극’을 정립해 나간다.
    나무닭의 문화예술캠프에서는 국내외의 공연예술 전문가와 청소년을 비롯한 일반인이 공동체 생활을 하며, 환경이나 사회 문제를 주제로 한 편의 연극을 제작ㆍ공연한다. 참여자들은 폐막공연이 끝난 뒤 펼쳐지는 집단 신명을 동반한 강한 축제성 경험을 문화예술캠프의 매력으로 지목하고 있다. 이 순간 그들은 강력한 감정의 응축을 경험하는데, 이는 매년 여름 캠프를 다시 찾는 중요한 이유가 된다. 또한, 문화예술캠프는 참여 청소년에게 다양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자신의 잠재된 가능성을 발견하는 계기가 되는 등 새로운 삶이나 미래를 고민하는 시공간으로 존재한다. 이런 면에서 여름 캠프는 청소년들의 성장드라마이자 통과의례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나무닭의 또 다른 예술적 지향은 사회적 실천의 강조이다. 실제로 나무닭은 한국의 다양한 사회적 갈등의 현장에서 공연을 통한 연대를 적극적으로 실천해 왔다. 한편, 청소년들은 나무닭의 문화예술캠프에서 환경을 비롯한 다양한 사회 문제와 병폐에 대해 인식ㆍ고민할 기회를 갖는다. 그들은 ‘후쿠시마 원전’이나 ‘밀양 송전탑’ 등과 관련한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게 되며, 이는 곧 환경과 관련한 다양한 일상의 실천으로 이어지게 된다. ‘비정규직’, ‘위안부’, 세월호‘ 등의 사회적 문제와 관련해서도 이와 유사한 모습이 나타난다. 청소년들은 문화예술캠프에서 알게 된 비정규직 문제나 노동 현실 등을 남의 일이 아니라, 자신 그리고 친구들의 이야기로 공감하게 된다. 이처럼 ‘환경’, ‘주민 참여’ 등과 같은 가치를 매개로 생성되는 연극 공동체는 현대 한국의 다양한 사회적 모순과 생태적 문제에 대한 대안 문화적 가치와 가능성을 지닐 수 있다.

    영어초록

    The Namoodak Movement Lab (hereinafter referred to as ‘Namoodak’) in a closed school located in a rural village of Cheongsong-gun has held its international environmental theater festival for a month every summer since 2009. This study examines the festivity of the community theater and the aspects of it as alternative culture focusing on the culture and arts camp held during the theater festival. Jang So-ik, the founder and CEO of Namoodak, has been interested in the contemporary recreation of folklore, for instance, mask dance, Gut, or Pungmul since his college days. As a result of reflecting on the performing culture of Korean society based on the capitalist system, he first founded Namoodak in 2002. Since then, Namoodak has been establishing its own ‘community theater’ accepting Western theater theories such as ‘the ritual theater’, ‘environmental theater’, and ‘forum theater’.
    In the culture and arts camp of Namoodak, Korean and foreign performing arts experts and also ordinary people including teenagers produce and perform a play dealing with either environmental or social issues while living together as a community. The participants point out the intense experience of festiveness after the closing performance accompanied with funs as a group as the real charm of the camp. At that moment, they experience a condensation of strong emotions, which is the crucial reason for them to revisit the summer camp every year. Meanwhile, the culture and arts camp provides various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to participating youths, and it seems to be characterized as a sort of rite of passage. It is because in the summer camp, they get to discover their potential and think about their life and future seriously.
    Another artistic orientation of Namoodak is the emphasis on social practice. As a matter of fact, in a lot of scenes of social conflicts in Korea, Namoodak has been actively practicing solidarity through performances. Meanwhile, at the culture and arts camp, teenagers have the opportunity to reflect on various social issues or evils related to the environment or such. They realize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s like ‘the nuclear power plant in Fukushima’ or ‘the power tower in Milyang’, and this soon leads to their various practices related to the environment in everyday life. Similar aspects appear in relation to social problems such as ‘non-regular workers’, ‘comport women’, and ‘the Ferry Sewol’. Teenagers sympathize with the problems like non-regular workers or the reality of labor they have learned at the culture and arts camp saying that they are their own or their friends’ problems, not someone else’s business. In this way, theater communities generated with the mediation of such values as ‘environment’ and ‘resident participation’ can be equipped with alternative possibilities and potentials for various social contradictions and ecological problems lying in contemporary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