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목포 達聖寺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 및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출토 복장물의 현황과 의의 (Status and Significance of Wooden Amitabha Buddha Triad, Wooden Ksitigarbha Bodhisattva Triad, and Ten Underworld Kings of Dalseongsa Temple in Mokpo)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23.12
47P 미리보기
목포 達聖寺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 및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출토 복장물의 현황과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사학 / 60호 / 63 ~ 109페이지
    · 저자명 : 엄기표

    초록

    목포 달성사는 유달산 자락에 있는 사찰로 일제강점기에 창건된 것으로 전하고 있다. 이 사찰의 명부전에는 목조지장보살좌상과 시왕상 등이 안치되어 있으며, 극락보전에는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이 봉안되어 있다. 이 불상들에 대한 전면적인 개금 불사가 2011년 8월 진행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모든 불상의 복장물을 정밀 조사할 수 있었다. 이에 연구 기초 자료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복장물의 조사 경위, 복장물의 출토 현황과 내용 등을 정리하였다.
    먼저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 등은 일부 시왕상에서 출토된 발원문에 의하여 전라도 남평 웅점사에서 1565년 10월 이전에 조성된 불상임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1719년경 채색 불사가 이루어졌으며, 어느 시기에 목포 달성사로 이안되어 1947년과 2011년 8월 개금 불사가 시행되었다. 또한, 극락보전에 봉안된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은 관세음보살상과 대세지보살상에서 출토된 발원문에 의하여 1678년 5월 만덕산 백련사에서 사부대중의 극락왕생과 왕실의 복을 기원하기 위하여 조성된 이후, 1946년경에 완도 옥천사, 1958년에 목포 달성사로 이안되었음을 알 수 있다.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좌상과 시왕상은 조성 사례가 많지 않은 조선 전기에 제작되었으며, 편년이 확실한 불상이라는 점에서 귀중한 자료이다. 그리고 고려시대를 계승하여 납입한 조선 전기의 복장물과 함께 중수하면서 새롭게 납입한 조선 후기의 복장물이 동시에 수습되어 복장물의 변화 과정을 실물로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도 주목된다. 목조지장보살좌상은 조선 전기의 우수한 작품으로 보기 드물게 반가좌를 취하고 있어 조형적 가치도 높다. 무독귀왕에서 출토된 의복은 조선전기 남성들의 의복 문화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확인되었다. 극락보전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도 조성 사찰과 시기 등을 알 수 있어 편년 기준 작품이라는 점에서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영어초록

    Dalseongsa Temple in Mokpo is a temple located at the foot of Yudalsan Mountain and is said to have been built in Japanese colonial era. In the temple's Myeongbujeon Hall, a wooden statue of the Ksitigarbha Bodhisattva Triad and the statue of Ten Underworld Kings are enshrined, and in the Geungnakjeon Hall, the wooden Amita Buddha Triad is seated. A full-scale Buddhist repairing service for these statues was carried out in August 2011. In the process, I was able to scrutinize the costumes of the contents of a Buddha statue. Accordingly, in order to serve as basic research data, the investigation process of the contents of a Buddha statue and the status of excavation were summarized.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origin, the wooden statue of the Ksitigarbha Bodhisattva Triad and the statue of Ten Underworld Kings in Myeongbujeon Hall, were published in 1565 at Ungjeomsa Temple in Nampyeong, Jeolla-do. And around 1719, a colored Buddhist painting was carried out, and at some point, it was transferred to Dalseongsa Temple in Mokpo. In 1947 and August 2011, Buddhist repairing services were implemented. In addition, the wooden Amita Buddha Triad enshrined in the Geungnakjeon Hall was created in May 1678 at Baeknyeonsa Temple in Mandeoksan Mountain to pray for the restoration of the kingdom of Geungnak and the blessings of the royal family. And it can be seen that it was transferred to Okcheonsa Temple in Wando around 1946 and Dalseongsa Temple in Mokpo in 1958.
    These Buddha statues were mad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hen there were not many cases of construction, and are valuable data in that they are certain to be made. In addition, it is also noteworthy academically in that it shows the process of changing the contents of a Buddha statue of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was newly paid while reconstructing along with the the contents of a Buddha statue of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Wooden seated statue of the Ksitigarbha Bodhisattva is an excellent work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it is rarely seen as a half-seat, so it has high formative value. Clothing excavated from King Mudokgui was identified as useful data for understanding the clothing culture of me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wooden Amita Buddha Triad is also considered a valuable material in that it is a work based on the year, as it allows you to know the construction temple and tim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