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문헌에 나타난 천문 현상에 따른 풍흉과 길흉 예측―해, 달, 별을 통한 예측과 민속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Prediction of Rich or Poor Harvest and Good or Bad Luck according to Astronomical Phenomenon in Ancient Literature―focusing on predictions through sun, moon, and stars and the correlation with folklor)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9.08
40P 미리보기
고문헌에 나타난 천문 현상에 따른 풍흉과 길흉 예측―해, 달, 별을 통한 예측과 민속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84호 / 223 ~ 262페이지
    · 저자명 : 김태우

    초록

    이 연구에서는 세시기, 개인 문집, 농서, 유서류 등 여러 문헌에서 해와 달, 별 등의 천문 현상을 보고 풍흉이나 길흉을 어떻게 예측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중에 해와달, 별과 관련된 천문 예측의 대략적이고 공통적인 내용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해를 보고 예측하는 경우 주로 비와 바람에 대한 것이다. 햇무리가 지면 비가오고 해에 귀가 생기면 맑거나 흐리게 된다. 해의 남쪽에 귀가 생기면 맑고 북쪽에 귀가 생기면 비가 오며 두 개가 생기면 비가 그친다. 햇무리의 색도 대체로 누르면 좋고다른 색이면 좋지 않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달을 보고 예측하는 경우, 달빛이 붉으면 가뭄이 들고 희면 비가 많이 와서 수해가 있다고 했다. 반면, 누런빛이나 짙은 황색이면 풍년이 든다고 보았다. 달무리가 있으면 바람이 분다고 했다.
    다음으로, 별을 보고 예측하는 경우, 묘성(좀생이별) 보기의 내용은 상대적으로 혼재되어 있다. 즉, 달과 묘성의 거리가 가깝고 묘성이 달보다 뒤에 있으면 풍년으로 보았고 반대로 거리가 멀고 묘성이 달을 앞서서 가면 흉년으로 인식한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양상은 현재까지 이어져 지역에 따라 좀생이별 보기의 기준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그 밖에 별빛이 불안정하면 대체로 바람이 분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일식과 월식은 대체적으로 모두 좋지 않은 징조로 보았다. 오성들도 계절별로 그 색깔과 밝기가 정상이면 화평하지만 원래의 상태와 다르다거나 오성 중에 두개 이상의 행성들이 합(合), 수(守), 범(犯), 투(鬪)하면 재해가 있다고 보았다. 그 외 요성, 객성, 유성, 혜성의 경우는 모두 불길한 징조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천문 예측 문헌 기록과 민속과의 관련성을 볼 때, 달점 보기나 좀생이별 보기 등 달이나 별을 보고 점을 치는 민속의 상당 부분이 문헌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알았다. 추후 민속 연구에 있어서도 이러한 관점은 유념해야 할 것으로생각된다.

    영어초록

    We examined how astronomical phenomena such as sun, moon, and stars are predicted from various literatures such as writings on seasonal customs, personal literatures, agricultural books, and encyclopedic literatures.
    First, when looking at the sun predict it, it is mainly about rain and wind. When it is the ring around the sun, it rains, and when the ears are in the sun, it becomes clear or cloudy. If there is ear on the south side of the sun, it becomes clear. If there is ear on the north side of the sun, it becomes rains and if there are two ears, it becomes stop raining. People generally think that the color of the halo of the sun is good if it is yellow and it is not good if the color is different.
    Next, if you look at the moon and predict it, the moon is red, and it is said to be drought. And when the moonlight is white, it is said that there is a lot of rain and floods. On the other hand, it was said that if it was yellow or dark yellow, it was good year. When there was the halo of the moon, the wind was broken.
    Next, the methods of forecasting of the Pleiades view are relatively mixed. In other word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oon and the Pleiades is close and the Pleiades is behind the moon, it is seen as a good year. On the contrary, there were cases in which they were recognized. This aspect continues until now, and the standards of forecasting of the Pleiades view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region. When starlight was unstable, people generally saw that the wind was mostly blowing.
    Next, sun eclipses and lunar eclipses were generally regarded as bad signs. Even if the colors and brightness of the Oseong (五星) are normal, they are peaceful. But when the Oseong are different from their original state, or when two or more planets are Hab (合), Su (守), Beom (犯), or Tu (鬪), the disaster occurred. In addition, people are all ominous signs when they see Yoseong (妖星), Gaegseong (客星), Yuseong (流星, meteor), and Hyeseong (彗星, comet).
    Finally, when we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astronomical predictive documents and folklore, it is necessary to keep in mind that much of the folklore may have originated in the literature. This viewpoint should be kept in mind also in the study of folklore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