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70년대 ‘여공’의 욕망과 문학적 재현의 문제-한수산의 『달이 뜨면 가리라』를 중심으로 (Desire of Female Workers in 1970s and the Issue of Literary Representation-Focusing on Han Soo-san’s I Will Go When the Moon Rise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22.08
36P 미리보기
1970년대 ‘여공’의 욕망과 문학적 재현의 문제-한수산의 『달이 뜨면 가리라』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보학보 / 31호 / 353 ~ 388페이지
    · 저자명 : 이지연

    초록

    이 논문은 1970년대 한국 사회의 산업화 및 노동운동의 주역이기도 했던 여성 노동자의 존재가 동시대 문학에서 적극적으로 형상화되지 않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1970년대 대표적인 남성 작가들이 다루었던 ‘하층 여성’의 표상은 대부분 호스티스와 같은 매춘 여성들이었고, 그들의 소설에서 ‘여공’들의 모습은 좀처럼 찾아볼 수 없다. 이에 최근의 연구들은 1970~80년대 여성 노동자들의 수기를 중심으로 여공들의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자기-재현의 문제와 문학적 실천성에 주목하고 있다. 그렇다면 자기-재현의 형식을 거치거나 남성 작가들에 의해 희생자로 묘사되지 않는 여공의 문학적 재현은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가.
    그러한 질문에 대한 하나의 답으로서 본 논문은 한수산의 장편소설 『달이 뜨면 가리라』에 주목하였다. 한수산의 소설 속에 재현되는 여공들의 일과 생활, 그들이 처한 다양하고도 복잡한 좌표는 ‘여공’을 수동적 대상으로 재현하거나 적극적인 저항의 주체로 환원하는 기존 담론들을 넘어서며 새로운 비평적 문제틀을 요구한다. 소설 속 여공들은 산업화 시기 자유주의 논리에 따라 스스로를 경영하는 ‘호모 에코노미쿠스’로서 계층 상승의 욕망을 품은 속물이기도 하고, 동시에 자신의 몸을 둘러싸고 생산되는 성적・계급적 낙인을 인식하고 그것을 거부하는 일탈적 존재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이들의 목소리가 초점 화자로 설정된 지식인 주체 또는 서술자의 ‘복화술’을 뚫고 돌출하는 순간을 포착해내고자 했다. 이를 통해 한수산 소설이 보여주는 여공 재현의 의의를 발견하고, 이 소설이 대중문학의 영역을 넘어 노동문학의 자장 안에서도 읽힐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began with the awareness that the existence of female workers, who took a leading role in the industrialization and labor movement of Korean society in the 1970s, were not actively embodied in contemporary literature. Most of the representative male writers in the 1970s described “lower-class women” as prostitutes like hostesses, and it is hard to find “female workers” in their novels. In contrast, recent researches are focusing on the self-representation and literary practicality of female workers’ compositions from the 1970s to 1980s. But here is another question: How can we explain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female workers who are not portrayed as victims by male writers? As an answer to such a question, this paper focused on Han Soo-san’s novel, I Wll Go When the Moon Rises. The diverse and complex coordinates of the women’s work and life represented in Han Soo-san’s novel demand a new critical problem framework beyond the existing discourse that reproduces the women as passive objects or reduces it to active resistance. The women in the novel are snobs who have a desire to rise in class as Homo Economicus who manage themselves according to the liberal logic of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and at the same time are deviant who recognize and reject the grade and class brand produced around their bodies. The moment they stand out as individuals with their own desires can be said to be the significance of representation of female workers, shown in Han Soo-san’s no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