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미지와 자연과학적 입증 - 이미지에 의한 지식의 확산 가능성: 갈릴레이와 해리엇의 달 관찰기록을 중심으로 - (Image and Scientific Argument and Evidence - Possibility for widely acceptance of Knowledge by Image: focused on the moon research of Galilei and HarriotImage and Scientific Argument and Evidence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4.08
24P 미리보기
이미지와 자연과학적 입증 - 이미지에 의한 지식의 확산 가능성: 갈릴레이와 해리엇의 달 관찰기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 / 28권 / 37 ~ 60페이지
    · 저자명 : 김은지

    초록

    이미지는 무엇인가를 보여주고, 혹은 무언인가를 시각화 해낸다. 또한 비가시적인 것을 가시화 해낸다. 이러한 이미지의 특징은 직접적인 전달력과 강한 사실적 증빙력을 지닌다. 이것은 시각적 존재에 잠재하는 힘이자 기능이다. 동시에 능력으로도 간주된다. 이미지의 이러한 잠재된 힘과 기능은 비가시적인 영역을 가시화해내며 입증과 증빙에 활용하는 학문분야인 자연과학에서 고유의 가치를 발한다. 더욱이 천문학은 시각화된 상태가 아니고서는 입증과 설명이 불가한 많은 실험관찰보고 및 가설입증에 이미지를 활용하고, 비가시적인 세계를 가시화해내며 세상의 진리탐구를 지향한다. 이미지를 통하지않고서는 증명이나 설명 혹은 이해될 수 없는 사실 혹은 단어로 설명되기 어려운 순간의 과정 및 언어로 요약되지 못하는 장면을 가시적인 실질로 구체화해내기 위해 시각자료 즉 이미지를 이용한다. 이러한 과학적 실증적 시각기록자료는 전문적인 학술 내용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동시에 이러한 시각자료는 다른 것으로 대체될 수 없다. 그 자체로 존재하며 의미를 전하기 때문이다.
    이를 배경으로, 본 연구는 이미지와 그 현상에 집중한다. 이미지를 전통적인 관점에서 바라본 창작의 테두리 안에서 보지 않고, ‘무엇인가를 시각화’ 한다는 인식론적이고 현상학적인 의미에서 이미지의 개념을 확장해, 자연과학에서 생산하는 시각적 기록 및 증빙자료 역시 이미지의 범주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이를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것은, 그동안 간과해온 이미지의 또 다른가능성을 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이미지의 가능성 연구는 유럽 특히 독일 베를린의 이미지학(Image Science)연구소에서 정립한 “지식의 이미지”와도닿아있다. 이미지에 의한 지식과 정보의 빠른 전달과 폭 넓은 확산을 지칭하는 “지식의 이미지”는 이미지가 지닌 무한한 잠재적 가능성의 재발견에 대한고찰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미 이미지연구학계에서 논의되고 있는이미지를 지식과 정보 혹은 사고의 전달을 위한 ‘단순매개’로 보지 않으려는관점에 입각해, 사유를 유도하는 이미지 동시에 지식정보를 보다 지적으로 전달하는 이미지의 숨은 매력 등에 중점을 두어 이미지의 가능성을 재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이미지의 가능성의 재고는 국제적으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이미지에 의한 지식의 확산을 도모할 수 있는 “지식의 이미지” 연구 필요성과 중요성을 재고하게 하는 또 다른 길을 모색하게 할 것이다.

    영어초록

    Images show somethings or are something which is visualized anything andalso is able to make visible of invisible things. Characteristics of such visualthings are directness and immediacy for communication. It is regarded aslatent power of image and at the same time function and ability of image.
    Such kind of characteristics of image is used as valuable side for scientificdemonstration and scientific evidence. Moreover in astronomy is tried todiscover verity through visual information for scientific evidence andexplanation which are only possible with visualizing of the invisibles. Namelyimage or visualized information is practical used in inexplicable situation orfor phenomena in difficult summarizing in word for scientific assertion andevidence. Such kind of images for visualizing of information and knowledgesubsist singly in or with image itself. At the same time, image cannot bereplace by anything also exist merely in itself meaningful.
    In these background, my research will be focused on the being of image andit phenomena. Here will be considered image not as in conventional andhistorical creative frame but as in 'visualizing of something' in theepistemological and phenomenal sense in order to spreading of definition ofimage with image is produced for visual documentation in science. The aimof this is to restudy latent power and possibility of image what one overlooksmeantime. Research of its possibility can be compared with "Image of Knowledge" or "Knowledge in Image" which mean widely acceptance andbroader spreading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and in image, isestablished especially by Image Science research team of Institute of HelmholzCenter in Berlin, Germany. The "Image of Knowledge" is consideration forrediscovering of infinite latent possibilities of visual being. So my researchwill reconsider the possibilities of image with focusing on attraction of imagewhich lead the way for thinking and impart knowledge and information inmore intellectual way. That is based on the view for that image is no just a'simple methode' as transfer for information and scientific theory that is matterof discussion in Image Science research worldwide. And also thesereconsideration for image will recover new valuable way for necessity andsignificance of the research "Image of Knowled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2 오전